박정희 대통령이 이룩한 중공업산업 정책의 달성 뒤에는 1973 – 1987년 까지 어려운 가정형편에 있었던 초등학교 졸업자나 중고등학교 졸업자중 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청소년들에게 공업고등학교에서 교육을 시켜 2급 기능사 합격자를 양산하여 77여만명의 공고 졸업 2급 기능사들을 배출 하였고 또한 대기업에서 육성한 기능사를 합쳐 200만명의 2급 기능사들이 중공업 산업현장에서 피땀흘려 이룩한 노력의 결실이 오늘의 대한민국의 경의적인 경제 성장이 원동력이 였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오랜 세월동안 士農工商의 전통적인 인식과 사회구조의 틀을 깨기위한 혁명적인 조치로서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을 실시하였고 인문학을 전공한 엘리트 집단인 “士”들 보다도 대다수가 저소득층 농촌 출신인2급 기능사들이 더 나은 경제적 혜택을 보게 만들어 새로운 중산층 800만명 (200만명의 기능공과 그들의 가족) 을 탄생시키고 전통적인 인식과 사회구조의 틀을 단시간에 바꾸는 계기를 만들어서 중공업 산업 정책을 성공시켰다는 주장이 있어 아래에 퍼 욌습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조선일보에서 퍼온글
공고생 77만명이 대한민국 산업혁명을 일으켰다”
호주국립대 김형아 교수 1세대 기능공 생애 10년 추적(1972~1987년 졸업)
“1973년 박정희 대통령이 중화학공업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전 오원철 경제수석이 박 대통령에게 필수조건으로 건의한 게 있었습니다. 1년에 5만명의 기능공이 배출돼야 한다는 것이었죠. 하지만 현실은 터무니없었습니다. 1971년 기준 5만명은 고사하고 대한민국 전체 기능공을 다 합해 봐야 5000명도 채 안 됐습니다. 우리가 5000년 역사의 농경국가였던 점을 감안하면 당연한 현실이었죠. 1년에 1만명도 아니고 5만명의 기능공 배출? 상식으로는 도저히 달성할 수 없는 표였습니다. 그래서 혁명적 조치가 필요했던 거죠.”
지난 11월 11일 오후 서울 신촌 연세대 캠퍼스 내 상남경영관에서 만난 호주국립대 김형아 교수는 대한민국 성장사의 가장 경이로운 대목을 얘기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은 어떻게 수천 년 농경국가에서 단기간에 중화학공업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킨 산업국가로 탈바꿈했을까. 사실 김 교수가 들려주는 얘기는 경이롭지만은 않다. 2006년 자신이 펴낸 저서 ‘박정희, 양날의 선택’이라는 제목처럼 정반대의 그늘이 드리워진 대한민국 산업혁명의 기적 뒤에는 100만명 가까운 젊은이들의 개인적 성취와 영광뿐 아니라 그들의 희생과 비애, 그리고 독재가 남긴 상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