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사안내   종이신문보기   업소록   로그인 | 회원가입 | 아이디/비밀번호찾기
자유게시판
Josh Pk님께 답변은 아니지만, 젊은이에 대하여
작성자 내사랑아프리카     게시물번호 5393 작성일 2012-04-11 18:32 조회수 2308

저는 아래 토마님처럼, 이 번 선거는 야권에 정신을 차리라는 경고이며, 대선에 오히려 절망보다는 희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선거는 야권이 여권을 압도할 수 있는 선거구도가 전무 했습니다. 선거 프레임은 간단하면서 "상대"를 압도하고 흐름이 나에게로 흘러 와야 합니다. 이런 면에서 한명숙은 머리가 상당히 나빴고, 밑에 있는 사람들은 지리멸렬했습니다. 이 부분은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를 꼭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프레임 전쟁에서 프레임이 단순하고 짧고 명쾌할 수록 좋다는 공화당계의 보수 전략가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http://www.nytimes.com/2005/07/17/magazine/17DEMOCRATS.html?pagewanted=all

아예 인용을 해 드리겠습니다. 케리가 선거에 진 다음에 변방의 레이코프 교수는 민주당에 엄청난 조언자로 인기를 끌었는데요. 다음의 인용문은 보수 이론가 Frank Luntz에 대한 레이코프의 평가입니다. 제가 한 boldface를 확인하세요.

Lakoff informed his political theories by studying the work of Frank Luntz, the Republican pollster who helped Newt Gingrich formulate the Contract With America in 1994. To Lakoff and his followers, Luntz is the very embodiment of Republican deception. His private memos, many of which fell into the hands of Democrats, explain why. In one recent memo, titled ''The 14 Words Never to Use,'' Luntz urged conservatives to restrict themselves to phrases from what he calls, grandly, the ''New American Lexicon.'' Thus, a smart Republican, in Luntz's view, never advocates ''drilling for oil''; he prefers ''exploring for energy.'' He should never criticize the ''government,'' which cleans our streets and pays our firemen; he should attack ''Washington,'' with its ceaseless thirst for taxes and regulations. ''We should never use the word outsourcing,'' Luntz wrote, ''because we will then be asked to defend or end the practice of allowing companies to ship American jobs overseas.''

이 기사에 이른 말이 또 나옵니다. "Bush was attacked. Kerry was framed."
이 말을 한국 상황에 적용해 보면, "박근혜 was attacked. 한명숙 was framed." 결국 새눌당에 사찰문제까지 질질 끌려 다녔다는 것이죠. "문재인 was fraimed as well."

나중에 오바마는 아주 짧지만 포괄적인 선거 프레임을 짰습니다. "Yes, we can!" 이 말에는 여러 말이 함축되어 있습니다. 8년 부시의 실정과 전쟁에서 탈피할 수 있으며, 히스패닉과 흑인들도 할 수 있다는 희망을 주었다는 것이죠. Yes, we can!

저는 안철수님이 나오면, 박근혜를 압도하는 프레임을 만들어야 한다고 봅니다. 복지 프레임은 곽노현, 박근혜 등으로 이어져 이미 신선도가 떨어졌습니다. 저는 안철수의 대전 전략은 "우리에게 새희망이 있습니다!"(Yes, we have hope!)로 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박근혜의 낡은 정치와 안철수의 새정치로서의 희망은 상당히 보편적인 호소력을 가지며 그가 갖고 있는 희망 콘서트와 연계되고 또 일관성이 있습니다.  신세대 젊은이들에게도 희망의 메시지고 일반인들에도 거부감이 없고요. 자식잘 되라는데 누가 반공이념이나 흑백논리로 잡아 가두겠습니까(be framed)?

아래 글은 작년 4월 12일 쓴 것인까, 만 364일 전에 쓴 글입니다. 서구 젊은이들에 대한 역사적 개략이구요. 제 글은 좀 낡았지만 젊은이의 경향성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흔하지 않은 책인 독일인 저자 Friedrich Heer의 영어 번역책 Challenge of Youth (젊은 세대의 도전, 1974)라는 흥미있는 책이 있습니다. 아마존에도 없습니당~ 이 책은 많은 화보와 더불어 고대부터 현대까지 기성세대에 반란을 일으키는 젊은이들을 역사적으로 개략화시킨 것입니다.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도 단순히 푸른 연미복에 노란조끼를 입고 자살했다는 연인의 책으로만 저는 알고 있었는데, 젊은이들의 혁명적 반항서로도 읽혀졌다고 합니다. 이 세상에 사랑외에는 어떤 것도 반항한다는 그런 젊은이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낭만주의 음악가 슈베르트가 그의 음악으로 감옥에 갔었다거나 쉴러나 바이런이 혁명적 반항의 상상력에 불을 지폈다는 것도 이 책에 나옵니다.

