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을 입국장을 나와 길을 건너면 이런 건물을 만난다. 회전문을 통해 들어가면 된다.
들어가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B1을 누르고 지하 1 층으로 내려가면 이런 안내문이 보인다.
일반열차는 3600 원이었고 직통열차는 13600 원 이었는데, 직통열차는 서울역에서 짐을 부치고 출국심사를 받는 경우가 아니라면 별 매리트가 없어 보였다. (요금이 얼마였다고 과거형을 쓴 이유는 sarnia가 한국을 떠난 다음 날부터 공공교통요금을 인상한다고 했기 때문이다)
기차를 타기 전 이 곳에 들러 교통카드를 사자. sarnia는 T-Money 카드를 샀다. 카드요금 2500 원을 포함해 50000 원어치를 충전했다. 수도권 지하철 전철은 물론이고 택시도 이 카드로 이용할 수 있다.
카드를 사용하면 100 원씩이 할인되는데, 할인이 문제가 아니라 카드가 없으면 매번 잔돈을 준비하거나 지하철의 경우 1 회용 카드를 사서 쓰고 반납하고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서울에서 교통카드는 필수다.
단언하건대, 서울의 대중교통 시스템은 세계에서 가장 조밀하고 쾌적하며 깨끗하고 저렴하다. 가령 당신이 세계에서 가장 더럽고 지저분하고 위험하고 비싸기까지 한 지하철이 운행되고 있는 NY 같은 곳에서 왔다면 자신의 신세를 한탄할 정도로 서울의 지하철은 감동적이고도 매력적이다.
참, 로밍 폰을 가져 오지 않았다면 이 곳에 오기 전에 공항청사에서 셀폰을 렌트해야한다. 몇 개 회사 대리점들이 있는데 S Roaming 이라는 회사가 가장 저렴하다. 참고로 셀폰을 한국에서는 <핸드폰>이라고 한다.
영어가 조금씩 다른데, 예를 들면 네비게이터(GPS)를 네비게이션 하는 식이다. 여기는 한국이다. 한국에서는 한국 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잘난 척 하면 당신만 바보 된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공항철도다. 항상 이렇게 한산하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출퇴근 시간에는 붐빈다. 서울 지하철-전철 1 호선과 2 호선은 시도때도 없이 항상 붐빈다. 나머지 노선이나 서울 시내버스는 출퇴근 시간이 아니라면 어렵지 않게 앉을 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서울 지하철 승객들 승차 풍경이 참 재밌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백악관 경호원들 처럼 이어폰 리시버를 귀에 꽂고 있는데, 백악관 경호원들과 다른 점은 한 귀가 아닌 두 귀에 모두 꽂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이폰 리시버는 셀폰에 연결돼 있다.
터치스크린을 열심히 두드리고 있다면 10 대다.
터치스크린을 두드리지는 않고 뭔가를 보고 있다면 20 대다.
눈을 감은 채 무언가를 듣고만 있다면 30 대다
눈을 감은 채 고개를 끄덕거리며 졸고 있다면 40 대나 50 대일 가능성이 많다.
아무것도 귀에 꽂지 않고, 졸지도 않으면서 우두커니 앉아있다면 아마 60 대 이상일 것이다.
다 그렇다는 것은 아니고 대개 그렇다는 거다.
아나운스먼트가 센스있게 잘 나오므로 당신이 내릴 역이나 정류장이 어딘가 걱정할 필요는 없다. 아나운스먼트를 헷갈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해석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하기 위해 예화를 하나 들겠다.
------<이번 정류장은 서울역사박물관 경교장입니다. 다음 정류장은 광화문 금호아시아나입니다. 안녕하십니까 강북삼성병원은 항상 여러분의 힘이 되는 병원이 되겠습니다.>------
이 아나운스먼트에 <신문로>라는 말은 나오지 않는다. 멘트는 동네 이름이 아닌 렌드마크 중심으로 나온다. 서울역사박물관이 어딘지 모른다면 <경교장>이라는 말을 듣고 이곳이 신문로라는 것을 눈치채야 한다. <강북삼성병원> 멘트는 단순한 광고가 아니다. 그 병윈이 바로 이번 정류장 근처에 있다는 것을 함께 암시하고 있기도 하다.
이번에 정차할 역은 홍대입구 역입니다. 내리실 문은 오른 쪽 입니다.
Next stop is Hong-Ik University. The door is on your right.
쏼라쏼라~~
한 가지 알 수 없는 게 있는데, 왜 홍대 앞 역은 <홍대입구>고 이대 앞 역은 <이대> 인지 긍금했다. 누구에게 물어볼 수도 없고......
한 가지 알아둘 게 있다, 서울 시내버스 정류장의 쓰레기통은 투입식이 아니라 진열식이다. 즉 쓰레기통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다.
