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의 교육과 문화와 철학과 가치관과 윤리관은 과학이 발견한 우주진화 세계관에 기초하고 있다. 오늘날 이 엄연한 사실을 거부하거나 모른체 하는 것은 비상식적이며 몰상식한 일이다. 따라서 오늘의 종교는 초자연적인 하나님의 존재를 믿고, 그런 하나님이 내세에서 영원히 살고, 현세에서 자연의 법칙을 깨트리는 기적을 일으키기를 바라고 믿는 것이 아니다. 또한 종교는 믿음체계가 만든 믿음을 믿으면 기적이 일어나는 축복을 받고, 안믿으면 기적과 축복은 커녕 무서운 징벌이 따르는 것이 아니다. 종교는 이분법적인 교리를 앵무새처럼 되풀이 하는 것이 아니다. 특히 종교는 유신론자들의 독점물도 아니며, 더욱이 교회와 사원과 사찰의 특허품도 아니다. 원초적으로 종교는 하나님에 대한 것이 아니라, 지극히 인간에 대한 것이다. 종교는 인간의 본성이며, 자율적으로 참 인간됨을 탐구하는 길이기 때문에 종교는 믿음의 길이 아니라, 세속적인 세상 속에서의 삶의 요청이고 표현이고 방식이다. 여기에 하나님이 필요하다면 새로운 하나님의 의미를 살아내는 것이 필연적으로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하나님 또는 하느님이란 말이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 그 의미를 현실적으로 어떻게 사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오늘의 기독교는 역사적 예수, 이분법적 교리로 덧칠하지 않은 참 인간 예수, 만인 구원의 예수가 필요하다. 기독교인들은 역사적 예수가 가르치고 몸소 살아내었던 우주적이고 현실적인 통합비전을 지금 여기에서 구현해야 한다. 따라서 신격화된 교리적 예수 없는 기독교가 세상을 구원할 수 있다. 상업적이고 정치적으로 만들어진 예수, 하늘에서 내려온 예수, 하나님 예수, 구원과 징벌의 중개인 예수 없는 기독교가 참된 기독교이다.
오늘날 전쟁과 테러와 빈곤과 생태계파괴와 질병으로 신음하고 있는 지구촌 곳곳에서 인습적인 종교체제를 거부하면서 하나님(초자연적인 신) 없는 종교, 하나님 없는 기독교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대가 도래했다는 소리들이 거세게 울려 퍼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종교인이든 비종교인이든 유신론자이든 무신론자이든 간에 종교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오해하거나 판에 박힌 진부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오랜 세월동안 인습적인 종교단체들은 마치 자연의 법칙이 깨어지는 기적과 죽은 후 내세를 꿈꾸는 무당집이나 점쟁이집처럼 전락해 버렸다.
그러나 21세기의 우주진화 세계관에서 참 종교의 의미와 기능은 다음과 같이 되어야 한다:
종교의 목적은 초자연적인 하나님이 자연의 법칙을 깨트리는 기적을 바라는 것이 아니며, 죽은 후 내세에 가기 위한 것이 아니며, 유황불이 타오르는 지옥에 떨어지지 않기 위한 것도 아니고, 물질적인 부자가 되기 위한 것도 아니고, 불치병이 낫는 기적이 일어나기 위한 수단도 아니다;
종교의 기능은 거룩한 교인과 벌레만도 못한 죄인, 거룩한 것과 세속적인 것으로 분리하는 이분법적인 도덕이 아니며, 성속의 경계를 초월하는 삶의 방식이다;
종교의 의미는 이 세상에서 어떠한 형편과 상황에 처하더라도 참 인간됨과 사람답게 사는 것이다; 종교는 지금 여기에서 순간순간 영원함을 추구하는 현세적인 삶의 길이다; 종교는 불확실성의 우주에서 내가 어디에서 왔고, 왜 여기에 있고, 어디로 가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종교는 가족과 친구와 이웃과 세상을 이분법적으로 분리하기 보다, 모든 개체들의 우주적인 통합을 이룬다; 무엇보다도, 종교는 타자 또는 중개인이 만든 공식과 교리와 형식을 앵무새처럼 되풀이 하거나, 맹목적으로 순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율적으로 자신의 깨달음과 체험을 통해 스스로 목소리를 내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종교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이단 또는 회의주의라고 정죄하던 시대는 이미 끝이 났다.
