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서 한 때 싱가포르에 있었는데 그 때 생긴 일이다.
쿠알라룸푸르에 갈 일이 생겼다. 대개 버스나 기차를 타고 가는데 버스는 보통 6-7시간 걸렸고 기차는 9시간 정도 걸렸다. 기차가 시간이 더 걸렸다. 그날은 새벽에 첫 버스 타고 쿠알라룸푸르 도착해 일 처리할 거 하고 저녁에 싱가포르 오는 기차를 탔다.
저녁에 기차 타면 다음 날 새벽 싱가포르에 도착한다. 그때 일정이 싱가포르 도착해 잠을 잠깐 자고 아침을 먹고 11시까지 공항에 가서 서울 가는 비행기를 타는 것이다.
기차를 탔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그날 따라 기차가 마냥 늑장을 부렸다. 타이핑 까지는그래도 천천히 달려도 움직이는 척하더니 타이핑 지나면서 스텝이 꼬였다. 그래도 별로 걱정을 안 했다. 아무리 늑장 부려도 내일 아침에는 도착하겠지. 정 늦으면 탄중파가 기차역에서 택시 타고 곧장 공항으로 가면 된다.
기차는 덜커덩 하고 움직이다 칠흑같이 어두운 벌판에 서서 움직일 줄 모른다. 에어컨이 고장 났는지 실내는 찜통이다. 창문을 열면 이름 모를 벌레 소리와 함께 더운 공기가 밀려 들어온다. 덜커덩 하고 움직이다 또 선다. 움직이는 시간보다 서 있는 시간이 더 많다. 그때만 해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철도 사정이 별로 좋지 않아서 연착 연발을 식은 죽 먹듯 했지만 그날은 정도가 심했다.
밤새도록 가다 서다 하기를 반복하던 기차가 조호바루 도착했을 때 아침 8시 정도. 여기서 내려 택시 타고 공항을 갈까? 조호바루에서는 다리만 건너면 바로 싱가포르이고 30분 이내에 탄중파가 기차역에 도착한다. 다 왔는데 설마 또 늑장 부리려고?
다리를 건넌 기차가 다시 서더니 움직일 줄 모른다. 다시 섰다. 이러다 비행기 놓치겠다는 불안감. 멀지 않은 곳에 도로가 보이고 차들이 왔다 갔다 하는 게 보인다. 여기서 내려서 택시를 타자. 그렇게 생각을 하고 기차에서 내려 도로까지 걸어갔다. 별로 먼 거리가 아니었다.
마침 빈 택시가 오길래 세웠다. “창이 에어포트!” 공항에서 내려 대한항공으로 가서 보딩패스 받아서 출국심사대에 줄을 섰다. 서울 가는
친구가 싱가포르 와서 며칠 지내더니 "야, 이게 고등학교지 나라냐?" 라며 탄식을 했다.
내가 경험한 싱가포르는 "돈 많은 북한" 이었다. 얽혀 있는 인연이 많은 곳이라서 다시 가보고는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