Segregation (무작정 분리) 가 아닌 Integration (일치 속의 조화) 개념을 도입한 거 같은데, 투입식과 진열식의 장단점을 생각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당신이 자녀들을 데리고 대한민국을 여행하고 있다면 의미있는 토론 주제일 수도 있겠다.
sarnia (clipboard)
서울시장선거 아주 답답했었는데, 요즘 느낌으로는 야권단일후보가 3%정도 차이로 이길거 같은 느낌입니다 (틀리지 않으면 좋겠는데...)
나경원 왈, \"약자를 기준으로 하는 도시를 만들겠다. 약한 편을 먼저 보듬는 시장이 되겠다.\" 이것은 표절이 아님은 이 분 머리에서 나올 수 없는 말인 것같은데...
수많은 \'제이\' 중의 한 명입니다.^^
실제로 제가 군 생활을 할 때 이 노래가 여전히 위력을 발휘하고 있었는데
그 때 만난 한 아리따운 미군 여성이 저를 \"\'J\' 라고 부르며 연애 쪽지를
보내곤 했지요^^
암튼 서울은 한마디로 제게 \'애증\'이 교차하는 곳입니다.
대한민국이 그렇습니다만..
국민 쌍X 을 치니까 또 하나의 여인이 나오더군요.
천안함때 죽은 어느 군인의 엄마인데..
어렸을 적에 무참히 내팽개치고 버렸던 그 엄마가
아들 죽어 보상금 나온다니 슬그머니 찾아와서
화환도 보내고 등등.. 돈 욕심에..
그여자나 이여자나 거기서 거깁니다. 국민 쌍X 완전 동감입니다.
조선, 중앙, 동아를 등에 업은 여권은 색깔론과 함께 수백억 기부금 의혹을
들고 나왔습니다.
그러니까 전혀 확인되지도 않고 검증되지도 않은 자기들만의 소설에 가까운 주장을 조선 동아 중앙 세 신문은 대문짝 만하게 마치 사실인 것처럼 의혹 기사를 내 보냈습니다.
그러니까..
\"박원순, 대기업으로부터 수백억 받아서 호의호식 의혹 일파만파\"
이렇게 기사를 뽑는거죠.
이것은 참으로 야비하고도 추잡스러운 반 지성적인 언론행위입니다.
언론 기사가 가진 예단적 성격을 고려할 때 이런 자극성이 있는 기사는
대중으로 하여금 사실과 다르게 왜곡된 시각을 형성케 합니다.
나중에 이것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지더라도 이미 선거는 끝난 뒤여서
억울함을 호소해도 소용이 없게 됩니다. 조선 중앙 동아를 업은 여권 세력은
거액 수령의 진실에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기에 더 이상의 조사도 사실 관계 증명을 위한 노력따위는 전혀 하지 않지요.
그냥 \"아니면 말고 \" 식입니다. 그동안 이런 식으로 멀쩡한 사람들을 주저앉힌 적이 한 두번이 아니지요.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해서도 똑같이 하여서 재미를 보았던 저들이기에..
박원순 후보에 대한 병역의혹 제기도 똑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나경원은 이명박 후보의 대변인 시절 노무현 대통령 사저가 아방궁이라고, 한 번 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악의에 찬 왜곡을 했지만 아직껏 아무런 사과와 해명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 여자는 한마디로 도덕불감증에다 지성과는 거리가 먼 천박한 길거리 여자나 다름없는 인격을 가졌습니다.
제가 보기에 박원순 후보의 수백억 기부금 호의호식 기사는 전혀 사실이 아닐 가능성 거의 100%입니다. 그러니까 대기업으로부터 돈받아 호의호식했다는
악의에 찬 왜곡된 기사 말입니다.
무슨 뜻인지 알겠습니다. 더욱 조심하겠습니다. ^^
사실 이런 표현에 대해 저 자신도 평소 꺼려하니까요.
굳이 변명을 하자면 그 문장의 앞뒤 문맥의 일치를 위해 썼는데..
사실 이 문장 자체도 다소 과격할 뿐 아니라 별로 바람직하지 않은 비유인 것 같습니다. 댓글에 수정 기능이 있다면 수정하고 싶네요.
암튼 불편하게 해서 미안하군요. 동시에 제 경솔한 표현으로 마음에 불편함이 있는 모든 분들께도 같이 사과를 드립니다.
성희롱으로 한나라당에서 제명된 무소속 강용석 의원이라는 사람이 박원순님 저격수로 활동한다니 참 희한한 세상입니다.
어쩌면 분노를 지대로 표현하고 싶은 감정이 지나쳐
그런 표현을 썼는 것 같아요. 어쨋든 송구하구요..
사실 저는 때론 이 남자 저 남자 또는 이넘 저넘 (그러나 ㄴ ㅕ ㄴ 이란 표현은 절 대 안씁니다.) 하며 조롱하거나 분노를 표할 때도 많은데 이건 그래도 좀 다르겠죠? 아무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