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was shocked and frustrated when I learned that Air Canada and Asiana Airlines still do impose cancellation charges on the customers who cancel their trips to South Korea, Japan and Italy.
As all of us read on the news, the COVID-19 virus continues to widespread throughout the world. The virus has been exploding in South Korea, Japan and Italy more dangerously during the last few days. No matter the level of the extent of the outbreak and severity of infection, this dangerous virus is proven to capable of targeting and impacting large populations in, especially, those three countries. Many experts warn the situation is becoming close to a pandemic.
Many workplaces in North America are implementing a temporary travel restriction of company-related air travels for their employees' health and safety. Even though both Canada and US government-level travels ban against South Korea, Japan and Italy has yet to be declared, all travelers who have plan to go to South Korea, Japan or Italy now should reconsider their trips. Frankly say, they should avoid non-essential travel, and cancel or reschedule their trips, not only for their own safety but for the sake of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Personally, I had planned to go to South Korea and Japan. I recently cancelled my trip. I was able to get a full refund from my travel agency and hotels in South Korea and Japan despite the non-refundable condition. I really admire the management decision of the hotels in South Korea and Japan. I surely believe that they did conduct best customer service and courtesy, based on their super-superior business ethic. I also appreciate the travel agency AGODA's maximum cooperation.
Unfortunately, Air Canada and Asiana Airlines, both Star Alliance member airlines, cling tenaciously to impose the cancellation charge.
They are cowardly making excuses that is the company policy, and the level of the government travel advisories has not met a certain criteria.
They pretend not to understand the ongoing COVID-19 crisis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a massive and destructive factor, not another general safety and security issue.
I am not talking about the money or the cancellation penalty.
I am talking about the serious business ethic problem.
I am talking about the serious moral hazard against humanity, that is not much different to an acting like entrapping the customers in imminent danger.
I politely and seriously request Air Canada, Asiana Airlines and Star Alliance to temporarily lift the cancellation charge policy on the destinations South Korea, Japan and Italy during the COVID-19 crisis going on.
Their cancellation charge policy may mislead numerous customers to misjudge, ending up them and, their families and their communities in destructive danger.
Best Regards,
March 1, 2020 sarnia(clipboard), Edmonton
전 바꿀일이 있으면, 절 바꾸기만 하는데...
그냥 그건 아닌데도 하면서, 거기에 순응하면서 살았습니다.
저도 걱정입니다. 가자니, 한국에서 2주, 여기서 2주를 가게를 못나가니 말이죠.
응원합니다.
상황으로 보아 귀국 항공편이 보장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신중하게 재고하시기 바랍니다.
This song tends to soften my heart and surrounds me with peace and calmness.
As a music director or a chorister for meetings of a religious organization I have belonged to, I used to pick this hymn numerous times for congregational singing when a speaker’s theme was repentance, faith or peace…
It is very reminiscent to hear this music on CN Dream in this way..
I'd like to post lyrics of the hymn because only the music is available here.
This hymn has 5 verses in my hymn book on a bookshelf in my living room.
Only the first 2 verses as follows.
* Nearer, My God, to Thee *
Nearer, my God, to thee,
Nearer to thee!
E’en though it be a cross
That raiseth me.
Still all my song shall be
Nearer, my God, to thee,
Nearer, my God, to thee,
Nearer to thee!
Though like the wanderer,
The sun gone down,
Darkness be over me,
My rest a stone,
Yet in my dreams I’d be
Nearer, my God, to thee,
Nearer, my God, to thee,
Nearer to thee!
아는 분은 알고 모르는 분은 모르겠지만 Nearer My God to Thee 는 타이타닉이 바다속으로 침몰해가는 종말단계에 그 배의 오키스트라가 마지막으로 연주했다고 알려진 곡이지요.
지금 인류가 바이러스 때문에 침몰하고 있느냐, 왜 재수없이 이 곡을 올렸느냐 는 비난이 나올 법 하지요.
물론 저는 그런 의미로 올린 건 아닙니다.
