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탄절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성탄절은 예수선생께서 탄생하신 날이라고 합니다.
근데,,,,,, 조금 이상한 게 있습니다.
예수선생의image를 재창조해 기독교를 글로벌 상품으로 제작했던 바울은 이상하게도 그의 탄생 이야기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바울은 자기가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예수라는 인물의 역사적 행적에 대해 거의 관심을 표명한 적이 없었습니다. 그는 예수선생의 고향이라든가, 그가 십자가에 매달렸다는 골고다언덕 같은 곳에 가 볼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예수선생의 무덤에도 가지 않았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예수선생이 언제 어떻게 탄생했느냐 하는 문제가 바울에게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 입니다.
바울은 왜 예수선생의 탄생 이야기를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을까요?
바울은 자신이 재창조한 예수선생을 역사적 인물로서 전파할 의도가 없었던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럴 의도가 있었다면 그는 예수선생의 아이디(출생증명서와 생활기록부) 부터 만들어보려고 노력했을텐데 전혀 그런 노력을 한 흔적이 없습니다.
그는 자기가 직접 쓴 편지인 갈라디아서에서‘기독교를 받아들인 후에도 3 년 동안이나 예루살렘을 방문하지 않았다’고 기록했습니다. 그러니까 사도행전을 쓴 후대의 기록자는 갈라디아서를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바울이 예루살렘으로 가서 제자들을 만났다고 거짓말 기록을 한 셈입니다.
이제는 신학자가 아니더라도 많은 기독교인들이 동의하는 것이지만,,,,,,
바울시대에 예수의 동정녀 탄생 신화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 입니다. 그런 건 나중에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낸 이야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부활 이야기 역시 예수-바울 시대에는 아예 존재하지 않았는데, 후대에 마치 부활 이야기가 원래 있었던 거처럼 이야기를 꾸며 놓은 게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하기도 하지만 지금 부활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오늘은 예수선생 생신으로 그 주제를 제한하고 부활 이야기는 피하는 게 좋겠습니다. 생일잔치에 와서 초상난 이야기하는 건 어울리지 않습니다.
싸르니아가 작년 성탄절 무렵에 ‘성서’를 열심히 읽으면서 한 가지 깨달은 게 있습니다.
기독교경전 (일부 오만한 기독교인들이 신약이라고 부르는) 본문 중에 가끔 등장하는 “그 경위는 이러하니라~” 라는 문장을 조심해야겠구나,,, 하는 것 입니다.
앞뒤가 맞지 않는 스토리 두 개를 앞뒤가 맞도록 연결시키려 할 때 기독교경전에서는 항상 “그 경위는 이러하니라~” 라고 하는 접속문장이 삽입됩니다.
크리스마스니까 마태오복음을 예로들자면, 그 문서의 1 장 17 절과 18 절 사이에도 "그 경위는 이러하니라~" 라고 하는 수상쩍은 접속문장이 삽입되어 있습니다.
잘 알다시피 마태오복음 1 장 1 절부터 17 절에서는 예수의 족보를 나열했습니다.누구는 누구를 낳고 누구는 누구를 낳고 계속 이어지다가 그 장 맨 마지막에 느닷없이 요셉의 아버지가 요셉을 낳은 게 아니라, 마리아의 남편 요셉을 낳았다고 써 놓았습니다.
아버지가 아들을 낳은 게 아니라 ‘며느리의 남편을 낳았다’니 이게 무슨 희안한 어법인가 !! 하고 순간적으로, 그리고 새삼스럽게 놀랐었습니다. 여기에는 틀림없이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작년 크리스마스 무렵 이 절을 읽으면서 싸르니아는 마태오복음 1 장부터 17 장을 쓴 사람이 예수선생께서 혼외 임신을 통해 탄생했다는 점을 너무나 잘 아는 사람일 거라고 추정했습니다.
