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사람

앨버타 종합병원, 운영 결정권 확대 - 주정부, “빠른 문제 ..

관심글

관심글


“더는 못 참아”… 앨버타, 분리 국민투표 가능성에 점화 - 다니엘 스미스 “연방정부의 경제 침해, 이제는 주민이 결정할 때”

CBC : 다니엘 스미스 앨버타 주수상 
(안영민 기자) 앨버타주의 다니엘 스미스 주수상이 연방정부에 대한 강한 반발을 표명하며, 시민들이 청원서에 필요한 서명을 모으면 내년에 주 분리에 관한 주민투표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미스 수상은 “앨버타는 연방 내 자주권을 추구하지만, 분리를 주장하는 목소리 또한 극단이 아닌 정당한 불만의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스미스는 5일 영상 연설에서 연방 자유당 정부의 환경 규제와 경제 정책이 “앨버타의 생계 기반인 석유·가스 산업을 질식시키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자원을 가진 나라에서 우리 자원을 스스로 봉쇄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 분노하지 않는 주민이 더 이상 이상할 정도”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스미스는 오는 2026년 주민투표를 목표로, 앨버타의 권익을 보호할 현실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패널을 직접 주재하겠다고 말했다.

새롭게 출범하는 이 패널은 ‘앨버타 넥스트(Alberta Next)’라는 이름으로 대면·비대면 회의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여기서 나온 주요 제안은 2026년 주민투표에 부쳐질 예정이다.

이번 패널은 단순한 정책 토론을 넘어, 앨버타의 정치적·경제적 자율권 확대를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스미스는 연설 말미에서 “앨버타의 미래는 더 이상 오타와가 아닌 앨버타 주민이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분리 주민투표는 민의에 따르겠다… 요건 대폭 완화 추진

현재 의회에 상정된 새 법안이 통과될 경우, 분리 주민투표 청구 요건이 현행보다 대폭 낮아진다.

법안에 따르면, 주민투표 발의를 위한 서명 요건이 기존 ‘전체 등록 유권자의 20%’에서 ‘직전 총선 기준 유권자의 10%’로 낮아진다. 이는 약 17만 7000명의 서명을 요구하는 수준이다. 또한 서명을 받을 수 있는 기간도 기존 90일에서 120일로 늘어난다.

다만 스미스는 “나는 캐나다 연방 안에서 자주권을 추구하는 입장”이라며 “개인적으로는 분리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도 “이는 정치인이 판단할 사안이 아니다. 주민이 직접 결정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모든 국민투표 질문은 원주민의 헌법적 권리와 조약(6·7·8번 조약)을 존중해야 한다는 점도 덧붙였다.


◼ 연방정부에 6대 요구… “공정한 대우 없으면 강경 대응”

스미스 주수상은 연방정부가 앨버타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주 단위의 강경 대응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그녀는 ▲환경영향평가법 폐지 ▲북부 B.C. 유조선 금지 해제 ▲청정에너지 의무 폐지 ▲2035년 전기차 의무 판매 중단 ▲온실가스·플라스틱·표현 규제 철회 등을 요구했다.

특히 앨버타의 자원을 태평양·북극·대서양까지 자유롭게 수송할 수 있는 ‘에너지 회랑’ 확보를 위해 특별 협상팀도 구성할 방침이다. 스미스는 “퀘벡·온타리오처럼 공정한 1인당 연방보조금도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설은 연방 자유당이 최근 총선에서 4연임에 성공한 이후에 발표됐다. 앨버타 내에서는 이에 반발한 분리주의 집회와 ‘미국 가입’ 서명 운동까지 일고 있다.

스미스는 “분리를 요구하는 이들은 더 이상 극단이 아니다. 그들은 우리의 친구이자 이웃”이라며, “이들의 좌절은 현실이며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기사 등록일: 2025-05-06


나도 한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