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동창회는 과학과 종교가 통합된 우주진화 세계관을 인식하며,
자연과 생명과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우주적인 신학과 신앙에 따라 고대 성서를 재해석한다.
* * *
필자는 1988년 9월 신학교 첫 학년 첫번째 수업시간에 마치 바울이 다메섹 도상에서 어떤 음성을 듣고 자신의 신앙과 삶이 180도로 전환되었던 것과 같은 체험을 가졌다. 다시 말해, 강의를 시작하는 교수는 부드럽고 조용한 목소리로 “혹시 여러분들 중에 교실 밖에 보따리를 놓고 들어온 사람이 있으면 망설이지 말고 지금 곧 나가서 여러분의 과거의 패러다임의 신앙 보따리를 들고 들어와서 이 강의시간에 풀어 놓기 바랍니다. 그리고, 강의시간이 끝난 후에 보따리 속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신학과 신앙을 넣어 가지고 가십시오.”라고 요청했다. 교수는 계속해서 “이제부터 여러분들이 이 학교에서 배우는 것들을 앵무새처럼 수동적으로 되풀이 하지 말고, 여러분들 스스로 자신의 생각과 말로 새롭게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졸업 후에 목회지에서 설교와 교육에서 다른 사람들이 출간한 성서주석들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지 말고, 여러분들 스스로의 깨달음을 여러분들의 언어로 교인들에게 전달하십시오. 이제부터 여러분들 스스로가 성서주석가가 되십시오”라고 요청했다.
소위 모태신앙을 지녔던 필자는 멕길대학 종교학부에서 신학을 공부하기 전까지는 주일학교에서 전수받은 한 가닥의 믿음(belief)은 가지고 있었지만 심층적인 신앙(faith)은 별로 없었다. 누군가 나에게 구원받았느냐고 물으면 수학공식을 암기하듯이 예수가 나의 구세주라고 서슴치 않고 대답했다. 즉 예수가 나의 죄를 ‘대신해서’ 죽었다는 것을 입으로 시인하는 것이 구원받은 것으로 단순하게 믿었다. 그러나 그 의미가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깨닫기까지 수십 년의 세월이 걸렸다. 나는 남들에게서 들은 견해, 마치 남들이 쓰던 안경처럼 낡은 중고품 견해에 매달려 살아왔다. 천만대행히도 필자의 멘토이며 예수 세미나의 창시자인 로버트 펑크 박사가 말한 것처럼, 진정한 배움이란 고뇌라는 것, 즉 우리들 자신과의 싸움이며, 피상적이고 요지부동인 생각들과의 싸움이며, 우리 주변의 문화로부터 흡수한 지식들과의 싸움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신앙이란 믿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신뢰(trust)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신앙을 신뢰로 이해하는 것과 신앙을 믿음으로 이해하는 것 사이에 혼동이 있기 때문에 신앙을 신뢰라는 원초적인 의미에서 사용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되었다. 많은 기독교인들은 오랜 세월동안 자신의 보따리 속에 쾌쾌묵은 신앙을 풀어 놓지 않고 소중하게 간직하고 있으며 이런 신앙을 보따리 신앙이라고 한다. 필자가 신학교 재학시절에 보따리 신앙을 움켜쥐고 풀지 못하는 학생들을 보았다. 그들은 수업시간에 들어오기 전 자신의 신앙보따리를 교실 밖 문간에 놓는다. 그리고 수업시간 후에 교실 밖에 놓아둔 보따리를 되찾는다. 다시 말해, 신학교에 오는 목적은 새로운 신학과 가치관과 세계관을 탐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목사안수 자격증을 얻기 위한 것이다. 불행하게도 보수적인 교단들에 속한 신학교는 학생들에게 보따리 신앙을 권장하며, 교수가 가르치는 교단신학과 교리적인 공식들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고 암송하도록 강요하며,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조성은 절대금기이다. 따라서 이러한 보따리 신앙 증세는 교회 내부에서 일반 교인들에게도 보편적이다. 그러나 목회자의 역할은 교인들에게 진리를 향한 열정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 교회와 신학교는 오래된 중고품 렌즈를 벗어버리지 못한체 세속적인 세상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외면하는 수도원이 될 수 없다.
