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가 좋은 이 노래 동영상은 펌
-----------------------------------------------------------------------
어느 가을날 오후의 연주회
서울 서교동
양철선반 위의 고양이
Bangkok Pratu Nam Pier
비행기표 발권하려는데 돈 아깝다는 생각이 들긴 또 난생 처음이다. 한국에 간다는 거,, 예전같은 설레임이나 즐거움은 사라진지 오래다. 패션도 설레임도 즐거움도 없는데 미리 표 살 이유 없으므로 발권을 잠시 뒤로 미뤘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한국가는 즐거움이 사라졌다기 보다는, 장거리 비행기 타는 게 싫어졌다. 언젠가 밴쿠버로 돌아오는 대한항공 기내에서, 비슷한 또래의 웬 중국계 아줌마와 싸움박질을 한 다음부터 생긴 증상같기도 하다.
싸움박질이라는게, 서로 머리채 붙잡고 싸웠다는 이야기가 아니고, 그 아줌마는 계속 나를 힐끗거리며 입술을 비쭉거리고 나는 옆에서 가끔씩 그 아줌마의 부아를 슬슬 돋구며 서로 신경전을 벌이면서 갔다는 말인데, 그게 오래 계속되니까 아주 피곤해졌었다.
꼭 그 사건때문만은 아니더라도, add-on 여행지까지 편도 스무시간 가까운 비행을 할 생각하면 벌써부터 한숨이 나온다.
그래도 가긴 가야한다. 9 월이니 얼마 남지도 않았다.
이번엔 어디 갈까? 머릿속 캔버스에 대강 스케치를 해놓고 디테일을 하나씩 그려넣어 봤다.
첫째, 낡은 유럽식 가옥들 사이로 좁은 강이 흐르는 예쁜 도시
둘째, 전생에 그곳에 살았던 것 같은 느낌이 다가오는 친숙한 도시
셋째, 색바랜 옛날 영화처럼 필름효과 풍경이 있는 아담한 도시
넷째, Cebu처럼...... 비극과 슬픔의 식민지 역사가 풍경 안에 묻혀 있는 도시
진열대에 깔린 상품 중 하나를 고르는 게 아니라, 먼저 그림부터 그려놓고 그 상상속 도시를 찾아나서는 작업,, 재미있을 것 같다. 올 가을에는 그런 도시에 가기로 했다. 언제나 그랬듯이 올해 가을여행의 베이스캠프는 서울이다. 다만 올해는 외삼촌댁이 있는 대구 수성구 만촌동이 추가된다.
어쨌든 ,,, 베이스캠프 서울에서 너무 멀지 않은, 그 상상의 도시를 찾아나섰다. 서울을 기점으로 비행시간 7 시간-반경 5 천 킬로미터 이내에 있는 도시들을 살펴보면서 나의 상상의 도시와 하나씩 비교해 보았다.
한 군데 찾아냈다. 아니 찾아냈다기 보단 생각났다는 게 맞을 것 같다.
말라카 (Malacca/ Melaka)다. 당첨 !
시애틀을 출발, 인천을 경유해서 싱가포르로 가는 아시아나항공을 이용한다. 싱가포르에서 말라카는 국제버스로 왕복한다. 쿠알라룸푸르 대신 싱가포르를 경유지로 택한 이유는,, 육로로 문화경계선넘기를 좋아라하는 나의 특이한 여행취향 때문이다.
신기한 곳에 가서 두리번두리번거리는 것 보다는, 심심한 곳에 가서 그냥 우두커니 앉아있다 오고싶다.
그나저나 이젠 세월이 좀 천천히 갔으면 좋겠다.
Rest in Peace, the Three Young Passengers of OZ214
외세침입을 수없이 겪은 곳, 폐허가 된 성 바오로 성당, 바다를 향해 설치된 대포와 성채, 그런데 적들이 뒤로 공격해 들어와 대포와 성채는 무용지물이 되었고... 성채 뒤로는 식민지 점령의 하수인으로 내몰렸던 포르투칼 장병들의 무덤이 있고. 고향을 떠나 이역만리에 뼈를 묻은 사람들...
해변 나무그늘에 앉아 야자 사먹은 기억이 나네요. 도끼처럼 생긴 칼로 야자열매 윗 부분을 잘라내고, 야자열매가 무지 단단하더라구요, 안에 담긴 야자수를 마시고 속에 박처럼 생긴 흰 속살도 오려서 먹고. 야자열매 속살이 더위를 이기는데 좋다니 많이 먹으면서 다니구요.
야자열매 말씀하시니까 저는 코코넛 열매가 생각나네요. 10 여 년 전 T&T 에선가 코코넛 열매를 하나 사 온 적이 있지요. 첨엔 칼로 자르려다 택도 없다는 걸 알게됐고 망치로도 두드려보고 나중엔 땅바닥에 내동댕이 쳐보기도하다가 결국 쓰레기통에 버렸어요. 코코넛 역시 도끼같이 생긴 칼로 열매 윗부분을 쳐낸다는 걸 나중에야 알게 됐습니다.
코코넛 열매 안에 있는 물이 시원하다고해서 태국에서 한 개 사 먹어 봤는데 시원하지도 않고 맛도 밍밍해서 다음부턴 절대 사 먹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