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교회에서는 2월 18일 Ash Wednesday 로부터 사순절을 지킵니다. 사순절은 역사적 예수의 삶과 행동을 깊이 성찰하면서 나와 우리의 삶을 재점검하는 기간입니다. 그러면 예수의 부활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침 이 시기에 영국 성공회 신학자 돈 큐핏(Don Cupitt)이 새로운 책을 출간했습니다. 아직 책방에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저도 주문한 상태이고 책 전체를 읽지 못했습니다. 큐핏은 저의 진부한 과거의 패러다임 신학을 뒤집어 엎은 스승입니다. 그래도 아마존에서 간략하게 책소개한 것과 제가 이해하는 큐핏의 신학을 참고하면 전체 내용을 대충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큐핏의 신앙의 핵심인 '태양같은 신앙/삶'(Solar faith/living)을 좀 더 쉽게 풀이한 책인듯합니다. 저는 큐핏의 신학을 전적으로 동의할 뿐만아니라 저의 전문적인 목회 강단에서 '믿는 것보다 사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고 강조했습니다. 종교/신앙의 목적과 기능은 이 세상을 버리고 죽은 후에 다른 세상으로 가서 더 잘 살아보겠다는 것이 아닙니다. 종교/신앙의 목적은 새로운 세상, 온 인류가 한 사람도 제외되지 않고 자유하게 행복하게 풍요롭게 사는 세상을 우리 모두가 공동 창조자로써 재창조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큐핏의 새로운 책 'Creative Faith'(창조적인 신앙)의 요점입니다. 종교는 새로운 세상을 건설하는 것이지 이 세상을 더럽다고 정죄하고 포기하고 다른 세상으로 도피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것은 '하느님의 나라가 지금 여기에 임했다' 고 선언한 역사적 예수의 정신이었습니다. www.amazon.ca ('Creative Faith', Don Cupitt)에서 이 책을 주문할 수 있습니다. Cheers!

A는 장로에요. 김홍도가 시무하는 금란교회 장로. 쇠털 처럼 많은 교회중에 하필 금란교회 장로인지... B는 무신론자 입니다.
바둑은 B가 거의 이기는 형세인데 패가 생겨서는 A의 죽었던 대마가 살아나며 역전. 다 이긴 바둑 역전되면 그거 열 받습니다. "아.. (쌍 시옷이 나오면서) 죽었다 살아나는 건 예수하고 바둑 밖에 없구나"
A: 야 바둑 졌으면 졌지 왜 예수님은 들먹이나? 거룩하신 예수님을 바둑에 비교해?
바둑 두다 말고 언쟁이 벌어졌는데 바로 그 다음날 B가 교통사고가 났어요.
그 이야기를 들은 A "하나님에게 벌 받은거야."
절대자가 있어서 인간 행위에 따라 벌 주고 상주는 일은 전에도 없었고 지금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겁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절대자가 있어서 행위에 따라 벌도 주고 상도 주고 하면 어떨까 합니다. 그러면 세상이 나아지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