꿔바로우 탕수육을 잘하는 집은 홍제동에 있다.
이 집 메뉴판에는 꿔바로우가 아닌 '꿔빠우'라고 써 있다.
주인 아줌마는 한국에서 산지 무척 오래됐는데도 아직 한국말이 서툴다.
차이니스 타이베이계 화교다.
테이블이 여섯 개 밖에 없는 작고 허름한 이 집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예약도 받지 않기 때문에
식사시간에 가면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거나 식사를 포기해야 하기 일쑤다.
탕수육과 더 어울리는 음식이 짬뽕인지 짜장면인지는 각각 입맛 나름이겠지만,
우리는 짜장면을 선택했다.
"그리움을 간직한 사람은 추억으로 음식을 먹는다"는 말이 있다.
사실 오늘 누군가로부터 그런 말을 처음 들었다.
그 말을 듣고 지난 번 여행에서 카메라 메모리에 기록한 이 사진들을 다시 가져온 것이다.
생각해보니 추억과 음식의 관계에 대한 그 분의 말은 맞는 것 같았다.
다만 나는 추억이라는, 다소 끈적임이 남아있는 단어보다는
기억이라는 용어를 더 선호한다.
나의 경우 '기억과 음식'을 대표하는 메뉴는 삼선짬뽕이다.
내가 기억하는 삼선짬뽕 맛의 양대 핵심은 해삼과 죽순이었다.
일부러 종로구 북촌의 오래 된 집을 찾아갔지만, 맛의 기억을 재생해 내는데는 실패했다.
죽순은 있었는데 물컹거리는 해삼이 들어가 있지 않았다.
여기서 죽순은 '어디 어디 죽순이' 할 때 그 죽순이 아니라, 대나무 싹을 의미한다.
소동파(蘇東坡)는 '복어의 맛은 죽음과도 바꿀만한 맛'이라고 했다지만,
나는 복어를 먹을 때마다 도대체 이게 무슨 맛인지 알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죽음과 바꿀만하기는 커녕 저 식당 복어국 + 복어튀김 일인분 가격 2 만 원과도 바꿀 마음이 들지 않았었는데,
극단적인 담백함과 깔끔함이 그 맛의 매력인지도 모르겠다.
덴푸라는 정식보다는,
밥 위에 얹고 그 위에 덴푸라 간장소스를 듬뿍 뿌려서 주는 덮밥 형식의 텐동을 선호한다.
몇 년 전 도쿄에서 그 맛에 반한 이후 내가 심심치 않게 찾는 음식 리스트에 올라있다.
라멘은 1995 년 경엔가 캘거리에 있는 동네 라멘집에서 처음 먹어 본 이후 줄기차게 찾는 음식이다.
1995 년이라는 연도를 기억하는 이유는,
그 집 주인이 고베 출신인데 마침 그 해 그의 고향에서 큰 지진이 발생해서 그 이야기를 서로 나눈 기억이 있기 때문이다.
a bridge over a troubled guy.. lol
난젠지 소스이바시, 2018. 10
평양냉면을 먹을 때 식초와 겨자는 육수에 뿌리는 게 아니라 면에 발라서 먹는거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몇 달 전 김정은 조선 국무위원장이 비슷한 말을 한 적이 있다.
평양 토박이가 하는 말이니 그가 냉면을 먹는 법이 틀리지는 않을 것이다.
이번에 실제로 그런 방법으로 냉면을 먹었는데, 확실히 달라진 맛을 느낄 수 있었다.
연희교차로 부근에 가면 가성비가 가장 뛰어나다고 소문난 고기집이 있다.
가성비가 뚸어난지는 몰라도,
고기타는 연기와 술이 거나해진 손님들이 대화 도중 질러대는 고함때문에 정신이 하나도 없던 곳이었다.
어쩌다 가기는 했는데, 한국여행 중 고기는 사절이다
교토역 Porta 상가 지하에 있는 이 식당은 경양식집과 제과점을 겸업하고 있는 곳인데,
동양정이라는 간판 옆 숫자가 말해주고 있듯이 올해로 121 년 째 영업하고 있는 업소다.
지난 봄, 114 년 역사를 가진 '이문설농탕' 이란 곳을 소개했었는데 이 집은 그보다 7 년 빠른 1897 년 개업한 모양이다.
햄버거나 케잌을 먹자고 30 분을 기다리는 게 그래서 포기했는데,
이 집 앞을 지나갈 때마다 저렇게 앉아있는 긴 줄을 보고 좀 질리기도 했던 곳이다.
==============
이제는 경치도 사람도 다 가물가물하고,
먹은 것들과 먹을 거리 구경한 것, 그리고 기대에 못 미쳤던 음식에 대한 섭섭함..
이런 것들만 똘망하게 기억에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