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전 1월 미국 오리건 주 말레르 야생보호구역 연방정부 건물이 무장 민병대에게 점거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 때는 오바마 대통령 때인데 사건의 발단은 이렇다.
오리건 주 하니(Harney) 카운티에서 목장을 하는 드와이트 허먼드(아버지) 스티븐 허먼드(아들)은 산불이 났을 때 목장을 지키기 위해 두 번 맞불을 놓았다. 일설에는 밀렵 증거를 없애기 위해 불을 질렀다고 한다.
연방정부는 허가없이 연방정부 재산에 불을 질렀다고 아버지는 3개월, 아들은 1년 형을 받고 수감되어 형기를 마쳤다. 그러나 연방정부는 두 사람이 죄과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은 형을 받았다고 두사람에게 4년형을 추가로 부과했다.
이들 부자가 형무소에 수감되기 전 날, 연방정부 처사가 지나치다고 생각한 목장주(Rancher)들이 무장을 하고 네바다, 아리조나에서 오리건 하니 카운티로 몰려 들어 야생동물 보호구역 본부를 점령했다.
20일 이상 무장 민병대의 점거가 계속되다 민병대 지도부가 인근 마을 행사에 참가하려고 차를 타고 이동 중 연방경찰의 제지를 받았다. 지도부는 경찰이 제지를 무시하고 차 안에서 대치하다 대변인 라보이 후니컴(Lavoy Funicum)이 차에서 내리다 연방경찰 총격에 사망했다.
무장 점거를 주도한 번디 형제와 지도부가 체포되고 무장 점거는 끝났는데 이 사건은 연방정부와 목장주들 사이의 갈등을 잘 나타냈다.
연방정부와 목장주들 간의 갈등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연방정부는 원주민 토지 강탈하던 수법으로 전국의 토지를 연방정부 소유로 만들었다. 이런 현상은 특히 서부가 심해 지역에 따라 30%-80%가 연방정부 땅이다.
땅 주인은 연방정부지만 땅에서 나는 풀은 민간이 처분해도 된다. 그래서 목장주들은 연방정부에 돈을 내고 토지를 빌려 목초지로 개간해 가축을 먹인다. 목장주들은 연방정부에 불만이 많다.
연방정부 간섭과 규제가 지나치게 심하고 사용료에 대한 불만도 있다. 연방정부는 연방정부대로 국가 경영의 틀에서 토지를 운용해야 하고 자연보호나 희귀 동식물 보호도 해야 하지만 자유를 최대의 가치로 삼는 미국인들에게 규제와 간섭은 생리에 맞지 않는다.
식민지 미국이 본국 정부와 전쟁을 해서 독립을 쟁취한 정신적 근거도 자유에 있다. 그리고 민병대도 독립전쟁에 일정 부분 기여를
차에서 내렸다 총격에 사망하는데 장례식 날 딸은 "아버지는 그런 사람이다. 나는 아버지가 자랑스럽다' 라고 말합니다.
지금도 라보이가 죽고 하비 카운티 셰리프 데이브 와드가 라보이 사망을 발표하는데 울면서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면 안된다"는게 생각 나는군요.
총격전 없이 사태가 수습된다해도 무장 민병대가 차타고 말타고 워싱톤으로 몰려든다면 그 자체가 민주당에게는 큰 정치적 부담이 될거에요.
갈등의 당사자는 트럼프지만 해결은 민주당과 신임 대통령이 해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