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날
기념식에는 약 1 만 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념식은 11 일 오후 7 시 19 분에 시작했는데 바람이 불고 기온도 낮아 무척 쌀쌀했습니다.
주최측에서는 참석자들에게 핫팩과 담요를 지급했습니다.
저는 독립유공자 유자녀석에 앉을 수 있었는데, 여기에는 사연이 있습니다.
입장할 때 신분증을 조사하는 분에게 제가 여권을 제시하며 "저는 해외동포인데 33 인 중의 한 분인 정암 이종훈 선생의......" 라고 말하자 그 분이 제 말을 끝까지 들어보지도 않고 제게 비표를 주시며 "아. 네 저 쪽으로 들어가시지요." 라며 내빈석 바리케이드 안 쪽으로 안내했습니다.
그 바람에 제가 하려했던 말의 끝부분, 즉 "... 이종훈 선생의 증손주 며느리 사촌동생입니다" 라는 말을 미처 하지 못한 채 그냥 내빈석으로 들어가게 된 것 입니다.
이낙연 국무총리의 기념사가 끝나고 공연이 진행될 무렵, 불꽃놀이 폭죽이 터지면서 참석자들의 관심이 불꽃놀이에 집중되었던 그 시점에 갑자기 후다다닥하며 어둠속에서 사람들이 재빨리 움직이는 모습이 포착되었습니다.
재빠른 움직임의 주인공들은 두 말 할 것도 없이 어느 VIP의 경호원들과 수행원들이었습니다.
직감적으로 누군가가 행사가 끝나기 전에 슬그머니 행사장을 빠져나가는 것이라고 판단하고 누구일까를 알아내기 위해 저도 자리에서 일어났습니다.
역시 VIP 통로와 이어지는 대로변에는 제너시스 리무진 세 대가 시동을 걸어놓은 채 대기하고 있었습니다.
세 번 째 차량은 경찰차량처럼 빨간색과 파란색이 교대로 번쩍이는 경광등을 켜고 있었고
그 차량 뒤에서는 교통경찰들이 다른 차량의 접근을 통제하고 있었습니다.
아무리 주위를 둘러보아도 기자들은 없는 것 같았습니다.
주인공은 뜻밖에도 문희상 국회의장이었습니다.
국회의장은 국가의전서열 2 위입니다.
다시말해 대통령이 국내에 없었던 이 날,
국가를 대표하여 이 행사에서 내외빈을 영접하고 기념식을 주관해야 할 호스트인 셉입니다.
고령의 독립유공자들과 외빈을 포함한 1 만 여 명의 시민들이 추위에 덜덜 떨어대며 행사장을 지키고 있는데,
사실상의 호스트가 행사가 끝나기 전에 슬그머니 자리를 뜬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 입니다.
다른 행사도 아닌 대한민국 임정수립 100 주년 기념식인데 말이죠.
그것도 '대한민국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이유'로 대통령이 그 날 나라를 떠나 있어야 했던, 가뜩이나 심란한 그 날,
사실상의 호스트가 겨우 20 여 분 남은 행사를 마무리하지 못하고 미리 떠나야 할만한 중대한 이유가 있었을까요?
다음부터는 그러지 마세요.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 주년 기념식에 참석하신 분들
추운 날씨에 밤늦게까지 정말 수고 하셨습니다.
귀국일이 마침 알버타 총선일이라 vote card 가지고 곧장 투표장으로 직행해서 '시민의 권리 겸 의무'부터 행사하고 집으로 갔습니다.
어쨌든 저는 지금으로부터 3 년 4 개월 전 이 자리에서 했던 약속을 지킨셈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