그건 그렇고,,
항공사들에게 보낸 저 편지에서도 언급했듯이, 자신 뿐 아니라 모두를 위해서 불필요한 여행은 자제해 주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며칠 전 같은 입으로 한국이 여행하기 안전한 나라라고 김민기 천리길 노래까지 틀어대더니 왜 말이 갑자기 바뀌었냐고 비난해도 할 수 없습니다. 제가 바뀐 게 중요한 게 아니라, 그때하고는 상황이 달라졌다는 게 중요하니까요.
전염병 문제는 제가 멋대로 상상해서 떠들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그 분야 전문가들의 조언을 참고합니다. 특히 인펙셔스 디지즈와 관련해 가까이에서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채널이 있고, 어쨌든 지금 한국여행은 취소하는 게 정답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얼마 전 캘거리 어느 한인장로교회 사람들이 이스라엘 터키 이탤리 한국여행을 하고 캐나다로 입국한다는 짧은 정보글이 교민게시판에 올라왔는데, 순식간에 1 만 몇 천 명이 클릭하고 수 많은 댓글이 달려 그 교회사람들이 도착후 자가격리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지요. 캘거리 시 한인동포 수가 3 만 명이 안 될텐데 그 짧은 시간안에 이렇게 많은 한인들이 몰려들어 정보공개와 감시활동을 하는 걸 보고 조금 놀랐어요.
모든 사물에는 밝은 면과 어두운 면이 공존하는데, 저는 이게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하지만 그 이면에 있는 어두운 면도 함께 생각했어요.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사람들을 이렇게 묶어내고 어그레시브한 집단주의로 변화시킬수도 있구나 하는 일부 논객들의 우려 역시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지금 한국방문을 하고 돌아온 사람들이 자가격리를 하지 않고 한인교회나 한인마트 등에 나타나면 공개비난의 대상이 되는 분위기죠.
우리와 같은 해외동포들에게 가장 충격을 준 장면은 아마도 마스크를 받으러 긴 줄을 서 있는 모습(대구)일 겁니다. 그 모습을 보고 눈물이 핑 돌았다는 분들도 있었습니다. 적어도 우리 세대(50대 후반)까지는 듣도보도 못한 장면이니 슬픔과 공포를 느끼는 건 무리가 아닙니다. 1973 년 1979 년 석유파동 때 주유소에서나 이런 장면을 보았을까요..
조심하시고, 건강하세요.
동전의 앞뒤면 인거지요.
전 성지순례하고 돌아오신 장로교회님들의 성함이나, 누구신지 전혀 모릅니다. 관심도 없고요..
그냥 권고되는 2주 격리기간을 좀 준수해주시기를 바라는 마음뿐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한인마트 가는 것 외에는 한국분들과 대면할 기회나 시간이 별로 없어 왔습니다.
이게 타이타닉이군요.
정말 그장면은 감동입니다.
사람은 죽을때 멋지게 죽을줄 알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비참하게 매달리는것 보다.
죽음을 의연하게 받아들이니...
더구나 이영화 상당 장면이 사실에 근거했다죠!
제가 어제 저녁에 '쉘부르의 우산'을 다시 한번 더 봤습니다.
10대 초반에 처음보고 몇번을 더 봤고, 어제 봤는데, 확실히 대단한 뮤지컬 영화라고 생각합니다.
여전히 가슴을 먹먹하게 하는 인간사 스토리이고요..
55 또는 56년 전의 영화에 나오는 패션이며- 좀 유치한 색상도 있지만요- 여러면에서 등등등 참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곡을 지은 미쉘 레그란드는 정말 천재이고, 많은 유명한 곡을 남기고 작년인가 돌아가셨죠..
이 영화의 그 아름다운 여주인공인 Catherine Deneuve 하시는 말씀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왈, ' 외모는 그사람의 characteristics 를 reveal 하지 않는다.' 라고 하시더군요..
외출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한다는 소리도 있는데 그게 과연 올바른 것인지,
관련분야 전문가 분 계시면 의견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전 또 영부인이 왜 일제 마스크를 쓰냐...
라는 이야기를 할뻔...
가끔은 고전을 보고 싶을 때가 있어요.
쉘브르의 우산, 며칠 전에는 모던 타임즈 봤구요, 오랫만에 카사블랑카 생각나서 다시 봤구요.
둘 다 흑백인데 고전은 언제 봐도 또 다른 감동을 줍니다.
결과도 공유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사실 clipboard님 말씀대로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늘 좋은 정보주심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