갠적으로 이번 총선에서 바라던 어느것도 보질 못하고 말았습니다. 바라던 것들이 모두 상관관계가 높은 것들이라 하나라도 실패하면 줄줄이 실패할 줄은 알았었지만... 제가 보고 싶었던 것들은 투표율 70% (나중엔 60%로 하향조정했지만), 야권 과반의석 확보, 통합진보당 원내교섭단체 구성이었습니다.
문도리코, 하태경, 김종훈 등 문제많던 후보는 전부 당선됐는데, 김용민은 조중동의 집중포화로 침몰하고 말았습니다. 김용민만큼은 살아남아 주길 바랬는데...ㅠㅠ
지역구도를 깨는 것도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다만 수도권에서 야권의 선전이 그나마 위안거리라고나 할까요...
그러나 이미 지나간 일입니다. 아직 올해 대선이 남았습니다. 이젠 야권에선 안철수 카드만 남았을 뿐입니다. 이번 총선에서 안철수의 입장표명은 너무 얌전했습니다. 그러나 그의 영향력은 아직도 막강했습니다. 그가 지지표명을 했던 민주통합당의 인재근과 송호창 후보는 압도적으로 승리했습니다. 그간 행보로 봤을땐 그의 성향이 새누리는 아닙니다만(가능성이 전혀 없는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민주통합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3의 야권으로의 헤쳐모여가 가장 가능성있는 시나리오로 생각합니다.
국회가 구성되고나면 확실해지겠지만 야권의 정치력이 정말로 필요한 때입니다. 얻을건 얻고 버릴것은 버려야 하겠지만, MB심판론이 무색해진 이번 이번 총선으로 인해 무엇을 얻어낼지 참 걱정됩니다. 다시 한번 몸을 추스려서 대반격의 기회로 만들어야 할겁니다.
오히려 잘됐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민주통합당이 크게 승리했다면 기고만장해서 대선을 거스를 수 있었는데, 이걸 기회로 정신 바짝차리고... 마지막으로... 쫄지마!!!
민주주의의 원칙에 따라 국회 운영을 잘하여 주시고 대한민국을 부강한 나라로 만드는데 심혈을 기울려 주시기를 간곡히 바람니다.
젊은이들은 이기적이지는 않지만,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좀 부정적으로는 말만 잘하지 자기 희생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나 많은 노인네들처럼 우직하게 나가는 것도 큰 힘입니다. 그러므로 보수주의가 진보주의를 이길 확률은 항상 높습니다. 한국과 같은 분단 국가는 더욱 그렇습니다.
보수주의는 현실 (status quo)를 그냥 살면 그것이 의식되지 않은 보수 이념을 사는 것인데 진보주의는 항상 의식적 운동을 새롭게 해야 합니다. 이런 새로움에 삶의 습성( habitus; 하비투스)를 갖지 않으면 대중성을 확보하기 힘듭니다. 허나, 보수주의가 항상 승리한 것처럼 보이지만 역사는 진보주의의 것이었습니다. 진보는 보수가 되고 또 새로운 진보는 석양이 아니라 동녘이니까요. 하나만 예를 들죠. 여성의 참정권은 아주 오래전에 동성결혼은 이제 캐나다에서 기성화되었습니다. 캐나다에서 소수민족에 대한 배려도 복지에 기반한 진보 프레임입니다. 에드먼튼이나 캘거리의 한인회관 지원받는 것도 여기에 기인한 것이죠. 캐나다와 한국의 복지가 정도의 차이지 다른 것이 아닌데, 우리 보수님들은 이런 면에서 캐나다와 한국에서 다른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죠. 이번엔 박근혜에게 정치적으로 복지 프레임 전쟁에서 졌지만, 그것은 보수 프레임이 아니라 진보프레임 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제 생각에 어제 선거는 좋은 약이 될거 같습니다. 어제 선거는 경남북에서의 박근혜의 막강파워를 나타내준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수도권에서는 잘 안 먹어준다는 희망을 본거죠. 실제로 박근혜가 부산에서 손수조라는 "잔머리" 공천 대신에 "제대로" 공천을 했다면 문재인도 떨어졌을 가능성이 큽니다 (혐오스런 지역주의죠). 그러나 서울에서는 박근혜의 비장의 친박파의 우두머리 홍사덕 공천도 소용이 없었죠.
좋은 뉴스는 비례대표 정당지지도는 야권연대가 승리했다는 것입니다. 제 생각에는 애초에 야권의 기대수준이 이상하게 너무 높은면이 있었습니다 (아마 이런 비현실적인 기대수준이 이들이 깽판을 치는데 한몫을 했을것입니다. 이들은 김용민등으로 상징되는 비민주적/비상식적 공천등에 대해 선거중에 자제하던 사람들로부터 벼르던 쓴소리를 들어야 할것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면 반민주정권의 집권은 막을 수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이렇게 말씀하시는건지,, 혹시 투표를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렇게 말씀하신건지 의문스럽네요...옛날 군사정권시절처럼 데모를 해야한다는 말씀이신건지...이해가 잘 안되네요,,
또 하나는 정치 룸펜들이 모인"국민생각"에 비례대표 1번 전여옥. 국민생각은 정당 득표율 0.7%로 전여옥의 금배지는 날라갔다.
우리나라 정치가 아무리 3류 코미디라고 해도 강용석, 전여옥 같은 인간들이 정치를 한다는 건 전세계 정치인에 대한 모욕인데 강용석, 전여옥이 떨어진 것은 잘된 일 중에 하나다.
총선은 개판이 되었지만 이것을 거울 삼아 frame을 다시 짜서 대선에서 이기면 된다. 쉽지는 않겠지만 쫄 것도 없다.
미꾸라지 낙선 한것이 아깝다 하십니까 !
올은말을 속시원히 잘한다 해도 표현이 막돼먹어 옳은말 내용을
듣기 보다는 눈쌀이 먼저 찌프려지는 사람의 인기를 등에 업고
ㅤㅈㅓㄼ은표 건져 보겠다고 자충수 두는 정당이 과연
믿고 신임할수 있는 표를 얻을수 있을까요 ?
단지 비교를 하자면 외국의 선진국과 비교를 하면 한국의 젊은이들의 투표율은 한심하죠,, 근데 그거를 젊은이들의 책임으로 넘기시면 안되죠,, 우선적으로 사회전반적인 시스템으로 따지면 사회공유일인 투표일,, 실제로 공휴일입니까?? 아주 간단한 문제부터가 문제인데 젊은이를 탓하다뇨,, 그럼 나이 많으신분들은 사고력이 부족하십니까?? 지금 현재까지 말아먹은 정권이 눈에 보이는데 그걸 모른척하고 다시 뽑는건 무슨 의미로 받아들여야 하나요?? 저는 젊은이와 나이 많으신분들을 구별해서 말하고 싶은게 아니고 국민 그자체를 보자는 말입니다. 상위1%만을 위한 나라가 아닌 99%을 위한 나라를 보자는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