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7 년생은 다음 주 수요일부터,
오팔년 개띠로 유명한 1958 년생부터 1971 년생까지는 그 직후부터 코비드-19 백신 접종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공급량에 따라 신청날짜는 왔다갔다 할 수 있다는 단서가 붙어 있습니다.
Booking for those born in 1957 will begin next Wednesday and those born between 1958 and 1971 will be offered chances to book in the following days as long as supply lasts.
그러나 !!
여기에는 두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다음 주 부터 이 그룹 (Phase2 – Group D)이 접종신청을 할 수 있는 백신은 Covishield/AstraZeneca vaccine 입니다.
mRNA 기반 백신인 ModeRNA나 Pfyzer & BioNTech 을 원하는 사람은 5 월 까지 기다려야 신청자격이 주어집니다.
여기에 대해 누구나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고 싶을 것 입니다.
Hi. I have a question. I will be eligible to book an appointment for a Covid-19 vaccine next week. AHS offers 2 options. If I select Covisheild/AstraZeneca, I can get it this month. If I select mRNA based vaccines (ModeRNA or Pfyzer & BioNTech), I have to wait until May. If you were me what would you select?
사실 여기에 대한 ‘공익적이고도 교과서적인 답’은 이미 나와 있습니다.
슬픈표정의 여인 닥터 힌샤가 딱 부러지게 답을 한 것이지요.
“All healthy Albertans get immunized as soon as they are eligible, no matter what vaccine option is provided”
어떤 종류의 백신이 되었건 먼저 맞을 수 있는 걸 맞으라는 것 입니다.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
변이에 대한 대처와 미래를 고려해서 mRNA 기반 백신으로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의견 입니다.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은 앞으로도 지속될 variant와의 전쟁에서 매년 접종하여 항체수준을 부스팅하고 update 해야하는 상황을 염두에 둔 말 같습니다. 이건 단순히 mRNA 기반 백신이 다른 백신들보다 방어력이 뛰어나다는 것과는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선택은 개인의 자유입니다.
신중하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선택은 개인의 자유라고 존중해 주는 것도 좋지만,
백신수급상황에 따라 차례가 돌아온 그룹에 선택권없이 해당 백신을 맞도록 하고, 개인적으로 해당백신접종을 거부하고 mRNA 백신을 맞겠다는 사람들은 아뭇소리없이 일반 후순위로 돌리는 것이 좀 더 자연스러운 일처리 방식같습니다.
본격적인 백신차별이 수면위로 떠 오를지도 모르겠군요.
이 글은 백신접종을 어디에서 어떻게 신청하는지 안내할 목적으로 쓰지는 않았지만 기왕에 질문이 나왔으니 링크를 합니다.
Phase 2 (Covishield/AstraZeneca): Starting March 10
Albertans aged 50 to 64 who do not have a severe chronic illness can either:
receive the Covishield/AstraZeneca vaccine early, or
wait until Phase 2D begins in May to receive the Pfizer or Moderna vaccine
Appointment bookings will be announced in stages, while supply lasts:
Born in 1957: Book starting March 10
Born in 1958 to 1971: Book in following days, rolling one year at a time
있다고 합니다.
1)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1-00526-w
NEWS 01 March 2021
J&J’s single-dose COVID vaccine raises hopes for faster rollout
US regulators have authorized Johnson & Johnson’s vaccine — which does not require a booster shot, and could simplify the logistics of mass vaccination.
2) https://globalnews.ca/news/7669402/canada-approves-johnson-and-johnson-vaccine/
Canada approves Johnson & Johnson’s 1-shot COVID-19 vaccine
By Rachael D'Amore Global News
Posted March 5, 2021 7:37 am
Updated March 5, 2021 1:00 pm
번영님, 제 답글을 읽으시면, 아래 기사를 읽으시고 박사님 의견을 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제 개인적인 의견은
아직 이 변이가 그렇게 크게 퍼지지 않았으니 빨리 서둘러 컨트롤 해야 될 거라고 생각하는데요..
존슨앤존슨 싱글 도스 백신이 시간과의 싸움에서 큰 도움이 되길 바랄 뿐입니다.
1)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1-021-01294-w
Article
Published: 04 March 2021
Resistance of SARS-CoV-2 variants to neutralization by monoclonal and serum-derived polyclonal antibodies
2) https://www.ytn.co.kr/_ln/0104_202103070356144739
국제
"기존 백신으로는 변이 코로나19 막기 어려워"
백신접종주기를 현재의 4 주에서 16 주로 늘린 캐나다 보건성 조치가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어요.
언제는 1 차 접종자들보고 4 주 후 예약 약속 꼭 지키라며 설레발을 치더니, 이제는 더 많은 사람들을 접종시키기 위해 접종간격을 느닷없이16 주로 늘리고서는 그래도 면역효과는 그대로 유지되니 걱정하지 말라고 말을 바꾸었어요.
암튼 오는 10 일 이후 1 차 접종자들 2 차 접종은 16 주 후 입니다.
주밀에 J & J도 승인했는데, 얀센은 싱글샷이라 접종자 수 확 늘리는데는 도움이 될 겁니다.
뭔가 시간에 쫒기는 듯 허둥대는 모습이 확연한데, 아마 변이확산이 더 본격화되기전에 집단면역을 달성하려는 비상정책이란 해석이 대세군요.
잘 알겠습니다.
권고하신대로 어느 백신이던 기회가 먼저 오면 접종을 받도록 하겠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믿습니다.
이 둘 따라하는게 바람직
저는 한국 상황에 대해 잘 모릅니다..
해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질병관리본부 정은경씨는' 어떻게 현 유행병 사태와 백신접종을 수행하고 계신지 여쭤봅니다.
Cynical 하시는게 아니죠?
미리 감사드립니다.
위에 두분이야기를 하게 되면 아마 밑에 글처럼 한국에서
관리하시는분들이 또 지저분하게 할꺼 같네요.
다시 개인적인 무지함은 느낌이 아스트라는 아닌것 같습니다.
물론 집단면역을 위해 솔선수범 하시는 분들에겐
진심으로 박수 쳐드립니다만...
사실 한국에 계신 모친도 백신 관련 처음엔 반대를 하였습니다.
아스트라제나는 아무래도요.
다행히 한국정부에서 취소하고
다른 백신을 (모더나 류) 접종하길 빌어야죠.
이젠 한국에 계신 모친백신을 동의했고요.
한국에선 아스트라에 대한 부정의견 상당히 있네요.
전에 말씀 드리듯이 아스트라엔 좀 걱정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