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에서 추방명령 받은 41,000명의 불법체류자들은 어디로 갔을..
캐나다의 연방국경수비대(CBSA)가 추방명령이 내려진 불법체류자 41,000명의 소재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연방국경수비대는 작년 9월말 기준 약 63,000명의 불법체류자들에 대해 추방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이들 중 현재 소재파악이 된 불법체류자들은 ..
기사 등록일: 2008-05-09
개정이민법, 이민자에 의무적 언어시험 요구 논란
연방정부의 개정이민법이 숙련인력 이민신청자에대해 의무적인 언어시험을 요구, 논란이 일고 있다.현행 이민법은 프랑스나 미국, 영국 출신의 경우 고등학교나 대학교의 졸업장으로 언어능력을 증명하면 언어시험을 보지 않아도 된다.그러나 개정이민법은 ‘언어평가 절차의 투명성’을 내세워 모든 이민..
‘캐나다 이민신청자 대졸 가산점’ 무용론 논란
현행 캐나다 전문인력이민 시스템은 모국에서 대학교 학위를 받은 이민신청자들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산점 부여가 캐나다 사회에 실질적인 효과가 없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최근 이민법 개정을 둘러싼 정치권의 치열한 공방이 벌어지는 가운데 이러한 주..
PR카드 유효기간 남았으면 반납 않고 신청 가능
유효기간이 남아있는 영주권(PR)카드를 소지하고 있을 경우 카드를 반납하지 않고도 갱신신청이 가능해졌다. 연방이민성이 지난 21일부터 시행하기 시작한 PR카드 개선안에 따르면, PR카드 갱신신청 때 기간이 아직 만료되지 않은 유효한 카드는 본인이 소지하고 재발급된 카드를 수령할 때 이..
기사 등록일: 2008-05-02
다시 불붙은 ‘이중국적’ 찬반 논란
이명박 대통령이 방미 중인 지난 15일 뉴욕 동포간담회에서 “이중국적 허용을 검토하겠다”고 밝혀 우리 사회에 이중국적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중국적 허용은 국민의 정부 이후 최근까지 수차례 전향적 검토가 있었지만 국민으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한 헌법정신에 맞지 않는다는 ..
기사 등록일: 2008-04-25
캐나다 시민권자, 한국 2년 체류땐 ‘영주권’ 부여
캐나다 등 외국시민권자가 한국에서 2년을 체류할 경우 ‘한국 영주권’을 받게 된다. 또 외국인이 한국에 50만 달러(약 5억원)를 투자하고 한국민 5명 이상을 고용해도 곧바로 한국에 머물 수 있는 영주권을 얻게 된다. 지금까지는 외국인이 영주권을 발급받으려면 200만 달러 이상을 투자..
한국근로자, 앨버타 취업 쉬워진다
한국근로자들의 앨버타 취업이 손쉬워진다. 한국산업인력공단은 앨버타 자격취득 공인시행기관인 AIT(Apprenticeship and Industry Training) 감독관을 초빙, 한국내에서 캐나다 현지 자격시험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이를 위해 4월 하순부터 20주에 걸쳐 서울 및 울산..
연방이민부, 전국 돌며 이민법 개정안 홍보
연방보수당 정부가 지난달에 의회 제출한 이민법 개정법안이 야당과 소수민족의 거센 반발에 직면하자 정부의 주무장관과 부장관을 비롯 복합문화장관 까지 나서서 이 법안 통과의 불가피성을 역설하며 대대적인 이민법 개정안 홍보에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보수당정부는 주무장관인 다이앤 핀리..
기사 등록일: 2008-04-18
학력.언어능력보다 출생지따라 이민성패 갈린다
학력과 언어 능력보다 출생지 배경이 이민자의 경제적 운을 결정하는 데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캐나다 전국지 글로브앤메일이 9일 보도했다.이 신문은 캐나다통계청의 연구 결과를 인용, 이민자의 학력과 영어와 불어 구사 능력 역시 이민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지만, 출생지만큼 절대적..
기사 등록일: 2008-04-11
야당 “이민법, 예산안과 분리하라”
보수당정부가 추진 중인 이민법 개정에 대해 야당이 보다 구체적인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연방자유당은 지난 3일 홈페이지에 ‘이민법 개정이 너무 큰 권한을 이민부 장관에게 부여한다’는 기사를 인용해 올렸다. 이 기사에서 마이클 이그내티에프 자유당 부당수는 “기본적인 원칙이 없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