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캘거리 헤럴드
월요일 아침 수천명의 사람들이 마스카와시스에 모였고, 교황은 이번에는 캐나다 땅에서, 특히 "문화 파괴"와 "강제 동화"가 가해진 캐나다의 기숙학교들에 대한 카톨릭 교회의 역할에 대해 다시 한번 사과했다. 마스카와 공원에서 스페인어로 행한 연설은 많은 사람들이 기대했던 것으로 관객들이 박수로 교황의 사과와 용서를 구하는 것을 수용하는 듯 보였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원주민들을 상대로 저지른 모든 악에 대해 겸허히 용서를 구한다,"고 교황은 말했다. "유감스럽게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원주민들을 억압하는 세력들의 식민주의적 사고방식을 지지했던 방식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죄송하다." 교황은 연설에서 "참회의 순례"에서 원주민 공동체들을 만나기 위해 캐나다를 여행하면서 사과가 대화의 끝이 아니라고 언급했다. 교황은 "이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은 과거에 일어난 일에 대한 사실관계를 진지하게 조사하고 기숙학교 생존자들이 겪은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설 역시 청중들로부터 박수를 받았는데, 진실과 화해 위원회의 위원 중 한 명인 윌튼 리틀차일드가 무대에 올라 교황에게 머리장식을 씌웠을 때 다시 박수가 터져 나왔다. 교황의 연설이 끝난 후, 파파스체이스 원주민 공동체의 캘빈 브루나우(Calvin Bruneau) 추장은 "대량학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도, 유럽 기독교 식민지화에 힘을 실어준 법적 체계인 교리를 교황에게 포기하라고 촉구한 내용도 없다고 언급하며 "한편으로는 사과하는 것도 좋지만, 교황청은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구체적인 세부 사항을 빠뜨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브루나우 추장은 이번 사과에 대해 "40년 전에 일어났어야 했다."고 말했다. "지금 사과를 하는 것은 좋지만, 그것은 단지 오래 전에 지나갔고, 이 날을 기다리던 많은 사람들과 어르신들이 있었지만, 사과를 들을 기회를 얻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조지 아칸드 원주민 공동체 연합 대추장 은 "과거의 잘못을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 오늘 교황의 사과는 교회가 우리에게 보상하는 첫걸음일 뿐."이라고 말했다. 또한 다시 깨어난 트라우마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숙학교 생존자들을 지원하고 교황이 원한다고 말한 것처럼 화해를 향해 "함께 걸어가는" 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칸드 대추장은 "우리는 교회나 캐나다 정부로부터 어떠한 약속도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우리는 세계와 세계 각지의 사람들이 우리의 곤경을 이해하기 시작하는 화요일까지 캐나다 정부와 교회가 손을 내밀어 "진지하게 행동하자."고 말할 수 있기를 바라고 기도한다. 중요한 일을 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해보자."고 말했다. 온타리오의 포트 앨바니의 기숙학교 생존자 에블린 코크마즈(Evelyn Korkmaz)는 50년 동안 교황이 사과하는 소리를 듣기 위해 기다려왔다고 말했다. 그리고 다음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기다리고 있는데, 교황의 다음 방문 기간 동안 듣고 싶다고 말했다. 코크마즈는 매장 정보 등 기숙학교 기록을 언급하며 "우리가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서류를 캐나다 전역에 공개한 그의 사과문에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것은 우리의 것이고 우리의 역사이다. 그것은 로마에 속하지 않고 바로 여기에 속한다."고 말했다. (오충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