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이번 주말 미 ‘관세 폭탄’ 현실화 조짐 - 트럼프, 위협용 아닌 ‘관세 먼저, 대화 나중’ 전략 취할 듯…콜롬비아, 관세 위협에 백기 |
|
|
|
(안영민 기자) 캐나다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위협이 행동으로 옮겨질 조짐이다. 이는 관세 위협이 ‘협상용’이라는 통념을 깨는 것으로, ‘선 관세 후 협상’으로 진행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6일 트럼프 대통령의 보좌진 사이에서 이번 주말인 2월 1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트럼프 측근의 말을 인용해 캐나다와 멕시코에 협상 기회조차 주지 않고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월가의 골드만삭스가 고객들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20%이며 트럼프 첫 임기에도 관세를 부과하기 전에 협상을 먼저했다는 예상과 상반된 진행 방향이다.
WSJ는 ‘관세 먼저 대화는 나중에’ 방침의 배후에 뉴욕 은행의 CEO인 상무 장관 후보 하워드 루트닉과 트럼프의 강경한 이민 정책의 설계자인 스티븐 밀러 정책 담당 부참모장이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백인 민족주의 이념을 조장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는 인물들이다.
보도가 설득력을 갖게 된 것은 미국과 콜롬비아와의 10시간 무역전쟁의 결말이 미국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났기 때문이다.
26일 미국은 불법이민자들을 군용기에 태워 콜롬비아로 추방했는데 콜롬비아 정부는 이민자들의 존엄성을 내세워 항공기의 착륙을 허가하지 않고 돌려 보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즉각적으로 미국으로 들어오는 콜롬비아의 모든 상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이와 함께 국무부는 콜롬비아인에 대한 비자를 중단시켰고 이어 국토안보부와 국회가 개입해 제재를 가하겠다고 위협했다. 결국 콜롬비아는 불법이민자를 수용하겠다며 백기를 들었다. 백악관은 “콜롬비아가 트럼프 대통령의 모든 조건에 동의했다”고 발표했다.
콜롬비아와 달리 멕시코의 경우 하루에 최대 4개의 송환 항공편을 수락한 상태다. 멕시코는 또한 미국 관리들과 긴밀히 협력할 의향이 있다는 신호로 미국과의 국경에 자체 국가 경비대를 배치했다. 하지만 익명의 트럼프 관리는 멕시코가 트럼프를 설득하는데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미국 관리들은 캐나다와 멕시코가 관세를 피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명확히 밝히기를 거부했다.
트럼프 대변인은 “1977년 제정된 법률(국제 비상경제권한법 : IEEPA)에 의해 대통령이 경제적 비상사태를 선언할 수 있으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 권한을 이용해 가장 빠르고 강력한 방법으로 관세를 활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기사 등록일: 2025-01-27 |
|
|
|
|
|
|
나도 한마디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