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다큐멘터리가 이미 제작되었었는데, 모르시는 분들이 많고, 다같이 나누어 보고 싶어서 유투브 링크를 올립니다.
---
- http://www.youtube.com/watch?v=cdVBXh8H4vA
대장경 천년특집 다르마 2부 - 치유 [완결]
- http://www.youtube.com/watch?v=0oWDePCwUlA
- http://www.youtube.com/watch?v=yIFNPd9DgZ0
대장경 천년특집 다르마 4부 - 행복은 어디에 있는가 [부분]
- http://www.youtube.com/watch?v=yQ2PtkpoNQg
---
문화적 가치와 삶의 지혜를 주는 우리의 문화 유산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을까요?
* 운영팀.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3-09-17 03:00)
거기 나오는 Robert E. Buswell 의 [The Zen Monastic Experience]를 일부 읽었습니다. 흔히 학자들이 종교혼합주의(syncretism)의 예로 한국의 절을 많이 듭니다. 한국의 절에는 무속(샤마니즘)의 영향을 받은 삼성각, 칠성각, 명부전의 건물들이 있는데 이것이 불교와 무속이 서로 습합되었다는 증거로 드는데, 버스웰은 한국 불교의 도량 또는 monastery의 수행정진을 보면서 불교의 혼합주의는 불교 엘리트 집단보다는 오히려 일반 대중을 통해서 외피적으로 일어났다고 주장하는데, 저는 동의합니다. 버스웰과 반대로 인류학자 Laurel Kendall 은 샤마니즘과 불교의 상호 교류에 관심을 많이 보여 왔습니다. 버스웰은 박성배 교수와 더불어 서구에서 한국 불교 전문가로 알려졌습니다. 켄들의 주요책은 [Shamans, Housewives, and Other Restless Spirits]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