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안내   종이신문보기   업소록   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자유게시판
[연재칼럼 12] 교회에 가는 것만이 하느님을 믿는 것이 아니다!
작성자 늘봄     게시물번호 10824 작성일 2018-04-22 08:48 조회수 2045

21세기에 많은 기독교인들은 하나님’(god)을 믿는지, 아니면 믿음체계의 교회가 만든 소위 믿음’(so-called belief)을 믿는지에 대해 솔직하게 분별하지 못한체 심각한 혼돈에 빠져있다. 사실상, 오늘날 기독교인들은 하느님을 믿어 교회에 가는 것이 아니라, 보상심리와 죽음의 두려움 때문에 교회가 상업적으로 만든 믿음의 공식즉 타락--회개-구원이라는 사영리(四靈理) 교리를 입술로 인정하기 위해 교회에 간다. 다시 말해, 교회는 천국-지옥, 구원-심판, 축복-징벌, 현세-내세의 이분법적이며 조건부적인 교리를 암시하는 신성론(예수는 하늘 위에서 땅으로 내려 온 하나님)과 구원론(예수가 인간의 죄를 대신해서 죽었다)과 창조론(초자연적인 하나님이 미리 계획한대로 우주세계를 창조했다)을 관념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믿음이라고 규정했다. 불행하게도 인류역사에서 이런 믿음이 세상을 구원하기는 커녕 배타주의와 우월주의로 인종차별, 성차별, 성적본능차별, 빈부차별, 종교차별, 생태계파괴, 전쟁과 테러를 불러 일으켜 지구촌의 헤아릴 수 없이 수많은 사람들이 절망과 고통 속에서 신음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믿음은 세상의 위급한 문제들을 못본체하거나 무시해왔다. 이 믿음이 계속되는 한 지구촌의 미래는 암담하기만 하다.

 

주목해야 할 것은, 하느님을 믿는 것은 오직 교회에 가는 것과 성서를 많이 읽는 것과 새벽기도회에 참석하는 것과 헌금을 바치는 것이 아니다. 또한 하느님을 믿는 것은 죽은 후 천국에 가기 위한 필수조건이 될 수 없고, 더욱이 질병에 걸리지 않고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책도 될 수 없으며, 이 세상에서 돈많이 벌어 부자가 되는 것을 보장하지 못한다. 이러한 보상심리의 믿음은 교회기독교가 만든 상업적이고 정치적인 꼼수에 불과하다.

 

역사적 예수의 정신에 따르면, 하나님을 믿는 것은 성전에 희생재물을 바치는 것과 십일조를 바치는 것과 교리들을 입술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수는 이런 믿음체계에 대해 회칠한 무덤이라고 혹독하게 비판했다. 선한 일을 하면 하느님이 몇 갑절로 축복해 준다는 사탕발림의 유혹은 하느님을 믿는 것이 아니라, 교회가 만든 믿음을 믿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물론 선한 일을 행하는 것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성이며, 하나님의 보상조건이 아니다. 사람들은 배타적이고 우월적이고 이분법적인 믿음없이도 선할 수 있으며, 하느님의 보상이 없어도 자율적으로 선할 수 있다. 교회는 인간의 본성을 원죄론과 구원론과 창조론으로 변질시킬 수 없다. 인간의 본성인 자율성과 창조성과 가능성은 믿음체계가 만든 교리적 공식 안에 감금될 수 없다. 사람들은 제도적 종교와 믿음체계에 의해 강제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빼앗기지 않고 사람답게 사는 것이 가장 소중하다.

 

결론적으로, 하느님을 믿는 것은 기독교인이 되는 것만도 아니고, 교회 가는 것만도 아니며, 다만 하느님의 의미를 평범한 삶 속에서 구체적으로 살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믿는다는 것은 교회의 권위에 순종하고, 교회가 만든 믿음=구원이란 공식을 수동적으로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는 것이 아니다. 믿음이란 초자연적인 하느님의 보호와 축복과 구원을 받기 위한 필수조건이 아니며, 믿음은 상식적으로나 이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을 억지로 믿는 것이 아니며, 도저히 믿지 못할 것을 죽음과 생존의 두려움 때문에 권위적인 교회에 순종하여 억지로 인정하는 것도 아니다. 기독교인의 참 믿음은 역사적 예수가 산 것처럼 하느님의 의미를 일상생활에서 자율적이고 창조적으로 살아내는 것이다.

