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 Entry는 CEC신청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초청장을 발부하므로, FSWP혹은 FSTP프로그램의 기본 자격 조건을 만족하고도 영주권 신청의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이전에는 LMIA점수가 600점으로 LMIA만 있다면 초청장을 받는 것이 거의 확실하였으나, 최근 11월 중순경에 LMIA점수가 600점에서 50-200점으로 하향 조정되어 많은 분들이 계획을 변경하고 주를 옮기는 등 우왕좌왕 하였습니다. 더군다나 CRS 점수 계산 체계가 단순 개인 점수 영역뿐 아니라 두 가지 항목을 복합적으로 연결해서 점수를 받는 기술 이전성 영역과 추가 포인트 등으로 나뉘어 있어 정확한 점수 산정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정부 이민이 좋을 지, Express Entry로 가야 할 지에 대한 단순한 답변은 어렵지만, 어떤 이민 프로그램으로 진행을 하는 것이 좋을 지에 대한 기준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캐나다 이민국은 합격인원과 기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합격 점수를 조절하고 있습니다. 매 추첨 시 추첨 인원과 추첨 점수, 연간 추첨 예상 인원 수를 고려하면 대략적인 점수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2017년 Express Entry를 통해 약 7만명을 유치할 것으로 예상한 것을 바탕으로 작년 11월 30일 559명 추첨에 786점에서 합격 점수가 꾸준히 하락하여 3월 1일 기준 추첨 인원이 3,500명을 넘어가고 있습니다. 3월 1일 합격 점수가 434점인것을 감안하면 앞으로 합격 점수가 400대 초반 정도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Express Entry Calculation Tool]
http://www.cic.gc.ca/english/immigrate/skilled/crs-tool.asp?_ga=1.21990975.5608883.1485298359
2016년 11월 19일 LMIA 점수 하락 이후 초청 점수
|
초청 인원 |
점수 |
March 1, 2017 |
3,884 |
434 |
February 22, 2017 |
3,611 |
441 |
February 08, 2017 |
3,644 |
447 |
January 25, 2017 |
3,508 |
453 |
January 11, 2017 |
3,334 |
459 |
January 4, 2017 |
2,902 |
468 |
December 22, 2016 |
2,878 |
475 |
December 16, 2016 |
1,936 |
497 |
November 30, 2016 |
559 |
786 |
한국에서 대졸 이상 학력인 20대가 한국 경력 없이 영어 CLB 7(아이엘츠 6.0), 캐나다경력 1년 이상, LMIA로 50점을 받을 경우, EE점수는 414점 정도입니다. 만일 한국 경력이 1년이라도 있는 경우26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으며, 영어를 9점으로 혹은 캐나다 경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