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드림 캐나다 앨버타주 1등 신문

라이프

자유게시판

어느 과학자의 인생유전

작성자 philby 게시물번호 15617 작성일 2022-01-08 22:37 조회수 3932

일차대전 일이다. 일차대전은 인류가 최초로 대량 살상을 겪은 전쟁으로 과학의 발전이 인류 진보에만 기여를 것이 아니고 엄청난 살인기구로 쓰여 지기도 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일차대전 일어난 시기를 파멸의 시대라고 부른다.

 

일차대전은 산업혁명과 깊은 관계가 있다. 산업혁명의 결과 대자본이 투입되어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져 수요는 한정되는데 공급은 과잉이었다. 과잉 생산된 상품을 소비하기 위한 시장이 필요했는데 말이 좋아 시장이지 강제로 물건 팔아먹을 식민지가 필요한거다.

 

당시 영국은 초강대국이 아닌 초초강대국으로 미국이란 식민지를 잃었지만 캐나다 인도 말레이시아 세계 도처에 식민지를 만들었고 중국도 식민지 상태로 영국의 공산품 소비시장 이었다. 식민지에다 물건 팔아먹고 원료를 값에 사들여오니 먹고 먹고인데 영국 프랑스가 알짜는 차지해버려 독일 같은 후발 주자는 뒤늦게 식민지 쟁탈전에 뛰어들었다.  

 

일차대전의 가장 원인은 제국주의 식민지 쟁탈전으로 주인공은 영국의 조지 5( 여왕의 할아버지) 독일의 빌헤름 2, 러시아 니콜라이 2세다. 이들은 서로 사촌 내지 외사촌으로사촌이 땅을 사면 아프다 속담이 우리나라에서만 통용되는 아니라 유럽에서도 통용된다는 것을 있다. 사촌이 식민지 차지하는 봐주는 거지.

 

사촌 사이의 전쟁에 대량 살상무기가 등장했는데 중에 독가스가 있다. 독가스는 뵈르뎅 전투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독일도 사용했고 프랑스도 사용했다. 독일에서 독가스를 개발한 사람은 프리츠 하버다. 그는 유대인으로 질소비료를 개발해 인류를 굶주림에서 구한 과학자다.
1900년대에는 기하급수적으로 인구가 늘어나 식량이 절대 부족이었는데 질소 비료 덕에 식량 생산량이 극적으로 늘어나 인류는 굶주림을 면했다.

 

질소비료가 없었으면 우리들의 대부분은 태어나지도 못했을 것이다. 당시 어느 정도로 식량난이 심각했다면저소득층 인구를 줄여야 한다 끔찍한 말이 공공연히 나돌았다. 질소비료 개발로 프리츠 하버는 1918 노벨상을 받았는데 지금도 먹거리의 1/3 질소비료 영향을 받고 있다.

 

하버는평화시에는 인류의 복지를 위해, 전쟁 때는 조국의 봉사해야 한다고 생각해 전쟁이 나자 독가스를 개발해 조국 독일에 봉사했다. 그는 독가스가 총이나 


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