 

물론 하느님은 기독교 교회에서만 만날 수 있고, 체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정확히 말해서, 하느님을 믿는 것(believing)은 보상심리를 떠나, 나와 이웃을 공평하게 사심없이 사랑하는 것(beloving)이다. 하느님을 믿고 사랑하는 것은 우주 전체를 이루고 있는 모든 개체들을 존중하고 포용하는 하느님의 통합적이고 우주적인 의미를 실천적으로 살아내는 것(living)이다. 따라서 믿음은 조건없는 사랑을 실천하는 자율적이고 창조적인 삶이다. 불행하게도 죽음과 생존의 두려움에 빠진 수많은 기독교인들은 믿음체계가 사람들을 끌어 들이고 통제하기 위해 만든 이분법적인 교리에 세뇌되어 믿음과 사랑은 동일한 의미라는 진리에 눈을 뜨지 못하고 있다. 첨단과학시대의 현대인들은 종교인이든 무종교인이든 하늘 위의 초자연적인 신-하느님-알라-야훼가 기적을 일으키는 것을 문자적으로 믿고 의존하는 망상에서 해방되어야 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전지전능한 하느님은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의 삶의 모습과 하느님은 자연의 법칙을 깨트리는 기적을 일으키는 존재가 아니다고 인식하는 사람의 삶의 모습은 현저히 다르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개인적인 신앙과 삶은 물론 공동체적으로 국가와 사회의 모습을 하늘과 땅 차이로 다르게 만든다. 

 

원초적으로 하느님, 하나님, 하나님 나라, 천국, 하늘 나라, 구원, 영생, 부활의 의미는 과거형이나 미래형이 아니라, 오로지 현재형으로 지금 여기에서 느끼고 체험하고 깨닫는 현실적인 실제이며, 삶의 방식이고, 순간의 영원함이다. 무엇보다 이 말들은 평범한 삶 속에서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체험과 깨달음이기 때문에 여기에 도달하기 위한 중개인과 교리적 필수조건들이 필요없다. 역사적 예수에 따르면, 구원은 지금 여기 현세의 문제이고, 영생은 죽은 후 다른 세계의 문제가 아니라, 오늘 평범한 삶 속에서 체험하는 것으로 감겼던 눈이 뜨여지고 닫혔던 마음이 열리는 깨달음이다. 따라서 구원과 영생은 종교 넘어 이미 모든 인간에게 공평하게 주어진 선물이다. 이성적인 인간은 본능적으로 궁극적인 진리 즉 하느님의 의미를 탐구한다; 하느님이란 각 사람의 깊은 내면에 있는 사랑과 정의와 평화라는 실제이다; 하느님은 외부에 있는 존재(실재)가 아니라 인간의 내면에서 밖으로 드러나는 실제이다; 하느님은 인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다만 항상 함께 있는 하느님을 인간이 느끼고 깨닫지 못할 뿐이다.); 조건없는 사랑과 공정한 분배의 정의와 평등과 평화인 하느님은 영원하다. (다만 인간은 변함없는 하느님을 이분법적 교리와 제도와 하늘 위에 감금하고, 자율적으로 느끼지 못할뿐이다.); 모든 인간은 사랑과 정의와 평화인 하느님의 형상을 내면에 지니고 있다.

 

오늘 과학시대에 현대인들은 하느님의 구원과 사랑과 축복을 얻기 위해 종교의 믿음체계가 만든 공식들과 필수조건들과 하느님과 인간 사이의 중개인이 필요없다. 또한 하나님을 믿는다는 관념적인 고백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으며, 다만 하느님의 의미를 살아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21세기 주류 과학계와 종교학계는 밝히기를, 초자연적인 하느님은 우주와 인간이 출현하기 전부터 존재했던 것이 아니다. 초자연적인 하느님은 삼층 세계관의 고대인들이 하늘 위에 만들어 놓은 전지전능한 신이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이 따르는 역사적 예수의 하느님은 공정한 분배의 정의이며, 만인평등이며, 자율적이고 창조적으로 살아가는 삶의 방식이다. 20만 년 전 인간의 자의식이 먼저 있었고, 하느님이란 말은 나중에 생겼는 데, 인간의 의식으로부터 느끼고 깨달은 궁극적인 진리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말하자면, 하느님이란 말은 7만 년 전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인식혁명으로부터 등장했다. 창조성과 자율성과 가능성을 본성으로 지닌 인간은 언어를 사용하여 세계를 그리고, 역사를 만들고, 새로운 세계를 끊임없이 창조했다. 삼층 세계관도 인간의 창조적인 작품이다. 결론적으로, 하느님이 인간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하느님의 의미을 창조했다. 따라서 하느님은 모든 인간이 반드시 믿어야하는 초자연적인 존재가 아니다. 