결론적으로 종교는 평범한 삶의 언어와 행위이다. 종교는 특정 교리와 전통에 순종하고 믿는 것이 아니다. ‘Religion’ 이란 말이 최초로 동양에 들어왔을 때 번역하기가 대단히 힘들었으며, 결국 종교(宗敎)라고 번역했다. 그러나 이것은 정확한 번역이 못된다. Religion 이란 말의 어원은 ‘relationship’(관계)이다. 종교는 두려움과 편견과 우월주의와 배타주의를 조장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것들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고, 개체들이 통합하여 전체를 이루어 온전한 관계를 드러내는 것이다. 종교는 사람과 사람의 관계, 사람과 자연의 관계 다시 말해 전체적인 관계에 대한 것이다. 이 상호의존관계 속에서 인간의 성숙한 삶을 위한 지혜와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 종교이다. 특히 종교는 타율적인 복종이 아니라, 자율적인 깨달음이다.
종교는 교회나 신전이나 사찰을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세상에서 관계를 맺고 사는 것이다. 종교인들은 자신의 행위로부터 자신의 신앙을, 또한 자신이 하는 일로부터 자신의 믿음을 분리시킬 수 없다. 하나님을 위한 시간과 나 자신을 위한 시간과 내 이웃을 위한 시간을 따로따로 분리할 수 없다. 따라서 숨쉬고 움직이고 사는 모든 것이 종교이다. 사고하는 호모싸피엔즈 인간은 종교적이다.
인류 역사에서 지난 100년 동안에 인류사회는 엄청난 격동과 변혁을 가져왔다. 첨단과학의 발달은 물론 신학, 철학, 예술, 문화의 분야가 초고속으로 발전했다. 따라서 이 거대한 지구촌이 이제는 하루 생활권이 되었다. 그러나 반면에 지난 100년 동안에 수없이 많은 전쟁과 테러 사건들이 있었다. 큰 전쟁들만 열거해도1차 2차 세계대전, 한국전쟁, 월남전쟁, 발칸반도전쟁, 걸프전쟁, 이락과 아프가니스탄전쟁 등으로 수 천만 명이 죽었으며, 아흐슈비츠 포로수용소 대학살과 9/11 뉴욕의 테러사건과 북아일랜드, 아프리카, 캄보디아, 팔레스타인 등 세계 도처에서의 테러들로 인해서 무고한 생명들이 수 백만 명 살해되었다. 대부분의 전쟁과 테러는 종교적인 분쟁들이었다.
더욱이 동물과 식물과 함께 사는 인류의 집인 지구의 생태계가 이렇게 심각한 위기를 맞이한 때가 없었다. 과학자들은 이구동성으로 경고하기를 이대로 가면 지구는 멸망한다. 우리가 영원히 살 곳은 오직 유일하게 지구뿐인 데 지구가 죽으면 갈데올데 없이 우리 모두는 죽는다는 경고다. 지구는 땅과 물과 공기와 불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서로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가 서 있는 땅은 인간과 동물과 식물과 광물의 생명줄이다. 이 모든 것들은 하나의 생명의 망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죽으면 모두가 죽는다. 인간 만이 홀로 생존할 수 없다. 이 세상은 심판받아 멸망할 세상이라고 못본체 하거나, 버려두고 다른 세상으로 갈 수 없다. 오직 이 세계 이외에 다른 세계는 없다.
아프리카와 호주와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은 땅(지구)을 성스럽게 생각한다. 원주민들은 땅 위에 사는 것이 아니라 땅과 함께 산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땅과 사람은 영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믿는다. 성서의 고대 히브리인들도 땅을 함부로 대하지 않았다. 농사를 지을 때 7년마다 한해 동안 땅에 안식년을 주었다. 그리고 50년마다 땅을 원소유자에게 돌려 주었다. 땅은 원래 하나님의 것이기 때문에 인간은 땅의 소유자가 될 수 없고, 다만 청지기로써 맡아서 잘 돌보는 책임이 있을 뿐이라고 믿었다. 또한 원주민들은 땅 위에 사는 동물과 식물도 성스럽게 생각한다. 사냥을 할 때에도 일용할 양식 만을 사냥하며, 동물을 죽일 때에도 미안한 마음으로 감사를 표시하고 식량으로 삼는다. 땅 만 성스러운 것이 아니라 땅과 함께 사는 모든 생명들이 성스럽다. 왜냐하면 위대한 영을 모든 만물을 통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도 위대한 영의 숨결이라고 믿는다.
