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에트 연방이 망하고 세계는 미국이 주도하는 일극체제가 되었다. 그게 벌써 30년 지났는데 미국의 일극체제는 점점 힘을 잃고 있고 중국이 강력한 도전자로 등장했다. 내 개인 생각으로는 중국이 오호십육국 시대처럼 갈라져 국제사회 영향력을 완전히 잃었으면 좋겠는데 그건 희망 사항일 뿐 현실적으로 중국은 경제적 군사적 강국으로 영향력이 미국에 버금간다. 인정할 건 해야지.
미국 일극체제에 금이 가니 러시아도 꿈틀거린다. 푸틴이 “영원한 것은 없다. 세계는 다극체제로 간다.”고 했는데 아마 맞는 말일 것이다. 그러나 러시아 국력으로 볼 때 세계 패권에 도전하기에는 미흡하고 과거 영향력을 행사했던 동유럽에서 패권적 지위를 찾아 다극체제에 숟가락 한 개 얹으려고 한다.
우크라이나 전쟁도 그 일환인데 우리는 나폴레옹의 말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 마리 사자에게 복종할 것인가, 아니면 10마리 이리떼에게 복종할 것인가.”
나토의 동진 어쩌고 하는 것은 밑밥 까는거다. 나토는 유럽의 공산화를 막기 위한 군사 협력체로 냉전의 산물이다. 소련은 이에 대응하여 바르샤바 조약기구를 만들었다. 소련 견제용인 나토가 코 밑에까지 들어오는 건 러시아로 볼 때 매우 불편하고 불쾌한 건 사실이다. 그런데 그건 러시아가 자초 한거다. 매를 벌어 드린거지.
우크라이나는 연방 탈퇴하자마자 1991년부터 나토 가입을 원했다. 그런데 “짜장면도 순서가 있는데 님이 우선 핵무기부터 포기하시라.” 고 해서 부다페스트 협정이라는 종이 쪼가리에 사인하고 핵무기 포기했다. 2008년에도 나토 가입 할 뻔했는데 러시아 조지아 침공으로 무산되었다. 젤렌스키 대통령이 나토 가입 고집하다 이번에 전쟁 났다는데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 역사를 알 필요가 있다.
우크라이나가 나토 가입을 원한 이유는 러시아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역사적으로 동유럽 특히 발트 3국, 폴란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지속적으로 시달리며 살았다. 러시아는 그 중에서도 우크라이나를 러시아의 일부로 여긴다. 우크라이나는 절대 아니라고 하지만.
역사 이야기를 길게 하고 싶지는 않은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키예프 루스의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그래서 러시아에게 키예프는 마음의 고향이다. 우리가 만주를 조상의 고향이라고 생각하듯)
키예프 루스의 키예프는 우크라이나 수도 그 키예프(키이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