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안내   종이신문보기   업소록   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주정부, 미 관세 대응 나선다. - 공공부문 조달, 지역 및 캐나다 내 우선 추진
(서덕수 기자) 캐나다가 관세 전쟁으로 미국과 대대적인 무역갈등 상황을 맞이 하면서 앨버타 주정부가 지역 및 캐나다 조달원칙을 세우고 대응에 나섰다.
여기에는 미국 주류 구입 중단과 함께 캐나다 생산 라벨 부착, 주 간 자유무역 활성화 등 다양한 대책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주 수요일 스미스 주수상은 “캐나다에 대한 관세 공격, 그리고 강압적인 캐나다 병압 주장으로 양 국의 그 동안 깊었던 신뢰가 무너졌다. 안보동맹과 무역 동반자, 문화적 친구에 대한 심각한 배신조치이다”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25%의 상호 보복관세, 에너지에 대한 10% 관세부과가 시행되면서 스미스 주수상은 “앞 길이 매우 험난하다”라고 전망했다.

주정부는 네가지 방안으로 미 관세폭탄에 대응하고 나섰다. 우선, 학교, 공기업, 지자체를 포함한 모든 공공부문의 조달은 앨버타 및 캐나다 기업을 우선으로 하고 자유무역이 가능한 다른 나라로부터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두 번째, AGLC (Alberta Gaming, Liquor and Cannabis)는 미국산 주류와 비디오 로또 게임기 등의 구입을 향후 별도의 조치가 있을 때까지 무기한 중단한다.

셋째, 소비자와 리테일업체에 캐나다 산 상품의 구매를 독려하고 나섰다. 캐나다 산 라벨 부착을 권고하고 앨버타와 캐나다 내 상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Buy Alberta”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시행한다.

넷째, 스미스 주수상은 앨버타와 자유무역을 원하는 그 어떤 주와도 신속하게 협정을 맺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녀는 “상품과 노동의 자유로운 이동에 그 어떤 제약도 없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스미스 주정부는 미 관세폭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을 산업부문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책은 아직 마련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로선 연방정부의 대응을 기다려 보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이 같은 대응에 대해 NDP 넨시 리더는 “이 정도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미 관세의 영향을 받게 될 부문에서는 고용감축이 시작되었다. 수동적인 대응이 아닌 선제적이며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BC, 사스카치완, 매니토바, 온타리오는 이미 미국산 주류를 판매하지 않겠다고 공언하고 나섰다.

반면, 스미스 주수상은 다소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앨버타 오일과 에너지에 대한 관세가 10%로 책정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녀는 “연방정부가 앨버타 오일에 수출세를 포함하면 안된다. 가장 중요한 수출상품인 에너지의 공급자로서 미국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넨시 리더는 “스미스 주수상은 앨버타 주민들을 위해서 싸우는 대신 굴종을 택하고 있다. 너무 순진하다. 그녀의 전략을 실패했으며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기사 등록일: 2025-03-11
나도 한마디
 
최근 인기기사
  소비자 탄소세 ‘역사 속으로’...
  내달 기름값 확 내려간다 - 소..
  앨버타, 총선 '태풍의 눈'으로..
  주정부, 압류 미국산 주류 대방..
  100만불 이하 주택 사면 세금..
  내달 캐나다 맥주값 인상 - 정..
  (CN 주말 단신) 로키산맥 눈..
  캘거리, 매매감소 및 재고증가에.. +1
  캐나다, 종교기관 자선 단체 지..
  45대 연방 총선 투표 - 언제..
댓글 달린 뉴스
  캘거리, 매매감소 및 재고증가에.. +1
  오충근 기자수첩) 마크 카니(.. +2
  동영상) 내 인생의 바이블, 지.. +1
  사우스 캘거리 지역의 새로운 패.. +1
  ‘경제통’ 마크 카니, 캐나다 .. +1
  서머타임 시작…일요일 새벽 2시.. +1
회사소개 | 광고 문의 | 독자투고/제보 | 서비스약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연락처 | 회원탈퇴
ⓒ 2015 CNDre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