영국의 신학자 로열 루는 자신의 저서에서, 종교는 인간에 대한 것이지 하나님에 대한 것이 아니라고 밝힌다. 쉽게 말하자면, 종교는 인간이 살고있는 세계와 자연을 존중하고 아름답게 보존하는 것이지, 하늘 밖의 하느님을 위한 것이 아니다. 기독교인들은 성스러운 인간세계와 자연세계와 조화를 이루어 사는 것이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것이다. 하나님 따로 있고, 인간세계 따로 있고, 자연세계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즉 하나님은 외부적인 존재가 아니라, 내면적인 깨달음과 인식이다. 종교와 하나님은 인간을 위해 있다. 하나님을 위해 사는 것은 인간을 위해 사는 것이고, 인간을 해치는 것은 하나님을 해치는 것이다. 다른 인종들과 종교인들과 생태계를 해치는 것은 하나님을 해치는 것이다.
참 종교는 인간의 본능에 영향을 미쳐 그들이 개인적으로 그리고 공동체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정의롭게 살아가도록 도와준다. 종교적인 전통이란 마치 바이올린의 활처럼 인간의 본능이라는 줄들 위를 오가며 사람들과 사회와 자연이 상호관계 속에서 조화를 이루게 한다. 종교는 항상 이러한 상호작용인 것이다.
역사적 예수는 기독교인들에게 세상에 눈을 뜨고 귀를 기울이라고 도전한다. 기독교인들이 살고있는 사회적인 제도와 경제적인 구조에 대해 민감하고 심사숙고하기를 요청한다. 예수는 그때나 지금이나 불평등 사회에 도전하고 있다. 예수는 억울하게 피해를 받는 순진한 사람과 교묘하게 이익을 챙기는 약싹빠른 사람이 생기는 불공평한 사회에 도전한다. 예수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익을 챙겨서 이것을 하느님의 축복과 사랑이라고 믿는 사람들에게 도전한다. 예수는 멕시코와 남미와 중국의 농장과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하루에 버는 임금에 비해서 북미의 기업들은 엄청난 수익을 챙기고 있는 불공정한 시장구조에 도전한다. 예수는 기독교 정복자들과 이민자들이 아메리카 대륙은 물론 전 세계 도처에서 원주민들의 땅을 빼앗거나 교묘하게 헐값에 사들이고 정복한 후에, 하느님이 축복하신 땅이라고 그리고 이곳이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나라라고 자랑하는 기독교인들에게 도전하고 있다.
우리는 곧잘 대기업들의 CEO들과 월스트리트의 금융기관들을 비난하기를 좋아한다. 그러나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은 우리는 남미와 아시아와 동유럽나라들의 나이 어린 직공들이 하루에 1불도 안되는 임금으로 만든 수 백 불짜리를 걸치고 다니기를 좋아한다. 이 어린 직공들은 불공평한 경제구조에 대해서 우리를 비난할 것이다.
예수의 정신을 따르는 기독교는 하나님을 위한 종교가 아니다. 기독교는 땅과 함께 살아가는 모든 생명들을 위한 종교이다. 특별히 예수는 하나님과 교리와 성전과 교회를 보호하기 위해서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지 말라고 가르쳤다. 기독교교회는 지난 1700년 동안 교회와 하나님을 보호하기 위해서 하나님의 형상을 입은 순진한 사람들을 악마로 정죄하고 탄압하고 살해했다. 교회와 기독교인들은 나의 신앙과 교회와 심지어는 하나님을 포기하더라도 사람들을 더 소중하게 대할 수 있는가?