heer.jpg

그런 가운데 아주 흥미로운 말을 찾아 냈습니다. 아래 그림을 설명하면서 "caricature of the 'Uniformed Individulailsm"이라는 말이었습니다. 이 말 외에는 아무런 설명이 없었지만 제 머리에 불이 번쩍이면서 활활 타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개인주의는 다양성과 창의적 개성이지만, 이렇게 "획일적인 개인주의"라는 말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인터넷에 검색해 보니 이 단어를 쓴 곳은 단 두 곳이군요. 대중문화 책에서 사용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훌륭한 개념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heuristic device) 같습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다들 제 각각이지만 헤어스타일이나 의상 등등은 거의 획일화되어 있슴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youth_challenge.jpg

<위의 책의 120 쪽>

저는 위의 단어와 그림 한장으로 낭만주의 시대를 수놓은 젊은이들의 반항, 혁명기를 그쳐 반동적 나찌에 이르기까지 젊음의 멘탈리티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의 저자 Heer에 따르면 1962년 브리타니카 백과사전에도 "Youth"나 "Youth Problems"라는 엔트리가 없고, 있어봤자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정도라는 것입니다. 이것은 1960년대 초만해도 Youth를 하나의 사회적 인식의 대상으로 깊이 있게 고민하지 못했다는 방증이기도 합니다. 1960년대의 "반문화" (counterculture)로 대변되는 젊은이들의 반란은 이미 예고되었는데 기성 세대는 그것을 잘 몰랐던 것이죠.

이런 획일화된 개인주의란 개념으로 홍대로 한 번 찾아 가 볼까요?위의 유툽 동영상에서 주목해서 볼 것이 많습니다. 며칠 전(as of 작년 이맘 때)에 안 사실이지만, 한국엔 요즘 남자들의 경우 머리에 가르마가 없는 것이 유행이라고 합니다. 여자들은 이 동영상에서 보니 머리 스타일 이름은 알 수 없지만 긴 바가지 머리를 했군요. 하나같이 일률적입니다. 이 머리 스타일은 1970년대 말에 유행했던 것과 미슷한 느낌이군요. 그 땐 남자들은 장발족이 많았구요. 위의 동영상에서 어깨에 맨 여자들의 가방들의 크기도 비슷비슷합니다. 저는 홍대에서 별로 놀아 본 적이 없어서 그 동안 얼마나 변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주로 아내와 함께 이대나 연대쪽 그리고 숙명여대, 덕성여대 쪽에서 놀았었습니다. 이제는 홍대쪽에 가봐야 낯선 이방인 취급을 받겠죠?

우리의 젊은 시대는 가고 새로운 젊은 세대는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상상력과 가발함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겠지만, 그들 역시 시대정신의 한계에서 놀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유행이 일괄적으로 바뀌는 것은 한국이 다문화 사회가 아니라는 증거입니다. 결국 한국이 역동적이라는 것은 동질사회 (homogenious society)가 갖는 특성인데요. 모든 것이 한꺼번에 확 변화고 또 쉽게 잊혀지게 됩니다. 게다가 그 동안 군부의 통치를 받았고 또 이명박같은 권위주의적인 인물이 나와서 군부의 전체주의적인 것을 영속화시키는 면도 있습니다. 동질사회에서 모나서 살기는 힘들죠. 그런 면에서 다문화사회인 캐나다에서 사는 것은 편안함을 준다고 볼 수 있겠죠?


2           1
 
zzixx  |  2012-04-12 03:54         
0     0    

가르마 없는 헤어 스타일은 꽤 오래 된것 같은데요 ...

다문화 라는 말 자체도 귀에 들어온지 얼마 안되었지요
외세에 침략을 많이 받다보니 또는 이조말 쇄국정치가 있다보니
다문화 라는 것에 거부감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왜X , 떼X , 양X 등등 말입니다
2002 년 월드컵 이후로 국력 신장과 저임금 인력이 필요하다 보니
중국에서 들어오는 사람들을 필두로
많은 나라의 영어 선생님 들 까지 이분들의 구성이
다문화 라는 말이 나오게 된것 이지요
한국에 와 있는 제눈에는 한국처럼 인종차별 많은 나라도
없는듯 합니다
우리보다 훨씬 일찍 저임금 근로자 역사가 많은 일본에서도
한국처럼 인종차별은 없는것 같습니다

어떤 목적이던 이유이던 귀화자가 한국의 국회의원이 된것에
인종차별 많은 한국의 이미지에 조금 이나마 덜어 주게 될것 이라는
사실에 그나마 다행 이라고 자책해 봄니다
PS: 어느 정당 이라도 두둔 하고픈 맘 없습니다 !

