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간에 몸학연구소의 글들을 자유게시판에 소개했습니다. 저는 이 연구소가 소개하는 자료들이 지금까지 어느 종교단체들로부터 들어보지 못했던 신선한 이야기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이 단체가 전개하고 있는 새로운 기독교 운동은 죽어가는 한국기독교교회에 생기를 불어 넣어주고 있습니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과거의 패러다임의 신관에 기초한 세계관과 가치관과 윤리는 설득력을 잃고 있으며 쇠퇴하고 있습니다. 제도적인 종교들이 생존하려면 신에서 자연과 인간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합니다. 즉 신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해야 합니다. 즉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던 옛날 이야기를 버리고, 새로운 이야기를 나누어야 합니다. 즉 믿는 신앙에서 사는 신앙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믿는 신앙이란 믿지 않으면 불행한 일이 일어나고 믿으면 좋은 일이 일어난다는 초자연주의 믿음입니다. 종교적이라는 것은 제도적인 종교의 회원이 되는 것도 아니고 특정 교리를 인정하는 것도 아닙니다. 종교는 관계이며, 사는 방식입니다.
오늘날 인간의 인식의 진화가 진행되면서 초자연주의에서 자연주의로의 미래의 물결이 강하게 흐르고 있습니다.
여기에 소개하는 글은 기독교를 말살하려는 시도가 아니라 기독교를 살리려는 노력입니다.
<<<몸학기독교연구소 - 새로운 기독교 운동>>>
|
“유신론-무신론을 넘어서 <탈신론>으로 나아가자
신은 있다 VS 신은 없다, 그 끝없는 지리한 논쟁
인류 역사 이래로 대표적인 논쟁을 하나 꼽는다면 유신론(有神論)과 무신론(無神論)의 논쟁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서양 지성사에서는 오래도록 "신이 있다"는 주장과 "신은 없다"는 주장이 맞서 왔다. 이는 근대 과학의 발흥 이후로는 더욱 두드러졌으며 종교와 과학 간의 첨예한 대립과 갈등을 빚기도 했었다.
초창기에는 유신론이 거의 다수를 점했었다. 그런 상황에서 오히려 무신론을 주장한다는 건 매우 불온시되고 금기시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과학의 발전과 성취는 차츰 기존의 유신론 진영을 위협하기 시작했으며 오늘날에는 좀 더 이해가능한 과학적 지식의 확장으로 인해 오히려 무신론 진영이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기존 유신론 진영의 폐해에 대한 반발이 작동되는 지점도 한 몫 할 것으로 본다.
"신이 있다"는 생각과 "신은 없다"는 생각은 여전히 전제로서 작동될 뿐, 증명된 완결된 결론이라고는 볼 수 없다. 생각컨대, 신에 대한 존재 증명은 결코 완결되거나 확증할 수 없는 이론이라고 생각되어진다. 유-무신론 논쟁은 거의 순수 사변에 대한 고찰에 가깝다. 혹자는 이 점에서 <파스칼의 내기>를 언급하기도 한다.
<파스칼의 내기>의 허점
<파스칼의 내기>란 죽어서 신이 있을 경우와 신이 없을 경우를 모두 고려해본다고 했을 때, 신을 믿는다면 다행이지만 만일 신을 믿지 않고 죽는다면 지옥불에 던져질 것이기에 엄청난 손해를 보기 때문에 차라리 신을 믿는 것이 신을 안믿는 것보다는 훨씬 더 이득이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파스칼의 내기에도 매우 허술한 약점이 있다. 즉, 신이 있다고 했을 경우 파스칼이 말하는 그 신은 전적으로 유신론자들만을 신 자신의 백성으로 받아들이는 그러한 신이라는 점을 이미 전제로서 깔고 있는 것이다. 파스칼이 애초부터 생각했던 신은 상당히 속 좁은 신이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신이 정말로 있다고 했을 때 그때의 신 존재는 자신을 믿는 사람들만 받아들이고, 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의 생명은 영원한 지옥행으로 가게 내버려두는 그러한 신만을 염두에 둘 뿐이다. 사실 신이 존재한다고 쳐도 정말 그러한 성격의 신인지는 여전히 확정할 수 없는 문제이다. 오히려 내가 생각하기에 그토록 위대한 신 존재라면 오히려 속 좁은 신은 결코 아닐 것으로 생각되기에 나는 <파스칼의 내기> 자체부터가 허술한 가정 위에 세워진 조크라고 생각한다.