나눔의 정의와 양심과 정직과 사심없는 사랑으로 다른 사람들과 생명들과 상호의존관계를 이루어 사는 것이 종교이며, 이렇게 사는 것이 하나님께 영광과 찬양과 경배를 드리는 것이다. 기타치고 드럼치며 양손을 높이 쳐들고 눈물을 흘리면서 찬양을 부르는 것이 하나님께 경배드리는 것이 아니다. 불교 국가, 회교도 국가, 힌두교 국가에 잠임해서 불법으로 다른 종교인들을 개종시키는 것이 하나님을 위한 일이 아니다. 성경책에 메어달리고 기도하는 것이 하나님을 믿는 것이 아니다. 주일예배에 참석하는 것이 하나님께 예배드리는 것이 아니다. 기독정당을 만들고 기독교인 대통령을 선출하고, 나라를 기독교 국가로 만드는 것이 하나님을 위한 일이 아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이 어디에 살아 있나? 하나님의 의미는 존재론이 아니라 관계론이기 때문에 하나님이 살아있는 징표는 나와 다른 사람들과 생명들과 자연 사이에 생명의 망이라는 깊은 상호관계가 살아있는 것이다. 인종과 종교 넘어 사람들 사이에 연민의 사랑의 관계가 없으면 하나님은 죽은 것이다. 또한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개체들의 이러한 상호의존관계가 죽어있는 종교와 교회와 사찰은 이미 죽은 것이다. 하나님과 나와 다른 사람들 중에 누가 가장 중요한가? 하나님이 나와 다른 사람보다 조금이라도 더 중요하게 되면 죄의식과 편견과 전쟁과 테러가 일어나며, 내가 다른 사람과 하나님보다 더 중요하게 되면 이기심과 거짓과 착취와 탄압이 따른다. 역사적으로 한국 근대사에서 이러한 불의에 항거하여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다. 1860년 최제우는 제세구민(濟世救民)의 뜻을 품고, 인내천(人乃天 사람이 곧 하늘이므로 모든 사람은 멸시와 차별을 받으면 안된다)과 천심즉인심(天心卽人心, 하늘의 마음이 곧 사람의 마음이다)의 사상을 전개하여 신흥종교 동학(東學)을 창건했다. 인내천의 원리는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하는 지상천국의 이념이며, 모든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새로운 세상을 세우자는 비전과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인권과 평등사상이다.
2천 년 전 기독교의 역사적 예수도 성전종교와 로마제국의 혹독한 탄압에 항거하여 인내천과 천심즉인심을 하나님나라 운동의 핵심으로 삼았다. 예수는 하나님과 나와 다른 사람들이 모두 정확히 공평하게 중요하다고 가르쳤다. 예수의 정신에 기초한 기독교는 하나님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자유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기독교는 정직과 양심과 공정한 분배의 정의를 실천하는 현실적이며 현세적인 종교이며, 조건없는 포용과 사심없는 사랑의 종교이다. 21세기의 종교는 하나님을 위한 것이 아니다. 종교는 지금 여기에서 인간의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삶을 위한 것이다.
[필자: 캐나다연합교회 은퇴목사]
<더 읽을 책>
*** (본 칼럼의 생각들은 이 책들에서 나왔다. 책 제목들을 통해 세계의 과학 철학 종교 사상에 대한 미래의 물결을
이해할 수 있다.) ***
오강남.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 북성재, 2011
_________. 또 다른 예수. 예담, 2009
미선. 기독교 대전환: 낡은 기독교에서 새로운 기독교로. 대장간, 2012
최준식,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사계절, 2005
루벤슈타인.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 되셨는가.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매튜 폭스. 원복 (Original Blessing). 분도출판사, 2008
마커스 보그 & 존 도미닉 크로산. 첫 번째 바울의 복음. 한국기독교연구소, 2010
존 쉘비 스퐁. 성경과 폭력. 한국기독교연구소, 2007
바트 어만. 성경 왜곡의 역사: 누가, 왜 성경을 왜곡했는가. 청림출판, 2006
로버트 펑크. 예수에게 솔직히. 한국기독교연구소, 1996
도미닉 크로산. 역사적 예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0
마커스 보그, 새로 만난 하느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1
________, 기독교의 심장, 한국기독교연구소, 2009
돈 큐핏, 떠나보낸 하느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______, 예수 정신에 따른 기독교 개혁,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버트런드 러셀,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사회평론, 2004
리처드 도킨스, 만들어진 신, 감영사, 2007
에리히 프롬, 희망의 혁명, 현대사상사, 1981
데이빗 그리핀, 포스트모던 하나님, 포스트모던 기독교, 한국기독교연구소, 2002
그레고리 라일리. 하느님의 강: 그리스도교 신앙의 원류를 찾아서. 한국기독교연구소, 2005
김경재. 이름 없는 하느님. 도서출판 삼인, 2003
틱낫한. 거기서 그것과 하나 되시게. 나무심는사랑, 2003
에크하르트 톨레. NOW: 행성의 미래를 상상하는 사람들에게. 조화로운삶, 2008
최성철. 깨달음의 하나님. 북성재, 2012
_________. 믿는 하느님 보다 더 소중한 깨달음의 참 인간: 새로운 기독교, 새로운 교회의 탄생. 퍼플(교보문고),
2014
Rue, Loyal, Religion Is Not About God (종교는 하나님에 대한 것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것이다), Rutgers Univ
Press, 2005
Durkheim, Emile. The Elementary Forms of Religious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Dispenza, Joseph, God On Your Own, Jossey-Bass, 2006
Moore, Thomas, A Religion Of One’s Own, Gotham Books, 2014
Bass, Diana Butler. Christianity After Religion. HarperOne, 2012
_________. Grounded: Finding God in the World – A Spiritual Revolution. HarperOne, 2015
Harari, Yuval Noah. 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 Signal, 2014