 

오늘날 초자연적인 하느님을 우주의 창조주로 믿는 유신론적 과학자들과 신학자들은 빅뱅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초자연적인 힘이 설계한대로 우주를 창조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 힘을 하느님이라고 믿는다. 한편 우주진화 세계관을 인식하는 과학자들과 신학자들은 우주를 지적으로 설계한 초자연적인 힘이란 없으며, 또한 그런 힘이 있다해도 그것은 물리학적인 자연의 힘일뿐이며 하느님으로 반드시 믿어야 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138억 년 전 빅뱅 이후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는 불확실성의 우주에 살고 있는 우리 인간은 언젠가 죽는다는 사실 이외에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  무엇을 확실하게 안다거나 절대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단지 아는척하는 것일뿐이다. 과학자이며 신학자인 폴킹혼은 천명하기를, 이 우주에서 하느님은 내일을 모른다고 했다. 그러나 죽음의 두려움과 이기적인 욕심에 사로잡힌 인간은 항상 불안과 두려움 속에서 살아간다. 그들은 죽음 후 내세와 지금 여기 현세에 대해 무엇인가 확실하게 알기 원하며, 확실하게 알면 불안한 마음이 편안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전지전능한 하느님을 하늘 위에 만들어 놓고, 초자연적인 하느님을 믿고, 그 하느님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불안감을 떨쳐 버리려고 한다. 그러나 불안감과 두려움과 욕심은 끊이지 않고 더욱 심각해지기만 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하느님을 믿는다고 고백하고, 하늘을 향해 두 손 모아 기도하지만 자연의 법칙이 깨지는 기적이 보편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있다. 간혹 수천만 분의 일이라는 대단히 희귀한 확율로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기이한 일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것은 초자연적인 하느님의 기적이 아니라, 불확실성의 우주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이다. 하느님을 믿는다는 것은 믿는 사람들만이 죽은 후 내세에서 영원히 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현세에서 다른 인간들과 자연과 상호의존관계를 이루어 보다 의미있게 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심없이 하느님을 믿으면 나의 개인적인 삶은 물론 이 세상이 온 인류에게 공평하고 정의롭고 안전하고 평화스러운 곳으로 변화될 것이다. 양심적으로 하느님을 믿으면 생태계가 파괴되지 않고 건강하게 보호될 것이다. 이성적으로 하느님을 믿으면 앞으로 50 100 200년 후 우리의 후손들은 맑은 공기와 물을 공유하며 전쟁과 테러와 질병과 빈곤 없이 모두가 안전하게 살게 될 것이다.

 

종교(religion)라는 말의 어원은 관계(relationship)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에, 참 종교는 각 사람의 신비스러운 체험들이 통합되어 상호의존관계를 이루는 것이다. 종교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 출현한 것이다. 따라서 종교적인 신앙은 이분법적 내지는 분리된 관계가 아니라, 통합적인 관계를 살아내는 것이다. 구약성서의 첫 번째 창조 이야기에서 사람은 하느님의 형상을 입고 창조되었다는 말의 의미는 각 사람은 다양하고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인간의 존엄성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이 말은 오늘 각 개인의 창조성과 자율성과 가능성이 박탈된 체, 자신의 참나를 폄하시키고 다른 사람과 자신을 비교하며, 다른 사람의 삶을 복사하며 살아가는 타율적이고 획일적인 교회와 사회에 큰 도전이 된다. 오늘 우리의 사회는 이성과 양심과 정직과 사랑이 메마른 세상이 되었다. 창세기의 기록은 인류에게 새로운 희망과 가능성과 생명력과 용기가 되는 메시지이다.

 

다원주의와 상호복합문화의 세계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살면서, 우리가 사는 의미가 무엇이며, 무엇 때문에 사는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자율성과 창조성과 가능성을 본성으로 지닌 이성적인 인간은 진리를 심층적으로 추구하는 마음과 사랑을 사심없이 실천하는 가슴을 갖고 있다. 인간의 영(soul)이란 육체와 분리된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마음과 가슴이 통합된 온전한 참나이다. 미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교육가이며 저술가인 파머 파커는 천명하기를, Soul()은 진리와 정의와 사랑과 용서에 굶주린 온전한 자아(自我)라고 했다.  인간은 진리와 사랑을 통합할 때 참 행복을 느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잃었던 soul (참 인간)이 회복된다. 사랑이 없는 진리는 무미건조 하고 울리는 꽹과리 소리와 같다. 진리가 없는 사랑은 환상에 불과하다. “훌륭한 삶이란 사랑에 의해 고무되고, 진리에 의해 인도되는 삶이다” 라고 버트런드 럿셀은 말했다.