내사랑아프리카  |  2012-04-12 04:36         
0     0    

어느 정당이라고 모두 부정하고 비판하는 것은 아니죠. 제가 비평적 입장을 취하는 것은 집단적 경향성이지 세부적인 특수성을 지적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정도로 닫혀 있지 않구요. 제가 캐나다에 처음 올 때만 해도 다문화론이나 다문화주의라는 말을 들어 본 적이 없었습니다. 10년이 훌쩍 넘은 시기니까 그 땐 일반적으로 "제 3세계 노동자"란 말이 유행했던 정도입니다. 또는 "불법 체류자"라는 말도 횡횡하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들이 한국에 정착하면서 가족을 이루게 되었고, 북미에서 일반화된 multiculturalism이란 말이 유행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 시점이 2005년을 전후한 기간이라고 합니다. 이 용어는 단순한 수입이 아니라 한국이라는 현지에서의 현실적 요청에 부응한 점도 있습니다. 이제 사회적 진보나 열림은 거대 이념이라기 보다는 일상에서의 힘의 분배가 이뤄질 때 가능하리라고 봅니다. 그런데 분단현실이 이것을 가로막는 것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가르마 없는 헤어 스타일은 잘 모르겠습니다. 강산이 변해서리...

Josh Pk  |  2012-04-26 22:38         
0     0    

분단현실이 일상에서의 힘의분배가 가능하다고 보십니까?? 저는 이러한 어려운 인용글은 잘 이해가 안가고 단편적으로 생각을 많이 하는편이라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단지 이해가 안가는 것은 사회적 진보나 열림은 그나라의 국민의 지식과 깨어있는 자가 해야할 의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예를들면 국회의원이나 상위1%)사람들 아닌 흔히 식당에서 음식을 하시는분들이나 막노동을 하시는분들이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정확히 인식을 하고 있나요?? 배웠다고 하시는분들이 이를 깨워줘야 맞지 않나요?? 1차적으로는 교육문제부터 일어나겠죠,, 근데 이러한 교육조차도 사회시스템이 만들죠,, 저는 사회에 깨어있는지배층이 불쌍한99%에게 깨우쳐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우리나라는 현 구조적으로 보면 그런 사람들은 자기들 밥그릇 챙기기 바쁘죠. 1%만을 위한 나라가 우리나라라고 보는게 가장 맞죠,, 99%는 노예처럼 일만 하구요,, 사회가 이렇게 나를 만든다라고 생각 안하죠,, 그냥 내 부모가 부자가 아니니까,, 이런식으로 생각하는게 태반입니다. 님이 하시는 말씀은 이상일뿐 현실이 아니죠,, 현실을 이상으로 생각하기보다는 현실을 그냥 현실로 받아들이는게 우선순위인것 같습니다.

다음글 감세와 파이와 1인당 소득과의 관계
이전글 내가 아는 프레임
 
최근 인기기사
  캐나다 식료품, 주류, 식당 식..
  드라이브 쓰루, 경적 울렸다고 ..
  앞 트럭에서 떨어진 소파 의자 .. +1
  (CN 주말 단신) 우체국 파업..
  연말연시 우편대란 결국 현실화 ..
  캘거리 트랜짓, 내년 수익 3,..
  주정부 공지) 알버타의 회복적 ..
  웨스트젯 인천행 직항, 내년 주..
  주말 앨버타 전역에 폭설 - 캘.. +1
  (CN 주말 단신) “버림 받은..
  주정부 공지) 예방접종, 정부서..
  캘거리 한인 약사, 개인 정보 .. +1
자유게시판 조회건수 Top 90
  캘거리에 X 미용실 사장 XXX 어..
  쿠바여행 가실 분만 보세요 (몇 가..
  [oo치킨] 에이 X발, 누가 캘거리에..
  이곳 캘거리에서 상처뿐이네요. ..
  한국방송보는 tvpad2 구입후기 입니..
추천건수 Top 30
  [답글][re] 취업비자를 받기위해 준비..
  "천안함은 격침됐다" 그런데......
  1980 년 대를 살고 있는 한국의..
  [답글][re] 토마님: 진화론은 "사실..
  [답글][re] 많은 관심에 감사드리며,..
반대건수 Top 30
  재외동포분들께서도 뮤지컬 '박정희..
  설문조사) 씨엔 드림 운영에..
  [답글][답글]악플을 즐기는 분들은 이..
  설문조사... 자유게시판 글에 추천..
  한국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9...
 
회사소개 | 광고 문의 | 독자투고/제보 | 서비스약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 연락처 | 회원탈퇴
ⓒ 2015 CNDre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