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드림 캐나다 앨버타주 1등 신문

라이프

자유게시판

[교회동창회 36] 인간은 하느님의 용서가 필요없다!

작성자 늘봄 게시물번호 12304 작성일 2019-09-14 05:43 조회수 2740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 부족시대에 종교가 처음으로 등장할 때, 고대인들은 우주세계를 삼층 세계관적으로 상상했다. 즉 인간은 중간층에 살고, 상층에 존재하는 초자연적인 신의 섭리에 따라 생존할 수 있다는 유신론적 신관을 창작했다. 인간은 자의식적으로 생존의 두려움과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려고 안전장치로 전지전능한 하느님을 자신의 수호신으로 만들었다. 이 신은 전쟁에 나가 부족을 대신해서 싸우는 남성 전투사 역할을 수행했다. 따라서 고대 부족들과 민족들의 싸움은 신의 전쟁이었다. 또한 고대인들은 하늘 저 밖에 있는 인격적인 신이 자신의 부족민들을 보호하기 위해 때때로 땅으로 내려와 인간의 문제들에 간섭하고 조정하고 심판한다는 가설을 설정했다. 인간은 신의 징벌과 심판을 모면하고, 보호와 구원을 얻기 위해서 절대적으로 복종하는 충성으로 에 대한 회개 용서가 필수적이었다. 그러나 21세기의 우주진화 세계에서 초자연적인 기적은 일어난적이 없었으며, 그런 하느님은 현대인들의 지식과 경험을 통해서 신뢰를 잃고, 더 이상 할 일이 없는 무용지물이 되어 죽었다. 아직도 그런 하느님에 메어달려 스스로 노예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항상 불안과 초조와 이기심과 사심 속에서 참된 행복과 자유와 의미를 누리지 못하고 산다.

 

인습적인 기독교인들에서 구원받는다는 말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들에게 구원받는 것은 하느님의 징벌 심판을 모면하고, 지옥에 떨어지지 않고 천국에 올라가는 것이다. 그러나 138억 년의 우주진화 역사에서 이 광대한 우주세계는 우연히 자연적으로 출현했으며, 실제로 하나의 생명의 망을 이루는 한 몸이고, 어디가 천국이고 어디가 지옥인지 즉 상중하 층이 없다. 따라서 이 세계 이외에 다른 세계는 없다. 다시 말해 삼층 세계관에서 만들어진 상층의 초자연적인 하느님이란 한갖 신화적인 세계의 망상일뿐이다. 오늘날 과학시대의 현대인들이 이해하는 인간의 구원은 내세적인 것이 아니라 현세적인 삶의 구원이다. 다시 말해 인간의 구원하느님의 용서가 필요없다. 왜냐하면, 외부적인 하느님, 심판자 하느님, 초자연적인 전지전능한 하느님은 죽었기 때문이다. 교회에서 말하는 인간의 사죄와 하느님의 구원은 사람들을 끌어모으고, 통제하기 위한 상업적인 속임수에 불과하다. 어떤 모양의 필수조건들을 전제로하는 하느님의 구원은 얄팍한 술책에 불과하다. 인간은 하느님의 용서가 필요없다. 인간을 용서하고, 심판하고, 징벌하는 그런 부족적이고 옹졸한 하느님은 설득력과 효력이 없으며, 이미 죽었다. 21세기에 하느님이란 말을 사용하기 원한다면 그 의미는 인간의 존엄성을 폄하하면서 인간을 통제하고, 멋대로 조정하고, 이분법적으로 징벌하고 심판하는 인격적인 존재가 아니다. 하느님은 우주적이고 통합적이고 궁극적인 인간의 현실이다. 하느님은 믿어야하는 존재가 아니라, 삶의 방식이고 표현이다. 하느님이란 말은 은유(metaphor)이다.

 

회개구원공식은 기독교인들에게 대단히 익숙한 말이며, 생각과 예배에서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모든 기독교 예배에는 죄의 고백(회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교회는 이 말들의 의미를 표층적으로 또한 모호하게 만들었으며, 교인들은 무지함과 혼돈 속에서 심하게 세뇌되었다. 믿음체계의  죄의 중심성은 교인들의 개인적인 삶은 물론 사회적인 공동체적 삶에 밝은 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오히려 두려움과 혼돈에 빠트리고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오늘날 우주진화 세계관을 살아내는 현대인에게(sin)라는 말은 인간의 실수와 실패에 대한 문제를 가리키는 가장 적절한 표현이 될 수 없다. 인간의 현실적인 삶의 의미와 여정을 서사시적으로 기록한 성서를 문자적으로 믿는 교회기독교는 창세기의 에덴동산 이야기를 온 인류에게 적용하는 원죄론으로 변질시켰다. 즉 모든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죄인이며, 따라서 모든 인간은 죄가 많기 때문에 용서받지 못하면 죽어서 천국에 올라가지 못하고, 지옥에 떨어진다. 설상가상으로 용서의 필수조건은 기독교인이 되어야 하고, 교회에 다녀야 한다. 그러나 창세기는 온 인류가 문자적으로 믿어야하는 죄와 용서에 대한 교리책이 아니다. 138억 년의 우주진화 역사와 생명과 인간 생물종의 출현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과 다양하고 풍부한 삶의 경험을 쌓은 현대인들은 고대의 이분법적이고 부족적인 원죄론을 이해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이것은 비상식적이며 크게 잘못된 논리로써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대단히 위험하다고 인식한다. 교회가 주장하는 죄와 용서에 대한 원죄론은 괴상한 가설일뿐이다.

 

오랜 세월 동안 삼층 세계관적 믿음체계에 의해 심하게 세뇌된 기독교인들은 에 대해 새로운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