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년 전 쯤, 한국의 어느 모임에서 작가 한 분을 만난 적이 있다. 장편 서사시 ‘한라산’ 의 저자였다. 내 기억이 맞다면 '한라산'은 1987 년 창간호이자 종간호가 되었던 ‘녹두서평’이라는 이름의 잡지 맨 첫 부분에 실렸었다.
제목이 한라산이라고 해서 한라산 등반이나 제주도 소주 이야기를 다룬 시는 아니고, 대한민국 정부수립 즈음에 제주도 전역에서 벌어졌던 도민학살사건을 묘사한 십 수 페이지에 달하는 서사시였다. 한국인들이 이 사건을 실감나게 접한 매체는 이 사건에 대한 보고서나 보도기사가 아니라, 바로 이 시를 통해서였을 것이다. 그만큼 당시에는 이 사건에 대한 정보가 신통치 않았다.
‘여명의 눈동자’ 라는 드라마가 있었다. 23 년 전에 방영된 MBC 드라마였다. 언젠가 이 노래의 주제가도 올린 적이 있다. 이 드라마에 탤런트 전미선이 나왔었다고 하면 고개를 갸웃할 분들이 있을 것이다. ‘전미선이 여명의 눈동자에 나왔었다고?’어디서 뭘로 나왔다는거지? 하고…
분명히 나왔었다. 그 드라마에서 전미선은 제주 4.3 항쟁을 주도하는 ‘촛불소녀’로 등장했었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일제강점기 말, 미군특수부대요원으로 제주도에 잠입한 장하림을 돕는 어부의 딸로 나왔다가, 해방 후에는 거꾸로 미군정과 남한만의 단독정부수립을 위한 총선거에 반대하는 소녀투사로 변신했다.
정부에 소속된 군사조직이 아닌 민병대,즉 민간인들로 구성된 무장단체 중 민간인들을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잔혹하게 학살한 단체를 꼽으라면 단연 ‘서북청년회’ 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서북청년회는 해방정국판 탈북자 단체였다.
탈북청년들로 이루어진 이 폭력살인단체를 이끈 지도부는 역시 같은 탈북 기독교 청년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탈북 기독교청년들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한 사람은 한국 개신교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인 한경직이라는 분이다. 직업은 목사였다. 이 분은 특이하게도 자신의 친일행각에 대해서는 참회를 했는데, 자신을 정신적 지주로 받들어 모시던 탈북폭력단체가 3 만 여 명의 민간인을 상상을 초월하는 잔혹한 방법으로 학살한 사건을 주도하다시피 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죽을 때까지 별 언급을 하지 않았다.
지난 가을 웬 아줌마 아저씨들이 난데없이 서북청년단을 재건하겠다며 주책을 부리며 소동을 피운 적이 있는데, 이들이 말하는 서북청년단이란 아마 서북청년회를 의미할 것이다. 이 단체가 출범하고 활동할 당시 공식명칭은 서북청년단이 아니라 서북청년회였다. 단체의 공식명칭도 제대로 모르는 꺼벙한 분들이 뭘 재건한다는 건지 모르겠다.
꺼벙한 사람들은 또 있었다. 몇 주 전,, 서울시 청소년수련관 관계자들이 서북청년단이란 말을 듣고 ‘아, 은평구 (서울 서북지역에 있는 구)에 있는 청소년 단체인가 보구나” 하고 이들에게 집회장소대여를 허가했다가 나중에야 부랴부랴 취소했다는 소리를 들었다. 국사교육이 개판되니까 벼라별 웃기는 일이 다 벌어지는 것같다.
사람이 이런 모습으로도 얼어죽을 수 있을까?
사진 속 여인은 서울시 관계자들이 "은평구 청소년 모임" 인 줄 알았다는 그 단체에 소속된 폭도들에 의해 모든 가족을 다 살해당했다. 당시 해안으로부터 5 km 안쪽 이내의 중산간마을 95 퍼센트가 불에 타 사라졌고 그 곳에 거주하던 주민들은 민병대의 사냥대상이 되어 보이는 족족 죽음을 당해야 했다. 광기에 사로집힌 살인마들의 추격을 피해 아기를 안고 가까스로 마을을 탈출한 이 여인과 아기는 한라산 기슭에서 이 자세로 얼어죽은 상태로 발견됐다. 당시 이 아기엄마의 나이는 25 세 였다고 한다.
이 기념관을 나오면서 기념관 관리자에게 질문한 말이 있다. 관리상태가 너무 엉망이었기 때문이다. 싸르니아가 관리자에게 한 질문은 딱 한 마디였다.
"박근혜가 돈을 안 줍니까?"
=======================================================================================
=======================================================================================
=======================================================================================
숙소에서 바라 본 제주시 전경이다. 날씨는 내내 이렇게 흐렸다. 오른쪽 제주항에서부터 왼쪽 공항에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모습까지 한 눈에 볼 수 있다. 창가에 있는 소파에 앉아 제주항에 들고나는 배들을 바라보며 시간을 보냈다. 지난 4 월 16 일 아침에는 세월호가 저 항구에 평화롭게 도착했어야 했구나,, 하는 생각도 떠 올랐다.
야채호떡을 처음 먹어봤다. 어묵은 안 먹었다. 국물만 한 컵 마셨다. 호떡은 세
개 먹었다. 가격은 기억 안 난다.
(다시 가만히 생각해 보니까 어묵도 한 개 먹었다)
한국여행하면서 한 가지 배운 게 있다. 24시간 영업하는 집에 들어가면 별로 실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귀포에서도 그랬고 제주시에서도 그랬다.새벽 다섯 시에 아침을 먹었다. 부지런해서가 아니라, 시차가 바뀌는 바람에 항상 새 벽 세 시면 눈이 떠졌기 때문이다. 항상 그랬다. 세벽 세 시에 일어났다. 한 시간 동안 우두커니 앉아있다가 샤워하고 밖으로 나왔다. 늦가을의 새벽.. 밖은 언제나 캄캄한 어둠이었다.
‘이중섭 거리’ 다. 이 거리는 새벽 다섯 시에도 조용하거나 심심하지가 않았다. 밥집에는 손님들이 가득 들어 차 있었다. 손님들 중에는 한라산이라고 써 있는 소주병을 기울이고 있는 사람이 많았다.
밥집 앞에선 웬 젊은 여자가 길바닥에 미동도 하지 않고 눈을 땅에 박은 채 퍼질러 앉아 있었다. 옆에서 그 젊은 여자를 한참동안 바라보던 젊은 남자가 갑자기 “가자!!” 하고 꽥 소리를 질렀다.
김포공항에서 제주가는 비행기를 기다리며,,, (아래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