혼외 임신은 고대유대율법이 지배했던 지역에서 당연히 비합법 임신인데, 비합법 임신이 동정녀 임신으로 둔갑하게 된 계기가 단순히 히브리어 ‘젊은 여자 (almah)’를 ‘그리스어 처녀(parthenos)’로 잘못 번역한 데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입니다. 잘못 번역했다면 우연한 오역이 아니라 의도적인 오역이었을 것 입니다.
예수선생의 족보에 처지가 비슷비슷한 여인 세 사람이 등장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도 다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느닷없이 마리아라는 여자 이름만 족보 맨 마지막에 혼자 등장하면 어색하고 이상하니까 앞에다가 다말, 라합, 밧세바 등 세 여자를 일부러 끼워넣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번개처럼 함께 떠 올랐습니다.
(싸르니아는 혹시 천재가 아닐까요??)
공교롭게도 세 여자 모두 ‘비정상적 여인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다말은 시아버지와 섹스해서 임신하는 바람에 예수선생의 조상이 됐습니다. 라합은 거리의 여자 출신입니다. 밧세바는 남편이 소속된 군대의 통수권자인 킹 데이빗과 적절치 로멘스를 벌였습니다. 로멘스로 끝난 게 아니라, 밧세바의 남편이 죽임을 당하는 치정살인사건까지 일어났습니다.
싸르니아의 추측이 맞을 겁니다. 마태오복음의 필자는 '비합법적 임산부' 마리아에게 집중되는 독자들의 부담스러운 시선을 분산시키기 위해 비슷한 처지에 있는 다른 세 여자를 족보에 함께 등장시켰을 것 입니다. (물론 제 추측이 틀렸을 수도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당시로서는 ‘불행한 처지’ 였던 세 여인을 등장시키는 것을 통해 낮은 처지로 강람하신 예수선생의 슬픈 image 를 감동적인 방향으로 극대화 시키는데 까지 성공했습니다. 불행함과 불쌍함을 위대함으로 멋지게 승화시킨 것 입니다. 마태오복음의 필자가 놀라운 예지력과 문학감각을 갖춘 타고난 대문호가 아니라면 이런 성공은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18 절부터25 절까지는 앞의 1 장부터 17 절까지의 그 이상한 족보 이야기를 토대로 너무도 유명한 동정녀 탄생스토리가 이어집니다.
전혀 주제가 각각 다른 두 이야기, 즉 1 절부터 17 절까지의 족보 이야기와18 절부터 이어지는 동정녀탄생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연결시키기 위해 18 절 부터의 이야기를 쓴 필자는 예의 다음과 같은 접속문장을 17절과 18 절 사이에 끼워 넣은 것 같습니다.
“그 경위는 이러하니라……”
이 접속문장 덕분에 오늘도 사람들은 예수선생의 조상 이야기와 탄생 이야기를 자연스러운 사실처럼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다만 매우 아이러니하게도 오늘의 기독교를 각본-연출한 바울은 예수선생의 탄생스토리를 전혀 몰랐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바울이 예수선생의 탄생스토리를 몰랐건,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건, 어쨌건,,
싸르니아는 여전히 예수선생의 생신을 즐겁게 축하합니다.
중요한 것은,
Do not stay so blind.