Cox, Harvey. The Future of Faith. HarperOne, 2009
Nietzsche, Friedrich. The Birth of Tragedy and The Genealogy of Morals. Doubleday Anchor Book,
1956
Grayling, A. C.. The God Argument: The Case Against Religion and for Humanism. Bloomsbury, 2013
Feuerbach, Ludwig, The Essence of Religion, Prometheous Books, 2004
Schleiermacher, Friedrich, On Religion: Speeches to Its Cultured Despisers,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4
Cupitt, Don, The New Religion of Life in Everyday Speech, SCM Press, 1999
________, The Religion of Being, SCM Press, 1998
________, The Old Creed And The New, SCM Press, 2006
________. A New Great Story. Polebridge Press, 2010
_________. Creative Faith: Religion as a Way of Worldmaking. Polebrdige Press, 2015
_________. After God: The Future of Religioin. BasicBooks, 1997
Fromm, Erich, Psychoanalysis & Religion, Yale Univ Press, 1978
Gordon, Mick & Wilkinson, Chris eds, Conversations On Religion, Continuum,2008
Macy, Joanna, Coming Back To Life, New Society Publishers, 1998
Kaufmann, Walter ed. Basic Writings of Nietzsche. The Modern Library, 1966
Griffin, David Ray. Two Great Truths: A New Synthesis of Scientific Naturalism and Christian Faith.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4
_________. Religion and Scientific Naturalism: Overcoming the Conflicts.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2000
King, Ursula. The Search For Spirituality: Our Global Quest for a Spiritual Life. Novalis, 2008
Geering, Lloyd. The World to Come: From Christian Past to Global Future. Polebridge Press, 1999
_________. Christianity without God. Polebridge Press, 2002
_________. How to Read the Bible. HarperOne, 2015
Hart, David J. Christianity A New Look at Ancient Wisdom. Northstone, 2005
Wilber, Ken. Integral Spirituality: A Startling New Role for Religion in the Modern and Postmodern
World. Integral Books, 2006
_________. A Sociable God: Toward A New Understanding of Religion. Shambhala, 2005
Wilson, David Sloan, Evolution for Everyone: How Darwin’s Theory Can Change the Way We Think
About Our Lives, Delacorte Press, 2007
________, Darwin’s Cathedral: Evolution, Religion, and the Nature of Society, Univ of Chicago Press,
2003
Wilson, Edward O.,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Liveright Publishing, 2014
_________, On Human Nature, Harvard Univ Press, 1978
Stenger, Victor J., Has Science Found God?, Prometheus Books, 2003
Hefner, Philip, The Human Factor: Evolution, Culture, and Religion, Fortress Press, 1993
Chopra, Deepak & Mlodinow, Leonard, War of the Worldveiw: Science vs. Spirituality, Harmony
Books 2011
Campbell, Joseph, The Power of Myth, Anchor Book, 1988
_________, Myths To Live By, Penguin Book 1972
Hogue, Michael S., The Promise of Religious Naturalis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0
Stone, Jerome A., Religious Naturalism Today: The Rebirth of a Forgotten Alternative, State Univ of
New York Press, 2008
O’Murchu, Diarmuid, Evolutionary Faith: Rediscovering God in Our Great Story, Orbis Books, 2003
Talbot, Michael, The Holographic Universe, Harper Perennial, 1992
Ferris, Timothy, The Whole Shebang: A State-Of-The-Universe(s) Report, Touchstone Books, 1998
James, William.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The Modern Library, 1994
__________. Essays in Radical Empiricism. Dover Publications, Inc., 2003
Harris, Sam. Wake Up: A Guide to Spirituality Without Religion. Simon & Schuster, 2014
_________. The Moral Landscape: How Science Can Determine Human Values. Free Press, 2010
Solomon, Robert C.. Spirituality for the Skeptic: The Thoughtful Love of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