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동영상은 Lemming 이라는 쥐떼들이 절벽으로 뛰어내리는 장면입니다. 
앞에 따라가는 무리들을 생각없이 무조건 따라가다가 단체로 떼죽음을 당하는 것이죠. 
A leader who works very hard in the wrong way is often a dangerous one...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은 우리 모국의 대통령입니다"
  
  과연 많은 사람의 지지를 받은 사람이 최선의 선택일까요? 
  
  민주주의의 단점은 종종 옳지 않은 선택을 다수의 의견이라는 이유만으로 정당화가 된다는 점입니다. 
  
  어떤 리더가, 또는 어떤 단체에서 강한 주장을 펼칠 때는 과연 그것이 사실인지를 알아봐야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이 없거나 게을러서 신문기사에 헤드라인 몇 개 훑어보고 그게 진실인 줄로 착각을 하는데에 그칩니다. 그래서 대기업들이 대부분의 신문사를 소유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죠. 
한국의 leadership 결여 문제는 제 생각에는 유교문화의 폐혜에 근본적인 뿌리를 두고 있다고 봅니다. 
윗사람이나 조직에게 무조건적 충성하는 것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기 때문에 문제가 생겼을 때 그것을 고칠 수가 없습니다.
내가 어떤 해결책이나 대안을 알고 있다하더라도, "잘난 척한다" "윗 사람을 가르치려 든다"는 식의 비난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죠. 저는 이런 것을 한국문화의 구조적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유교사상이 한국말 깊숙히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한국말을 쓰는 한, 문제해결 능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것이 어렵다고 봅니다. 
이름이나 You 라는 말대신 과장님, 선생님, 사장님, 형님, 선배님과 같은 지위를 지칭하는 말로 상대방의 권력을 상기시키는 말로는 문제점을 지적하기 어렵다는 생각입니다. 
사상교육은 하루아침에 완성된 것이 아니라 수 백년에 걸쳐 내려져 온 것이기 때문에, 전 이런 문화가 고쳐질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런 문화나 사회가 내 라이프스타일과 맞지 않아 받는 스트레스가 너무 크면, 그런 사회를 떠나는 것이 개인과 가족의 웰빙을 위해 더 좋은 선택이라고 봅니다. 견딜만 하면 그냥 그러녀니 하고 사는 것이고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조직이나 국가의 존속보다 더 중요한 가치로 여기는 사람들에겐 한국사회는 참 살기 어려운 곳이라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한반도에 존재했던 나라들의 공통점은, 조직 또는 국가를 위해 희생한 사람들에게 돌아온 것은 무시나 조롱밖에 없었다는 것입니다. 
멀리 갈 것 없이, 독립운동에 가담했던 사람들의 자손들이나 북파공작원들이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 지 생각해 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게시판에 올려진 글을 읽고 가끔 이런 생각이 듭니다. 
    
 
  모국의 현실에 대해 걱정하고 좀더 잘되기를 바라는 한 마음이라  느껴집니다.
  
  
  
    
 
  이건 지극히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여기 글들의 대부분은 어느 한쪽 성향으로만 강하게 비추어져 있어 보입니다.
  
 
  여러가지 다양한 의견들이 있을 수 있을 진대 무조건 대통령을 비판하고 깍아내리는 모습이 좋게 보이지만은 않습니다.
  
 
  과반 이상의 지지를 얻은 우리 모국의 대통령입니다.  잘못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비판하고 깍아내릴 것이 아니라 열심히 하고 계시는 부분은 충분히 존종해 드려야하는 위치라 생각합니다. 
  
 
  국민이 존중해주지 않는 대통령을 그 어느나라 사람이 존중해 줄 수 있을까요.
  
 
  외국에 몇년 살다보니 그동안 느끼지 못했던 애국심이 솟구쳐올라 감히 몇자 적어보았습니다.
  

 
            



 
                    




 
                     
                            
국내에서는 진보 보수 가릴 것 없이 모욕발언이라며 길길이 뛰었지만 그의 발언의 배경에 대해서는 역시 진보 보수 가릴 것 없이 언급하지 않았지요. 사실 존 위컴은 12.12 사태 이전부터도 항상 거들먹거리는 전두환을 극도로 멸시하고 증오했었는데, 광주민주화운동 직후 국보위가 출범하고 학살주범이 권력을 장악해나가는 과정에서 한국의 지식인들이 빠르게 신군부 주위로 모여들고 언론은 물론, 대부분의 국민들 또한 체념을 하며 그런 형편없는 인간에게 순응하는 자세를 보이자 어이가 없어진 나머지 튀어나온 실언 아닌 실언이었다고 합니다.
lemming 이야기를 읽으니 갑자기 그 때 일이 생각나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