그래야 여전히 성탄절을 즐겁게 측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막다른 골목에 몰린 기독교가 살아남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메리 크리스마스 & 해피 하누카
클립보드님의 글의 주제와 약간 벗어났는지 모르지만, 동정녀 개념 등의 문제는 약간 다른 각도에서 봐야 합니다. 캘거리 강연에서 최성철 목사님께서 제 기억으로는 히브리어로 된 구약성서(히브리성서)를 초기 기독교인의 기본 텍스트로 보셨는데, 제가 이해한 초기 기독교는 철저히 히랍문명권에 있었고, 이러한 희랍문명권에서 산 기독교인들은 히브리어를 거의 몰랐고, 70인역이라고 하는 히랍어 구약성서인 셉투아진트를 기본 텍스트 사용했다고 봐야 합니다. 파편화된 히브리어 마소라 텍스트의 복원은 기원후 10-11세기에야 거의 완성되었습니다. 신약성서 역시 셉투아진트(구약)를 집중적으로 인용하고 있습니다. 사해사본이 유명해진 이유는 그동안 마소라 텍스트의 정확도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의구심을 가졌었는데, 사해사본의 발견으로 그 신빙성을 인정받았으며, 셉투아진트 역시 상당해 괜찮은 번역이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셉트아진트의 번역스타일은 의역보다는 직역에 가깝다는 것도 밝혀졌구요. 동정녀 개념도 이런 셉투아진트에 기인한 논란이라고 보구요. 바울이 육체적 부활에 관심을 별로 가지지 않았다는 주장은 오해를 불러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민중신학자 안병무 선생이 치열하게 물고 늘어진 개념이 바로 히랍어 쏘마(몸)의 부활 개념이었죠. 이 쏘마의 개념은 영지주의적 또는 영적인 문제에 예수의 부활을 국한시킨 영지주의적 이해에 대한 강력한 바울의 도전이었다는 것이죠.
클립보드님께서 ““그 경위는 이러하니라~” 라는 말씀은 복음서가 기본적으로 이야기에 기초한 것이지 역사적 진술은 아니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보구요. 물론 역사는 어떤 형태든 인과성을 기초로 해야해서 내러티브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복음서가 역사서가 아닌 것은 분명합니다. 바울 역시 타키투스와 같은 역사학도가 아닌 종교법 학자 또는 조직신학자로 봐야겠죠.
사실, 역사에 가장 관심이 적은 종교는 힌두교와 불교라고 봅니다. 힌두교의 그 수많은 신 중에서 역사적 인물이 신이 된 경우는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갑자기 이런 생각이 나서 한번 알아봐야겠습니다. 불교의 경우, 석가모니 밖에 없는데, 그런데도 The Historical Buddha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는 것도 흥미롭구요. 제가 볼 때, 오강남 교수님이나 최성철 목사님께서 깨달음의 예수를 강조하시는데, 이것은 역사학으로서의 역사적 예수가 아니라 불교적 깨달음의 틀에서 보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크스 보그 등이 주장하는 역사적 예수가 지혜자로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힘을 얻고 있다고 보구요. 기독교는 세간적 종교이고, 불교는 출세간적 종교라는 현상학적 분류도 이들 종교가 갖는 특성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가장 독창적인 조직신학적 대작인 폴 틸리히의 [The Systematic Theology]에서도 이성과 계시(인신론), 존재와 하나님(존재론 ), 실존과 그리스도(실존론), 생명과 영, 그리고 역사와 하나님나라 라는 항목이 있듯이, 역사는 항상 기독교의 핵심 주제였죠. 헤겔의 변증법적 역사관도 기독교의 역사관의 영향을 받았구요. 중도적인 학자인 독일의 판넨베르크의 \"역사로서의 계시\"라는 말도 바로 기독교의 역사적 관심을 반영하는 것입니다. 시간관 자체가 직선적이니까 더 그렇겠죠. 제가 궁금한 것은 불교학자들 중에 “역사와 깨달음”의 주제를 얼마나 다루고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특히 한국에서 그런 교학불교를 하는 사람들이 있는지 궁금하군요.
참, 그리고 초기 기독교엔 주일 성수라는 것이 없었습니다. 이것은 후대에 있었던 개념이구요. 그들은 거의 매일 만나 예배를 드렸죠. 종교개혁자들도 주일 개념을 별로 갖고 있지 않았습니다. 이 문제는 아래 안식일교회의 안식일주의에 대한 글에서 제가 약간 언급했습니다.
여호와의 증인에서 안지키듯이 성탄절은 더 그렇죠. 모든 종교는 진화 또는 cultural adaptation을 겪습니다. 첨부터 완성된 종교는 없죠. 새로운 상황에서 초기 종교운동으로 되돌아가자는 취지는 좋지만, 전부는 아니죠. ㅋ
근데 아프리카님, 주일성수가 절대적이라서 주일성수 안하면 순결한 처녀가 처녀성이라도 잃은 듯이 취급하는데 언제부터 그렇게 된거에요?
