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성적이 필요없는 알버타 주정부 이민 고용주 주도형 프로그램 마감 4주 전에 즈음하여]
알버타 주정부 이민이 전폭 개정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이민법이 변경될 때 마다 많은 사람들은 이민 문호가 개방으로 갈 것인지 축소로 갈 것인지, 내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안게 됩니다. 신문이나 미디어는 긍정과 부정 중 한 방향으로 치우친 분석과 전망을 내놓게 되고 보통의 사람들은 내 상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없이 낙관이나 비관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앞으로 3년 간 경제 이민을 통해 내년에 최소 31만명, 2019년에는 33만명, 2020년에는 34만명까지 약 100만명을 유치하겠다는 발표에 큰 기대감을 가지는 분들이 많습니다. 미디어는 자극적인 제목으로“캐나다 이민 100만명 수용 계획”이라는 제목하에 마치 매우 큰 규모의 추가 새 이민자를 수용한다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실제 캐나다는 해마다 이와 비슷한 숫자의 새 이민자를 경제 이민을 통해 유치해오고 있었으므로 이는 특별한 뉴스거리가 아닙니다. 하지만 이 변화의 소용돌이를 여러 차례 경험하면 그 안에서 원칙을 찾을 수 있습니다.
캐나다는 기본적으로 인구 밀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다른 선진 국가 들이 함께 경험하는 고령화 저출산 문제의 해결책으로 이민을 통한 인구 유치가 가장 큰 대안이 되어왔습니다. 1980년대 이후 캐나다의 이민 유치 규모는 세계 제1위에 이르며, 가족 초청이나 난민을 제외하면 약 65% 이상의 새 이민자를 캐나다 경제 성장에 도움이 되는 생산가능인구로 유치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캐나다 이민은 과거에도, 앞으로도 상당 기간 동안 개방으로 갈 것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러나, 누구나 캐나다 이민이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캐나다에서 취업이 가능하고 영어가 intermediate이상이라면 규정 변화에 크게 민감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영어가 기초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분들의 경우, 이민법의 추세를 잘 살피어 기회가 열리면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년에 변경될 AINP규정을 잘 들여다 보면, 첫째 모든 포지션에서 2018년에는 영어 성적 CLB 4점( IELTS: R: 3.5 W:4.0 L: 4.5, S:4.0)을, 2019년 이후부터는 CLB 5점(IELTS: R: 4.0 W:5.0 L: 5.0, S:5.0)을 요구한다는 점입니다. CLB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