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20 년 단골 헤어샵 미용사 부부와 두 달 만에 해후를 했다.
혹시나 해서 헤어샵에 갔는데 문을 열었다.
3 월 중순부터 정부명령으로 문을 닫았다가,
지난 주 목요일부터 폐쇄명령이 해제되어 문을 다시 열었다고 한다.
내가 문을 열고 들어가자 부부가 활짝 핀 두 송이 목련꽃처럼 웃으며 마스크부터 한 장 건넨다.
머리깎으면서 physical distancing 은 할 수 없으니, 미용사와 손님 모두 마스크를 써야 한다.
부인 미용사가 갑자기 눈물을 글썽이며 이런 이야기를 했다.
자기네가 캐나다에 이민온지 올해로 33 년인데, 정부보조금을 신청해 받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얼마를 받았느냐고 물어봤더니 부부가 4 주에 4 천 달러 씩, 일을 못한 두 달 동안 8 천 달러 (약 720 만 원)를 받았다고 한다.
아마 CERB 지원금을 말하는 듯 했다.
자영업자라 별도의 긴급사업융자(Canada Emergency Business Account)도 받을 수 있었을텐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그건 신청하지 않았다고 한다.
자영업자 긴급사업융자란, 수익이 줄어든 자영업자에게 거래은행에서 무이자로 4 만 달러를 긴급융자해 주고 2022 년 12 월 말까지 원금을 갚으면 그 중 1 만 달러를 상환면제해 주는 소상공 자영업자 전용 금융지원제도를 말한다.
2023 년 1 월 1 일 이후에 갚다 남은 잔금이 있으면 남은 잔금에 대해서는 연리 5 퍼센트 이자율을 적용받는다.
쉽게 말해 4 만 달러를 2 년 가까이 무이자로 융자받아 쓰고 3 만 달러만 갚으면 된다는 이야기다.
연방정부는 지난 4 월 9 일 자영업자 무이자 대출 및 상환면제를 위해 250 억 달러(약 22 조 원)의 예산을 따로 배정한 바 있다.
자기 잘못이 아닌, 팬데믹으로 인한 정부명령으로 일을 못해 보조금을 받은 것인데도,
미용사 부부는 그걸 '치욕' 이나 '자기 인생에 남은 오점'이라도 되는 것처럼 여기는 듯 했다.
그런 사람들이니 긴급사업융자를 신청하면 무이자 혜택 뿐 아니라 1 만 달러를 거저 받을 수 있음에도 그냥 포기했는지도 모른다.
미용사 부부는 중국 광둥성에서 온 사람들이다.
비상사태에 정부가 피해시민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그걸 받는 것을 부끄러워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스스로 최소한만 신청해서 수령하고 봉쇄가 해제되자마자 즉시 일터로 복귀한 미용사 부부의 모습이 보기 좋았다.
나는 근무인력이라 팬데믹 기간 중 보조금이고 뭐고 한푼도 받은 게 없다.
펜데믹 기간 중 근무인력 모두에게 위로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여론도 있었다.
나는 여기에 찬성하지 않는다.
필수근무인력 중 감염위험에 노출된 환경에서 일해야 하는 사람들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에는 찬성한다.
실효적인 비상구조복지제도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저 미용사 부부와 같은 자세를 가진 시민들이 대다수여야 한다.
구조자금 받는 것을 당연한 권리로만 여기고, 가능한 한 많이 뜯어가려고 하는 사람들만 창궐한 공동체라면 그 제도의 유지는 불가능하다.
많은 사람들이 '아직 불안하다'는 이유로 근무복귀요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
진짜 겁이나서 집에 머물러 있고 싶어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고,
자기는 괜찮지만 혹시나 동거가족이 염려되어 근무복귀를 꺼려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정부에서 지급하는 비상보조금을 악착같이 받아먹고 마지막 순간이 되어서야 일터에 복귀하려는 피플도 있다.
근무복귀요청을 받고도 별 이유도 없이 집구석에서 나오지 않는,,
이 사람들에게 실업보험금 이외의 비상보조금 지급은 당장 중단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팬데믹이 종료되는 즉시 CRA(국세청)은 CERB 등 재난보조금 부당편취자들을 끝까지 추척하여 전액 환수하기 바란다.