주의 날(일요일)을 안식일로 기념하게 되는 것은 종교개혁 이후입니다. 칼빈조차도 일주일에 하루는 예배일로 정해야 되지 않느냐는 생각을 했지만 주일성수에 대한 주장은 하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전에 가톨릭 교회에서 주일성수를 강조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종교개혁들에겐 반작용이 되었습니다. 교황권에 대한 반발이었죠. 유럽대륙의 종교개혁가들은 주일성수를 교황이 악랄하게 날조한 것이라고까지 하였습니다. 주일성수는 프로테스탄티즘과 가톨릭교의 중도적 입장에 있었던 성공회에서 서서히 발전되어 이후 토요일을 안식일을 지키자는 침례교도와 일요일 주일을 지키는 청교도들의 영향으로 점점 순결주의적 주일성수로 발전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주일성수가 주류를 이룬 시대는 17세기 초부터 20세기 중반까지지만, 그 절정은 19세기이며, 한국의 경우, 이러한 19세기의 청교도적 주일성수가 그대로 이식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보구요. 가톨릭이 주일성수의 개념을 발전시켰지만, 루터교와 함께 개신교처럼 엄밀하게 발전시킨 것은 아닙니다. 그렇게 본다면 19세기의 주일성수의 절정은 개신교의 나라에서 형성된 것이며, 그 대표적인 나라가 미국이었습니다. 그런데 주일성수를 종교적 발전에만 한정시키면 안됩니다.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요일 휴일의 발전도 주일 성수를 이해하는 또다른 변수겠죠. 안식일교회의 토요일 안식일 준수는 토요일을 안식일로 준수하자는 영국의 침례교의 영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전통이 미국으로 건너가서 나중에 토요일 안식일주의로 발전된 경우라고 볼 수 있겠죠.
한국의 보수교회 교역자들이 일요일을 주의 날, 즉 주일로 불러야 된다고 했는데, 초창기 종교개혁가들이 철저히 가톨릭교희 영향에서 벗어나자는 취지로 주일을 부인했던 역사적 전거를 무시하면 안되겠죠. 한국에서 토요일 휴무제가 실지된다고 하자 개신교회에서 들고 일어났었는데, 그 이유는 교인들이 토요일부터 놀러가면 일요일에 피곤해서 교회에서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었죠. 일요일에 시험을 보지 못하게 하는 데모도 일부 개신교들이 한국에서 했었습니다. 진정한 교회는 교회의 건물이 아니라 회중에 있듯이 신을 섬기는 것은 일요일에 한번이 아니라 매순간이지만, 정기적으로 교회에 나가는 것은 비난받아야 하는 전통은 아니라고 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종교와 문화의 관계는 상관적이며 서로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문화나 종교는 없습니다. 이런 과정속에서 어떤 문화는 소멸되고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겠죠. 요즘 주일 성수라는 개념이 흐릿해지고 있습니다. 일부 천주교회에서 토요일 저녁 미사를 드리게 된 것은 성직자의 부족 때문이기도 하지만, 일요일에 일하는 신자가 많다는 경제 구조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죠. 아마 밴프의 한인장로교회는 일요일 저녁에 예배를 드릴 겁니다. 토요일 저녁이나 일요일 아침이나 저녁이나 뭐가 차이가 나나여? 그래도 교회 안나오는 사람들보다 교회나오는 사람들이 교회에서는 반갑죠. ㅋㅋ
일요일은 Holy Day이며 Holiday이기도 합니다. 전자가 강조되면 주홍글씨 시대의 청교도주의가 되며, 후자만 강조되면 뭐 종교의 시대는 종말을 고하고 세속시대가 겠지만 그럴 일은 없겠죠. 어쨌든 우리가 쉴수 있다는 것은 소중합니다. 너무 많이 쉬면 우울증에 빠진다고 합니다. 빌리 썬데이의 Gloomy Sunday라는 노래처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