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실 첨 제가 제기한건 이슬님의 다음과 같은 말이었습니다. “"Thimerosal이 포함안된것을 임산부에게 권하고 있다 (님의 원문 quote입니다.)” 이런 지침을 내린authority는 아무곳도 없기때문에 이걸 바로잡기 위해서 쓴 글입니다.
오늘 올리신 답글에서도 “방부제 역할 혹은 면역 증강제” 라고 쓰셨습니다만, thimerosal은 (극소량의 수은이 포함된) 방부제이지만, 면역증강제는 아니지요. 두개의 다른 문제입니다.
제가 제기한 문제는 thimerosal에 대한 새벽이슬님의 잘못된 정보 (위의 원문)를 지적하고자 했었던 것입니다. Thimerosal에 대한 연구결과는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Pediatrics등에 실려있었고, 이 성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연구결과는 없습니다. 제가 알기에 이것의 안전성은 (결론을 극히 보수적으로 내리는 경향이 있는 의과학계에서) 압도적 consensus를 이루고 있습니다.
면역증강제가 영어로 immune booster를 일컬은것이시라면, 이것은 adjuvanted versus nonadjuvanted의 문제이고 thimerosal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문제입니다. 알버타에서는 공급되는 백신에는 *둘다* thimerosal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WHO에서는 임산부에게는 nonadjuvanted를 권하고 있고, 알버타보건청도 그 지침을 따르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WHO에서의 내링 이지침은 precaution 입니다 (adjuvants가 시행된 임산부자료다 별로 없으니까 “혹시몰라서”). 만일 nonadjuvant 백신이 없다면, 임산부는 반드시 adjuvants백신이라도 맞으라고 WHO는 지침을 내리고 있습니다. (see below)
http://www.albertahealthservices.ca/901.asp#adjuvanted%20vaccine
다시한번 답변 감사드리며, 새벽이슬님의 말씀대로 믿을 수 있는 단체의 지침에 따르는것이 가장 안전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글을 읽으시는 분들 만일 시간이 있으시면, 지난 10년간 수많은 과학자들에게 frustration을 안겨준 백신 saga에 대한 기사 한번 읽어보십시요. 길고 영어로 되어 있지만 상당히 재밌는 이야기입니다.
“왜 백신—자폐장애에 대한 논쟁은 꺼지지 않는가?”
http://discovermagazine.com/2009/jun/06-why-does-vaccine-autism-controversy-live-on/article_view?b_start:int=1&-C=

먼역증강제의 주성분으로 천연소재를 사용하는바 독일에서 논란여부는 아직 잘모르겠지만, 치메로살에 대한 토다님은 너무 관대하신것 아닌가 싶네요.
솔직히 성인에게는 그정도의 수은이 문제될건 없지만, 태아나 유아기에게는 미량의 수은도 두뇌발육에 문제가 있다는 것은 간과하신것 아닌가 싶네요.
또한 글에 대한 링트가 전부 캐나다 Health 사이트 인데, 제가 얼마전에 얼핏본 미국의 뉴스 사이트인데 캐나다 정부의 치메로살 포함 백신의 대대적인 공급에 대한 회의적인 글을 보았습니다. 솔직히 검색만 하면 찾을수 있습니다.
저는 성인이고, 만성질환자일경우 바이러스 노출시 타미플루로 인한 약들간의 부작용과 만성질환의 악화를 걱정해서 접종은 권장해야한다고 봅니다만,
임산부나 유아 의 경우는 저는 중립을 지키고 싶고 가능한 여러 부분의 정보를 받아드리고, 캐나다 정부 말고 여러 정부에서 발표한 내용 그리고 무엇보다도 반대하는 자는 왜 반대하는지, 찬성하는자의 의견을 종합해서 본인의 신중한 결정히 중요하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결국 정부나 , WHO 는 큰숲을 보고 결정을 내리지 숲의 나무 하나하나를 보고 결정하지는 않으니깐요!
치메로살은 1930년부터 사용되어왔으므로 수많은 역학연구의 기회가 있었고, 많은 역학연구가 됐다고 합니다. 저는 그런 연구들을 찾을수 있고, 읽을 수 있을 뿐입니다. 이들 연구에서 일말의 관련이 나타났다면 당연히 \"관대\"하지 않았었겠지요.
그리고 새벽이슬님의 행동지침은 자식을 가진 부모라면 누구나 따랐을 것입니다. 저 역시 자식이 있다면, 소중한 생명을 실험용 guinea pig으로 취급하고 싶은 생각은 절대 없을 것입니다. 더군다나 adjuvant (보조약)으로 쓰이는 mercury나 aluminum derivative가 들어간 의약품을 태아에게 주입한다는 것은 의학지식이 거의 없는 저에게도 상당한 우려를 주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