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동영상은 몇 년 전에 많이 유행했던 자료인데, 못 보신 분들을 위해 공유합니다.
그리고 앨버타 예산 발표 이후 소득재분배에 대한 주제로 진지하게 토론해 보는 것 좋은 것 같습니다.
이견이 있지만, 그래서 서로 몰랐던 것도 알게 되고 세대간 견해 차이도 진단해 보는 기회가 되는 거죠. 기성세대는 어떻게 생각하나, 젊은 세대들은 요즘 무슨 생각들을 하는지...
위 사이트에 가면 좀 더 자세한 정보가 있는데, 이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건 제일 밑에 있는 이 차트입니다.

가장 소득이 많은 납세자 400명들이 낸 세금이 오히려 -37%입니다. 이건 trickle down effect가 아니라 suction effect 라고 해야 되겠네요. 일반 저소득층들이 대부분의 세금 부담을 지고 있는 것임을 보여주는 거죠.
왜 서민들의 재산을 끌어모아 부자들에게 넘겨줘야 하는 지, 상식을 점검해 봐야할 때입니다.











1%를 두둔하는 사람들의 가장 좋은 예로, 한국의 이명박, 박근혜, 캐나다의 하퍼, 앨버타 주수상 그리고 미국 공화당의 2016년 대통령 후보지망생들이 있습니다. 이와 정반대로 99%를 지원하는 사람들은 유대인 예수, 천도교의 동학운동 지도자 최시형, 인도의 간디, 미국 대통령 오바마, 민주당 상원위원 리저베스 워린, 등이 있습니다.
1%는 천재적인 머리와 능력을 갖춘 사람들입니다. 그러나 그 머리와 능력은 자신의 것만이 아닙니다. 그 머리와 뛰어난 재주는 사회를 위해 사용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년봉 백만불에서 수백만불을 1%들의 주머니에 집어 넣어주는 제도는 1%들이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 만들어 놓은 장치입니다. 이 불균형제도를 개혁해야 합니다. 이것에 앞장선 사람들이 바로 예수, 간디, 최시형, 오바마, 리자베스, 등 입니다.
1%들이 만들어 놓은 소득불균형 공식과 제도를 개혁하는 일에 한인회, 노인회, 교회, 사찰, 회당들은 앞장 서야 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며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들자는 것을 누가 반대하겠습니까? 1%에 의존하며 비굴하게 살 수 없습니다. 1%라는 부류가 우리에게 필요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