한편 오늘날 급속도로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삼층 세계관적인 과거의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없는 신학생들과 교인들은 과감하게 자신들의 보따리를 풀어 헤치고, 우주진화 세계관적인 새로운 패러다임에 눈을 뜨고 귀가 열리는 신선하고 역동적인 체험이 절실히 필요하다. 따라서 더 이상 지루하고 진부하고 생기가 없는 교회 안에 머물러 있는 것은 숨이 막히는 것과 같아 미련없이 교회를 떠나는 사람들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교회 밖에서는 물론 제도적인 종교 밖에서 스스로 자유롭게 삶의 의미와 행복의 길을 찾는다. 이들은 다른 사람들의 견해 즉 중고품 신앙에 수동적으로 억지로 끌려 가기를 거부한다. 따라서 무작정 믿어야 하고, 의문과 질문 없이 맹종해야 하고, 공식들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는 지루하고 따분한 신앙생활을 용감하게 내려 놓고 교회를 떠난다. 이렇게 교회 밖에서 자율적인 깨달음과 영성을 탐구하는 사람들을 교회 동창회(Church Alumni Association)라고 부른다.
삼층 세계관적이고 이분법적인 교회를 졸업한 사람들은 고대 성서를 새롭게 읽고, 21세기의 현대어로 전환하는 재해석을 요청한다. 그래야 성서 이야기가 말이 되는 말이 되고, 상식적인 말이 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교회 동창회는 성서를 역사적 예수의 정신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해한다:
누가복음서 17장 5-10절의 전반부(5-6절)에서 제자들이 예수에게 “신앙(faith)을 우리에게 더하여 주십시오” 라고 간청하자 참 신앙의 의미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너희에게 겨자씨 한 알만한 신앙이라도 있다면. . . “(누가복음서 17장 5-6절) [한글성서 번역의 오류: 그리스어 성서와 영어 성서에는 예수가 믿음(belief)에 대해서 말하지 않고, 신앙(faith)에 대해 말했다. 그러나 한글 성서는 믿음(belief)으로 왜곡하여 번역했다. 따라서 필자는 믿음을 신앙으로 정정한다. 예수는 요즈음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이 말하는 이분법적이고 교리적이고 관념적인 믿음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물론 신앙과 믿음은 동일한 말이 아니다. 더욱이 신앙과 믿음은 교회가 만든 이분법적 구원론과 축복론 그리고 교리들 즉 삼위일체와 몸의 부활과 죽은 후 천국행을 입술로 인정하고 순종하는 것이 아니다.]
예수의 신앙과 믿음은 성전(교회)이 만든 교리들을 관념적으로 믿고 맹종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사는 삶의 방식이고 표현이었다.
요즈음 캐나다와 한국과 미국의 정치계와 종교계는 보수와 진보로 양극을 달리며 경제 국방 환경 인권 등의 문제들을 놓고 치열한 논쟁을 벌리고 있다. 대개 보수적인 정치인들과 종교인들은 국민들에게 위험이 따르는 새로운 변화를 도전하기보다는 달콤하게 안정(comfort)과 안전(security)을 보장하겠다고 장담한다. 다시 말해, 가진 자들에게 그들이 가진 것을 잃지 않도록 세금을 내리겠다는 공약을 내세운다. 이것은 변화보다는 훨씬 쉬운 길이고, 흔히 보수적 성향의 정치인들이 외치는 상투적인 구호이다. 또한 종교인들도 이성적으로 양심적으로 질문하고 고민하고 스스로 깨달아 알기 보다 만들어 놓은 공식(교리)을 암송하고 앵무새처럼 되풀이 하는 것이 훨씬 더 편안하다. 무작정 믿기만 하면 만사형통한다는 말이 믿어지지 않더라도 편안하게 단순하게 머리를 끄덕이기를 좋아한다.
반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