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힘으로 받게 된 첫 난민. 대한민국 축하합니다.
==========
미국시민 81 퍼센트가 아프간 주재 미국기관에 협조했던 아프간인들을 도와야 한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CBS 와 YouGov 가 공동실시한 여론조사에 응한 사람들은 민주당이나 공화당 등 당파에 관계없이 높은 수준으로 이들에 대한 특별이민비자 발급과 탈출수송작전에 동의했다. (민주당 90 퍼센트, 무당파 79 퍼센트, 공화당 76 퍼센트)
Poll Shows 81% Of Americans Support Taking In Afghans Who Assisted U.S. (forbes.com)
이 여론조사결과가 주목되는 이유는 그동안 지난 해 대선 부정선거 시비나 백신의무화 등 대부분의 쟁점에서 민주당 지지자들과 공화당 지지자들이 극과 극으로 대립양상을 보인 것과는 대조적이기 때문이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육로국경을 통해 탈출에 성공했거나 시도하는 난민규모는 수 백 만 명에 달하지만, 다국적군을 파견한 나라들에 의해 선별되어 특별이민비자 등을 받고 출국하는 난민은 15 만 명 안쪽이다.
현재 약 8 만 8 천 명의 특별이민비자를 심사 중이며 바이든 행정부가 예상하고 있는 미국 본토 수용난민규모는 대략 5 만 명에서 6 만 5 천 명이다.
이 15 만 명 중에는 다국적군 파견국 중 하나인 한국정부가 수용을 검토하고 있는 4 백 여 명이 포함되어 있다.
이 특별한 난민집단은 영어소통이 가능하고 교육수준이 높은, 이 나라 엘리트 또는 중상류계층 출신이다.
쉽게 말해 우수한 자질과 성장잠재력을 가진 사람들이다.
더 쉽게 말하자면 짐이 될 사람들이 아니라 그 나라에 기여할 가능성이 압도적이고 세월이 지나고 세대가 거듭될수록 그 나라 ‘반평균’을 끌어올릴 잠재적 모집단이다.
사실 위기가 닥쳤을 때 탈출여부를 판단하고 시기와 방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서 최선의 루트를 선택하여 비행기를 타는 용기와 지혜를 가진 사람들이 생각처럼 많지 않다.
그런 용기와 지혜가 모자라서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른채 그저 문 걸어 잠그고 가마떼기처럼 가만히 있는 사람들이 더 많다.
달러와 금괴를 챙겨가지고 나온 일부 특수층을 제외하면, 난민 첫 세대는 정착초반에 고생을 할 수도 있겠지만 자녀세대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계급의 세습이라는 말이 적어도 이들에게는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증명된지 오래다. 물론 실패사례도 만만치 않게 많지만, 무슨 일이나 그렇듯 다 자기 하기 나름이다.
난민을 받는 나라들.. 사실 작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거꾸로 그 나라가 그 난민으로 인해 축복을 받기도 한다.
(이질적인 종교문화배경가진 난민 받는 나라들이 나이브하다고?.......................^^
내게는 난민보다 그런 생각하는 당신이 더 이질적이다.)
난민받는 나라들이 ‘길게 보고’ 하는 계산은 다 따로 있다.
미국이나 캐나다나 어떤 면에서 따지고보면 그동안 남의 나라 불행을 기회삼아 한 나라의 인재풀을 수 만 명 씩 끌어모아 데리고 왔던 셈이다. 옛날부터 그랬다.
1970 년 대 들어 온 베트남 난민들이나 2015 년 들어 온 시리아 난민들의 출신성분을 보면 대강 짐작이 가능하다.
2015 년 가을 캐나다가 시리아 난민 2 만 5 천 명을 받겠다고 선언하고 실행에 옮겼을 때 세계는 박수를 쳤으니 칭찬도 받고 인재도 받고, 님도보고 뽕도 딴 사례가 따로없다.
우리의 고국 한국은 이번에 고작 4 백 명 밖에 못 데리고 간다고 하니 한편으론 지지리 복도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어찌 첫 술에 배부를 수 있으랴.
내가 알고 있기로는 한국이 외국분쟁에 개입하여 그 나라 난민을 주도적으로 데려오는 사례는 아마도 이게 단군이래 처음일테니 그 수가 많은 적든 크게 기뻐하고 진심으로 축하할 일이 아닐 수 없다.
반문명적인 이슬람원리주의 수구집단의 폭압통제에 시달리게 될 이들의 조국을 생각하면 누구에게든 기쁨이나 축하라는 단어는 입에 올리기 어렵지만 암튼 그렇다.
We are proud of you, Republic of Korea!
Congratulation!!
https://youtu.be/9dPL-6J9JPI
여러 종교 또는 반동 운동들은 "근대성" (modernity)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이슬람근본주의는 반문명주의라기 보다는 반근대적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어쨌든 제 서가에는 (modernity)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책들이 참 많습니다. 지난 주에는 mission thrift store에서 [The Clash of Modernities: The Islamist Challenge to Arab, Jewish, and Turkish Nationalism] (2011)을 75센트 주고 샀는데 modernities라는 복수형을 쓰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제도화로서의 "정치적" 실천은 참 중요하죠! 이런 실천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죠. 한 걸음씩 그리도 또 한걸음!!
지금 IS 테러로 미국과 탈레반이 동시에 곤경에 처했는데, 이 기적작전은 현지의 아수라장에서 정말 기적처럼 성공을 거둔 탈출작전으로 이미 칭송이 자자합니다. 이번에는 보수세력도 겉으로는 찬사를 보내는 시늉을 하고 있는데, 그 중 멍충이 보수는 또 문재인 정부가 이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한다는 의심을 하고 있군요.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말고 할 것도 없어요. 그냥 가만히 있어도 대한민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노벨평화상 후보에 오를만 합니다. 잘 한 건 잘 한 겁니다.
오늘 고국의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한 특별공로자 3 백 여 분을 열렬히 환영합니다.
바이든이 이번 자살폭탄공격을 주도한 세력을 직접 일망타진하겠다는 의사를 비추었군요. (We will not forgive you, will not forget, we will hunt you down and make you pay)
아마도 탈레반 신정부(아직 구성하지 않았음)에게 테러주모자와 배후세력을 체포하여 미국에게 넘기라는 요구를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만일 어느 시한까지 넘기지 않으면 아프간에서 공격자들을 직접 잡기위한 작전을 벌이겠다는 경고도 할 것으로 보는데, 그건 재침공을 의미합니다. 그 재침공날짜는 2021 년 10 월 7 일이 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상해 봅니다.
20 년 전쟁을 끝내겠다는 약속은 철회하지 않았는데, 여기서 전쟁이란 정규전을 의미합니다. 비정규전은 계속하겠다는 것이지요.
비정규전은 게릴라부대나 Devgru같은 암살단(공식명칭은 암살 테러 등 특수전 연구개발팀)을 파견하는 것만 의미하는 게 아니라 선전포고하지 않고 하는 모든 종류의 비공식 군사작전을 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