 

결론적으로, 종교는 하느님에 대한 것도 아니고, 존재론적인 믿음에 대한 것도 아니다. 종교는 오직 인간과 생명과 자연에 대한 것이며, 따라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다른 생명체들, 인간과 자연의 관계론적인 삶에 대한 것이다. 예수를 따르는 기독교는 믿음의 종교가 아니라, 생명을 존중하는 삶의 종교이다. 예수의 하느님을 믿는 것은 진리의 추구와 사랑의 실천이 균형을 이루어 사는 것이다. 따라서 하느님을 믿는다는 말보다 오히려 죽음의 두려움과 내세의 천당에서의 보상을 꿈꾸는 사심을 넘어서서 하느님의 의미 즉 개체들이 따로따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몸을 이루는 우주적 통합, 통합적인 현실, 공정한 평화와 정의와 사랑의 통합비젼을 신뢰하고 살아낸다는 말이 더 솔직하고 현실적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에게는 믿는다는 말 보다, ‘신뢰하고 살아낸다는 말이 세속적인 세상 속에서 사랑과 희망과 용기와 행복과 정의와 평화가 되는 말이기 때문에 훨씬 더 이해하기 쉽고, 지루하지 않고, 생동적이며 의미있고, 가슴에 직접 와닿는다. 이것은 역사적 예수가 가르친 하나님의 의미였다.

 

[필자: 캐나다연합교회 은퇴목사]

 

<더 읽을 책>

 

*** (본 칼럼의 생각들은 이 책들에서 나왔다. 이 책들을 통해 세계의 과학 철학 종교 사상에 대한 미래의 물결을

       이해할 수 있다.) ***

 

루벤슈타인.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 되셨는가.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매튜 폭스. 원복 (Original Blessing). 분도출판사, 2008

마커스 보그 & 존 도미닉 크로산. 첫 번째 바울의 복음. 한국기독교연구소, 2010

존 쉘비 스퐁. 성경과 폭력. 한국기독교연구소, 2007

바트 어만. 성경 왜곡의 역사: 누가, 왜 성경을 왜곡했는가. 청림출판, 2006

로버트 펑크. 예수에게 솔직히. 한국기독교연구소, 1996

도미닉 크로산. 역사적 예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0

마커스 보그, 새로 만난 하느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1

________, 기독교의 심장, 한국기독교연구소, 2009

돈 큐핏, 떠나보낸 하느님,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______, 예수 정신에 따른 기독교 개혁, 한국기독교연구소, 2006

버트런드 러셀, 나는 왜 기독교인이 아닌가, 사회평론, 2004

리처드 도킨스, 만들어진 신, 감영사, 2007

에리히 프롬, 희망의 혁명, 현대사상사, 1981

데이빗 그리핀, 포스트모던 하나님, 포스트모던 기독교, 한국기독교연구소, 2002

그레고리 라일리. 하느님의 강: 그리스도교 신앙의 원류를 찾아서. 한국기독교연구소, 2005

김경재. 이름 없는 하느님. 도서출판 삼인, 2003

틱낫한. 거기서 그것과 하나 되시게. 나무심는사랑, 2003

에크하르트 톨레. NOW: 행성의 미래를 상상하는 사람들에게. 조화로운삶, 2008

오강남. 종교 이제는 깨달음이다. 북성재, 2011

_________. 또 다른 예수. 예담, 2009

미선. 기독교 대전환: 낡은 기독교에서 새로운 기독교로. 대장간, 2012

최성철. 깨달음의 하나님. 북성재, 2012

_________. 믿는 하느님 보다 더 소중한 깨달음의 참 인간: 새로운 기독교, 새로운 교회의 탄생. 퍼플(교보문고),

               2014

Moore, Thomas. A Religion of One’s Own: A Guiding to Creating a Personal Spirituality in a Secular World.

              Gotham Books, 2014

Dispenza, Joseph. God on Your Own: Finding a Spiritual Path Outside Religion. Jossey-Bass, 2006

_________. Breaking the Habit of Being Yourself: How to Lose Your Mind and Create a New One. Hay House,

               2012

Vosper, Gretta. With Or Without God: Why the Way We Live Is More Important Than What We Believe.

