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버지가 한국 TV 쇼 보실 때 쓰시던 WD TV가 며칠 전 수명을 다 하셨습니다.
2009년에 첫 모델이 출시됐고, 그 후 몇 번 revision을 거치면서 한글 자막도 지원이 되고 여러가지 비디오 파일 형식을 지원해서 케이블 안 보시는 부모님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죠.
아버지가 이제 일일이 torrent로 비디오 파일 다운로드 받아서 보는 거 시간도 오래 걸리고 귀찮다고, 뭐 좀 간편한 방법 없냐고 물어보시더군요. 그래서 Chromecast를 한 번 써 보기로 했습니다. Best Buy랑 Walmart에서 $45에 팔고 있길래 가까운 BB 매장에 가서 얼른 사 들고 와서 설치를 했습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고객(아버지)께서는 대 만족이셨습니다. 컴퓨터 Chrome 웹브라우저에 뜨는 비디오가 wifi 연결로 버퍼링 없이 고화질로 (보통 720p) 바로 TV 화면에 뜨니까, 스트리밍을 하면서 즉시 TV로 시청이 되더군요. 요즘 날씨가 추워서 집에서 운동을 하려고 treadmill 앞에다가 32인치 TV를 달아놓고 걷기 운동을 하시니까 하루에 많으면 2시간 가까이도 재밌게 운동을 하십니다. 참고로 한국 TV쇼는 ondemandkorea.com를 이용합니다. Android, iOS 앱으로도 컨트롤 할 수 있고요.
저는 주로 헐리우드 영화나 미국 TV쇼들을 즐겨 보니까 아직 torrent로 다운로드해서 랩탑을 TV에 HDMI 케이블을 연결해 보고 있는데, 크롬캐스트를 써서 무선 연결을 하니까 상당히 편리한 점이 끌리더군요. 게다가 지원하는 app들이 점점 많아져서 볼 수 있는 컨텐트도 많아질 것 같습니다.
최종 평가를 하자면 200-300달러 더 주고 비싼 스마트 TV 살필요가 전혀 없다는 느낌입니다.
더 자세한 비디오 리뷰는 아래 링크를 따라가 보세요. 미국에 사는 한국 사람이 재미있게 소개해 놨네요.
https://www.youtube.com/watch?v=VX6n50C4GLE
2세대 부터 시작해서 현재 4세대 까지 쭈욱 쓰고 있는데...
정말 편합니다. 특히 한국 프로 볼때는 미러링으로 한큐에 가능하니까요...
쓰고 있는게 스마트TV이긴 하지만...애플티비 덕에 한번도 써본적이 없네요...
혹시 스마트 TV생각하시는 분들은 watchdog님이 말씀하신 크롬캐스트나 애플티비 같은것도 생각해 보세요..ㅎㅎ
제가 wd tv 와이어레스 안되는거 가지고 있는데 한국 tv 보는 방법좀 가르쳐 주세요.
라우터 바로 옆에 있어서 무선은 현재 필요가 없거든요.
다른 기기연결해서 쓰는 것도 아니구요.
펌웨어 업데이트 시켰는데도 들어있는 앱이 다 외국것만 있어서 한국서는 못보는줄 알았는데요.
저는 어제 확인해보니 wd tv에서는 youtube 앱이 깔려있어서 다운로드 하지 않아도 한국것 왠만한건 다 볼수가 있더군요. 화질도 그럭저럭 괜찮더군요.. 50인치 정도되는 티비에서요..
토렌트 다운로드는 요즘 텔러스에서 사용용량 초과시에 추가 차지를 해서 좀 자제하고 있습니다.
또 궁금한게 하나 생기는데, 토렌트에서 미국영화 다운로드 받다가 저작권에 걸린 사람도 있다고 들었는데요..
여기서 다운로드 받아도 저작권 문제 안생기려나요?
그래도 꼭 보고 싶은 TV show들은 put.io 라는 storage/streaming 사이트를 통해서 torrent를 받아 봅니다. 하루에 $1.35 정도라 한 달에 한 두 번 정도 이용합니다. 100GB를 쓸 수 있는데 그 정도면 넉넉하거든요.
질문한가지 드려도 되나요?
크롬캐스트는 혹시 영어자막을 제공하나요?
유선으로 보는데 비싼 감이 있어 애플티뷔를
지를까말까하는 중이였거든요.
별로 보는 채널도 없는데
비싼 돈 들여가며 보는 것도 아깝기도 하구요
같은 앱은 기본적으로 자막 지원을 할 겁니다. 영화,비디오 스트리밍 앱 리스트를 보시려면 아래 기사를 한 번 보세요.
http://www.techhive.com/article/2861407/10-must-have-chromecast-apps-for-streaming-digital-movies-video-and-music.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