=================
오늘의 전선 이야기
알버타 주 확진자 누계 : 6,683
오늘 새 확진자 : 39
완치자 : 5,519
남은 확진자 1,036
입원 확진자 : 65
입원 ICU 확진자 : 9
전사자 : 128
치명율 : 1.91 %
싸르니아의 마스크 비축량
3 중필터 의료용 마스크 : 80 개
3M N95 전략마스크 : 25 개
Washable 마스크 : 1 개
지난 두 달 간 마스크 사용갯수 : 6 개 (마트 두 번 갈 때마다 한 개씩 사용)
고용주가 이번 사태로 직원들을 해고 시키고 나서, 이제 가계 문을 열게되어 해고했던 직원을 다시 불렀는데 그 직원이 CERB 2천불을 받고 싶어 복귀를 거부하면
고용주 입장에서는 다른 직원을 고용해야 하는데 이때 지난번 해고시켰던 직원들에 대해 ROE 발급을 새로 해야 합니다. (해고에서 자진퇴사로..)
그렇게 되면 복귀를 거부한 그 직원은 자진퇴사가 되므로 이후부터는 CERB를 받지 못하게 됩니다. 이에따라 해당 직원은 직장 복귀 요청을 받으면 거기에 응하거나 아니면 다른 직장을 찾아야 합니다.
클립보드님 지적하신대로 (소중한 우리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정부 지원금을 받기 위해 직장 복귀르 ㄹ거부하는 것은 부당한 행위이며 고용주 입장에서도 ROE변경을 통해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진짜 불안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놀면서 돈을 받기 위해 그러는 것인지 본인 이외에는 알 수가 없으니 합리적 의심이 드는 건 사실입니다. 실제 일터로 복귀해서 제대로 임금받고 회사복지혜택 복구하는 게 떳떳할 뿐 아니라 액수도 훨씬 많을텐데요. 설령 일해서 버는 것과 CERB가 차이가 없더라도 저라면 전자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별 차이 없어보이는 50 개들이 3중필터 의료용 마스크가 T & T 에서는 29.99 인데 왜 한인마트에서는 59.99 인지 궁금합니다.
티앤티 마스크는 메이드인 차이나라 싸고 한인마트 마스크는 중국제가 아니거나 품질이 그만큼 월등한 것인지, 한인마트 관계자 계시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저희도 이번년도에 법인으로 바꾸는 바람에 론을 신청하지 못해서 매우 안타깝답니다.
그래서 이유는 알 수 없다고 했어요.
다만 CEBA 는 신청했느냐고 물었을때 별다른 설명없이 '그건 안했다'고 대답했기 때문에 본문처럼 해석했던 거고요.
신청자격이 안 됐으면 그걸 설명할 사람들이지 못한 걸 안했다고 할 사람들은 아니거든요.
한 달에 한 번이긴 하지만 20 년 동안 겪어 온 사람들이기 때문에 어떤 사람들인지 잘 알아요.
Terminating the employment
If the employee doesn’t return to work within 7 days of being served the recall notice:
the employer can terminate employment
the employee would not be entitled to termination notice or termination pay
그동안 정부에서 주는 CERB 받으면서 거의 2개월간 잘 쉬었다라고 생각하면, 일에 복귀하는편이 훨씬 본인에게 유익하다고 봅니다. 정부에서 주는 CERB가 아깝다고 생각할 수 도 있겠지만, 만약 CERB가 끝나고 EI도 끝나갈 즈음에 직장 복귀하겠다고 했을때 '너한테 줄 자리 지금 없는데?'해버리면 그야말로 더 손해죠.
불러 줄때 일하는게 일신상에 유익하죠.
운영진이 발표한 속보 39에 그렇게 나왔는데 정부 발표 내용이 변경이 되었나요? 아님 저만 모르고 있었나요?
저도 지금 머리가 길어서 거의 "타잔" 머리처럼 되어 미칠 지경인데 미용실이 영업 재개를 하기 만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당장 예약을 하고 스님처럼 빡빡 깍아야 하겠어요.
하지만, 대량으로 구매를 해도, 1.19 정도를 차지를 하더 군요.
메이커는 Chanzhou ~ 물론 중국제이고요.
마스크도 낱게 포장도 아니라서 무척 쓰기 불편하네요. 다들 손싯고 와서 하나씩 가지게요.
미리 알았으면 좀 저렴한곳에서 살껄 그랫나요?
업체명은 bunzl 입니다. 오해가 없으시길
어쨌든, 중국에서 많은 공장들이 마스크 만드는데 힘쓰고 규제도 풀린듯해서 가격은 내려가는데, 배송이 너무 오래걸려서... 전 얼마 없어요 이제. ㅜㅜ 아! T&T 정보 감사합니다. 그쪽은 connection 이 있어서 물건 싸게 왔지않았나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