<인체냉동보존술> 투자는 파스칼의 내기 못지 않은 이득을 안겨줄 지도 모를 일
심지어 <파스칼의 내기>에 반하는 상당히 무신론적인 제안의 내기도 가능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이는 얼마전 책에서 접한 내용인데, 최근 <커넥톰>connectome이라는 저작으로도 잘 알려진 세바스찬 승(Sebastian Seung)은 그 자신의 저서에서 천국으로의 승천이라는 '구원'을 <업로딩>up-loading으로 소개하고 있는데, 그는 여기서 앞서 말한 파스칼의 내기에 반해 다음과 같은 내기가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소위 말하는 <인체냉동보존술>에 대한 것이다.
예컨대, 현재 불치병에 걸려 <냉동인간>을 선택한 현대인들은 나중에 완치가능한 과학 발달의 미래에 다시 깨어나 치유를 받을 수도 있기에 오히려 현재 20만 달러를 쓰는 일이 결코 아깝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는 현세에서 계속적으로 지속가능한 생명을 보장받는 것이기에 엄청난 이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그렇다면 이는 파스칼의 내기만큼이나 유용한 투자일 수 있다. 물론 현재의 <인체냉동보존기술>에 대한 얘기들은 과학이라기보다 아직은 종교적 믿음에 가깝다고 보긴 하지만, 어쨌든 <파스칼의 내기>만큼이나 색다른 이득을 줄 수 있는 또 다른 믿음이라는 것이다.
내가 볼 때 이같은 얘긴 종교보다 과학을 신봉하는 무신론자들이 걸만한 내기라고 생각되어진다. 요컨대 내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결국 유신론에 내기를 걸든 무신론에 내기를 걸든 어쨌든 그것은 결국 우리 스스로의 욕망에 대한 투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유신론적이든 무신론적이든 우리 안에는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욕망(비록 사후세계라고 할지라도) 혹은 생명 연장의 꿈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현세든 내세든 그것은 욕망의 지속인 것이다. 물론 우리 안의 욕망 자체에 대한 투자가 항상 나쁘다는 건 아니다. 그렇다면 문제는 그것이 어떤 방향과 흐름 속에 놓여 있느냐 하는 것일 게다.
유신론 무신론 증명 집착을 넘어서기
"신이 있다"는 것도 믿음이지만 "신이 없다"는 것도 결국 믿음에 불과한 것이다. 다만 <창발적 새로움의 근원>만큼은 여전히 자연과학으로서는 밝힐 수 없는 한계가 있고, 이는 결국 형이상학의 영역에서 고찰될 수 밖에 없다고 했을 때 이점에서 세계 안에 새로움을 제공하는 근원자로서의 신 존재를 언급해볼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이 같은 점은 이미 당대 물리학에도 정통했던 화이트헤드의 정교한 형이상학에서도 언급되고 있긴 하지만, 오늘날에도 스튜어트 카우프만(Stuart Kauffman) 같은 현대 자연과학자도 이를 '자연 안의 신적인 요소'로 볼 것을 제안하고 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신 혹은 신성은 철저히 자연주의적인 것이지 초자연주의적인 것이 아니다. 초자연주의는 고대인들의 <상징작용>symbolism으로서 이는 사실(fact)이 아닌 의미(meaning)로 전환되어 해석되어질 뿐이다. 사실상 그동안 많은 무신론자들이 반대해왔던 신은 결국 초자연주의적 신을 말한 것이지, 예컨대 범신론 같은 다른 유형의 신론들에까지 이를 극렬하게 반대한 것은 아니었다. 쉽게 말해 리처드 도킨스가 범신론까지 완전 반대를 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는 그 자신의 저작 <만들어진 신>에서 공격의 타겟을 초자연주의적 신에 한정하겠다고 표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