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사람

여름 _ 월당 서순복 (캘거리 문협)

관심글

관심글


(CN 주말 단신) 재검표 끝에 딱 1표차로 자유당 의석 170석으로 늘려, 소고기 오르고 돼지고기 내리고, 캐나다 ‘스노우버드’ 미 체류기간 연장 추진… 외

The Globe and Mail 
(안영민 기자)

역전에 역전…자유당, 재검표 끝에 단 1표 차로 승리해 총 170석 확보

퀘벡 테르본(Terrebonne) 선거구가 재검표 결과 단 1표 차로 자유당이 승리하며 블록퀘벡당(BQ)에서 자유당으로 넘어갔다. 이로써 자유당은 하원 총 170석을 확보하게 됐다. 과반인 172석까지는 2석이 부족하다.
당초 개표 직후 자유당이 이긴 것으로 발표됐던 테르본은 검증 과정에서 BQ 후보가 44표차로 앞선 것으로 수정됐으나, 법원 주도 재검표를 통해 자유당 타티아나 오귀스트 후보가 역전했다.
캐나다 선거 규정에 따르면 후보가 해당 선거구에서 전체 득표율의 0.1% 미만으로 승리하면 재검표가 자동으로 실시된다. 이번 재검표는 퀘벡 고등법원 다니엘 터코트 판사가 실시했다.
현재 캐나다 전국에서 세 곳의 선거구가 추가로 재검표 중이다. 온타리오주의 밀턴 이스트-할튼 힐스 사우스, 뉴펀들랜드·래브라도주의 테라노바-더 페닌슐라스, 온타리오주의 윈저-테컴시-레이크쇼어 등이다.
모든 재검표 결과가 자유당에 유리하게 나와도 과반엔 한 석이 부족한 상황이다.




소고기 값 오르고 돼지고기는 내리고

캐나다의 육류 소비자들이 계속되는 물가 상승 속에 고기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소고기 가격은 오르고 돼지고기 가격은 하락하는 엇갈린 흐름을 보이고 있다.
캐나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식품 가격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초 기준 소고기 소매 가격은 평균 10~12% 상승했으며, 연내 추가 상승이 예상된다. 이는 서부 캐나다와 미국의 가뭄으로 인한 소 사육 두수 감소, 사료 곡물 가격 상승, 아시아 시장 중심의 해외 수요 증가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반면 돼지고기는 가격 하락세다.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이 커지면서 캐나다산 돼지고기의 대미 수출이 위축될 경우, 국내 공급 과잉으로 이어져 가격이 최대 2% 추가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여기에 중국이 최근 캐나다산 돼지고기에 25% 관세를 부과하며 대중 수출길이 막힌 것도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돼지고기 소비는 2024년 기준 전년 대비 약 12%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돼지고기 소비자들이 가격 인상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소비를 줄이거나 다른 단백질원으로 대체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가방은 보이는데 찾을 수 없다”… 에어캐나다 수하물 분실에 소비자 불만 고조

앨버타 주민 줄리 타이퍼는 최근 캘거리국제공항에 도착한 뒤 수하물을 잃어버리는 황당한 일을 겪었다. 하지만 그녀는 가방에 애플 ‘에어태그(AirTag)’를 넣어둬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었다. 에어태그는 가방이 여전히 공항 터미널 내에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어캐나다는 가방의 행방을 찾지 못했고, 타이퍼는 “보이는데 찾을 수 없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타이퍼는 항공사와 공항 유실물 센터에 수차례 문의했지만 뾰족한 답을 얻지 못했다.
이 사건은 에어캐나다의 낮은 고객 응대 수준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사례로, 최근 발표된 2025 J.D.파워 항공사 만족도 조사에서도 에어캐나다는 전 등급에서 하위권에 머물렀다.
아이러니하게도 에어캐나다는 작년 말 애플과 협력해 고객이 에어태그 위치 정보를 항공사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첫 항공사 중 하나였다. 하지만 타이퍼의 사례처럼 실제로는 이러한 기술이 전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하물 분실이나 지연이 빈번해지는 현실에서 항공사의 기술 활용과 고객 응대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미국, 캐나다 ‘스노우버드’ 체류기간 240일로 연장 추진

미국 의회가 캐나다 고령 방문객들의 미국 체류 기간을 현재 연간 182일에서 240일로 늘리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캐나다 스노우버드 비자법(Canadian Snowbird Visa Act)'은 미국 지역 관광 및 경제 회복을 위한 조치로, 50세 이상 캐나다인이 미국 내 부동산을 소유하거나 임차했을 경우 무비자로 장기 체류할 수 있도록 한다.
법안을 발의한 뉴욕주의 공화당 하원의원 엘리스 스테파닉은 “캐나다인은 국경 지역 관광과 산업에 매우 중요한 존재”라고 강조했다. 함께 법안을 공동 발의한 플로리다, 캘리포니아 의원들도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성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민법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캐나다 이민 전문 변호사 에반 그린은 “미국이 닫혔던 문을 조금이나마 여는 계기”라고 해석했다.
하지만 캐나다 은퇴자 단체 CARP는 우려를 표했다. 앤서니 퀸 운영책임자는 “일부 부유층에게만 혜택이 돌아가고, 캐나다는 관광 수입 및 세수 손실, 거주 요건 미충족에 따른 건강보험 박탈 등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국민은 1년 중 절반 이상 미국에 체류할 경우 주정부 의료보험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타리오 주민들은 의료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12개월 중 최소 153일을 온타리오 주에서 거주해야 한니다
한편 미국은 지난 4월부터 30일 이상 체류하는 모든 외국인 방문자에게 등록을 의무화했으며, 위반 시 벌금이나 구금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캐나다 상위 1% 소득자, 연 58만6,900달러 이상 벌어야

캐나다에서 상위 1% 고소득자로 분류되려면 연소득이 최소 58만6,900달러 이상이어야 한다고 캐나다 통계청이 발표했다.
2024년 4분기 기준, 캐나다 전체 순자산의 약 65%를 상위 부유층이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의 평균 순자산은 약 330만 달러에 달한다. 반면 하위 40%는 전체 자산의 3.3%만을 보유하며 평균 순자산은 8만4,600달러에 그쳤다.
부유층의 공통된 자산 구성 요소는 부동산이다. 글로벌 자산조사기관 나이트 프랭크에 따르면 북미의 초고자산가들은 전체 자산의 약 26%를 주거용 부동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큰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이들은 미술품과 같은 대체투자도 활용하고 있다. 포춘지에 따르면, 현대 미술품은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12.6%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S&P500을 웃돌았다.
전문가들은 부동산과 대체투자를 통해 상위 1%의 투자 전략을 참고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기사 등록일: 2025-05-11


나도 한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