              HarperCollins, 2008

Tolle, Eckhart. Practice The Power of Now. New World Library, 1999

Patterson, Stephen J.. The God of Jesus: The Historical Jesus & the Search for Meaning.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8

Leaves, Nigel. The God Problem: Alternatives to Fundamentalism. Polebridge Press, 2006

Rue, Loyal. Religion is not about God. Rutgers Univ Press, 2005

Cox, Harvey, The Future of Faith, HarperOne, 2009

Harris, Sam, The End of Faith, W.W. Norton & Co., 2004

Funk, Robert W., The Once & Future Faith, Polebridge Press, 2001

Palmer, Parker J, A Hidden Wholeness: The Journey Toward An Undivided Life, Jossey-Bass, 2004

Swimme, Brian Thomas & Tucker, Mary Evelyn, Journey of the Universe, Yale Univ Press, 2011

Cupitt, Don, Only Human, SCM Press, 1985

________, After God: The Future of Religion, Basic Books, 1997

________, The Fountain, SCM Press, 2010

________, Creative Faith: Religion as a Way of Worldmaking, Polebridge Press, 2015

Cohen, Ralph (ed.), Essential Works of David Hume, Bantam Books, 1965

Leaves, Nigel, The God Problem: Alternative to Fundamentalism, Polebridge Press, 200

Crosby, Donald A, The Thou of Nature, SUNY Press, 2013

Geering, Lloyd, Reimagining God, Polebridge Press, 2014

________, Christianity without God, Polebridge Press, 2002

________, Tomorrow’s God, Polebridge Press, 2000

Pagels, Elain, Beyond Belief, Random House, 2005

Robinson, John A, Honest to God, SCM Press, 1963

Macy, Joanna & Brown, Molly Young, Coming Back To Life, New Society Publishers, 1998

Macy, Joanna, World As Lover, World As Self, Parallax Press, 1991

Cox, Harvey, The Future of Faith, HarperOne, 2009

Armstrong, Karen, Twelve Steps To A Compassionate Life, Alfred A. Knopf, 2010 

Robinson, John A.T., Honest to God, SCM Press, 1963

Feuerbach, Ludwig, The Essence of Religion, Prometheus Books, 2004

_________, The Essence of Christianity, Prometheus Books, 1989

Schleimacher, Friedrich, The Christian Faith, Fortress Press, 1976

_________, On Religion,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4

Teilhard de Chardin, Pierre, Christianity and Evolution, Collins, 1971

_________, The Phenomenon of Man, Perennial, 1975

Watson, Peter. Idea: A History from Fire to Freud. Phoenix, 2005

Polkinghorne, John. Belief in God in an Age of Science. Yale Univ Press, 1998

_________. Science & Theology. Fortress Press, 1998

_________. The God of Hope and the End of the World. Yale Univ Press, 2002

Boulton, David. The Trouble with God. O Books, 2005

Hunt, John. Bringing God Back to Earth. O Books, 2004

 


0           0
 
다음글 114 년된 식당 이야기 + 대한항공 불매선언
이전글 풀이 된다는 희망은
 
최근 인기기사
  캐나다 식료품, 주류, 식당 식..
  드라이브 쓰루, 경적 울렸다고 ..
  앞 트럭에서 떨어진 소파 의자 .. +1
  (CN 주말 단신) 우체국 파업..
  “나는 피해자이지 범죄자가 아니..
  연말연시 우편대란 결국 현실화 ..
  주정부, 시골 지자체 RCMP ..
  캘거리 트랜짓, 내년 수익 3,..
  AIMCO 논란, 앨버타 연금 ..
  주정부, AIMCO 대표 및 이..
  주정부 공지) 알버타의 회복적 ..
  웨스트젯 인천행 직항, 내년 주..
자유게시판 조회건수 Top 90
  캘거리에 X 미용실 사장 XXX 어..
  쿠바여행 가실 분만 보세요 (몇 가..
  [oo치킨] 에이 X발, 누가 캘거리에..
  이곳 캘거리에서 상처뿐이네요. ..
  한국방송보는 tvpad2 구입후기 입니..
추천건수 Top 30
  [답글][re] 취업비자를 받기위해 준비..
  "천안함은 격침됐다" 그런데......
  1980 년 대를 살고 있는 한국의..
  [답글][re] 토마님: 진화론은 "사실..
  [답글][re] 많은 관심에 감사드리며,..
반대건수 Top 30
  재외동포분들께서도 뮤지컬 '박정희..
  설문조사) 씨엔 드림 운영에..
  [답글][답글]악플을 즐기는 분들은 이..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글에 추천..
  한국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9...
 
회사소개 | 광고 문의 | 독자투고/제보 | 서비스약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연락처 | 회원탈퇴
ⓒ 2015 CNDre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