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버타주에 거주하시는 65세 이상의 Elders들은 복지 천국에 사시는 분들입니다. 캘거리의 "Connecting Elders from Ethno-Cultural Communities (CEEC)" (일명 "Way In" 혹은 "Outreach Services for Adults 65+") 단체에서는 복지 혜택을 잘 받지 못하는 5개국의 소수 민족 (에치오피아-에리토리아, 필립핀, 한국, 수단 및 베트남) 이민자 Elders 중에서 자원 봉사자 한명씩을 복지 가이드 (정식 명칭 Elder Broker)로 임명하여 2011년 12월 부터 2012년 9월말 까지 매주 2시간씩 복지관련 훈련을 시키고 각 소수민족의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활동하게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은퇴후 남는 것이 시간인데 이 일이 한인 노인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겠다 싶어 자원을 하였고 10개월 간 복지 가이드로 봉사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Elders Brokers 들은 자동차 기름 값 정도의 최저 Wages를 지급 받기는 합니다 (시간당 수고비 $15 및 마일리지 지급).
복지 가이드들의 임무는 각 소수민족 노인들이 복지 혜택을 받기를 원할 때에 SPO (Service Provider organization) 단체에 근무하는 Social Worker들이 한인 노인들을 방문 하였을 때에 동행하여 통역을 하여 주는것이 주 임무 입니다. Social Worker의 도움이 필요하신 한인 노인분들은 Social Worker와 면담이 필요하실 때에 (403) 263-9900 Ext. 2732 Voice mail box에 전화 멧세이지를 남기시면 일주일에 한번씩 Voice Mail 멧세이지를 점검하고 필요하신 복지 혜택을 받으실 수 있도록 도와 드림니다. 이 일에 지난 5개월 정도 봉사하면서 캐나다의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과연 복지 천국에 사신다는 것을 새삼 느꼈습니다.
카나다의 미덕은 사회적 약자(어린이, 노인, 장애인, 병자, 여자, 빈자)와 소수인에 대한 배려라고 생각합니다. 천민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는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
카나다도 그런 흐름이 있어서 우려됩니다.
단 한번 직접 뵈었지만 고국과 인생에 대한 열의가 대단하신 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젊은이들에게 쓴 말씀을 주시며 갖은 모욕을 다 당하셔도 개의치 않고 충고를 해 주시는 모습에서 많은 것을 배웁니다.
늘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감사 드립니다..
대한 민국이 어떤 나라 입니까? 국민들은 너무나 현명하고 위대한 국민들입니다. 해방후 깡통 찼던 국민들이 최 단시간내에 세계 10위 안밖의 경제 대국을 이룩한 저력있는 위대한 국민들인 것이 조국 대한민국인 것입니다. 어리버리하거나 무식하거나 노망난 국민이 절대 아니라는 말씀 입니다.
우리는 할 수 있는 국민입니다. 우리도 복지를 할 수 있고 앞으로 50년 이내에 서구 문명국에 뒤지지 않는 행복국가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다 같이 힘을 모웁시다.
그건 그렇고 좋은 활동 많이 하시는점 귀감이 됩니다. 자신의 의견과 다른 사회적 약자들의 마음에 상처주시지 않고 tolerance를 보여주시는 모습 기대하겠습니다.
한번의 선거로 우리 스스로를 어리석고 희망없는 나라로 평가하기보다는 지금은 좀 부족해 보여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믿음에 박수를 보냅니다.
그리고 그런 복지행정이 있다니 몰랐습니다. 몰론 저는 해당이 되지는 않지만 잘은 몰라도 요즘 예산안 삭감으로 노력중인 것 같은데 이민자들을 위해 그런 정책을 새로 들여온 것을 보면 여러모로 캐나다는 고마운 나라입니다.
한국에도 저소득층 노인들을 위한 비슷한 제도가 있습니다. 동사무소에 신청을 하면 일주일에 2-3회가량 집을 방문하여 집안일과 식사 도움, 외출시 동행등등, 아뭏튼 갈수록 한국도 나아지고 있습니다..
pamoramas님 지금껏 많은 일들을 햐셨는데 다시 교민들을 위해 일하신다니 존경합니다.
캘거리 중국노인회에 (회원 5,000 여명) 가보니 일년 예산이 약 120만불이고, 이 예산 대부분이 정부 지원금인 것을 알았습니다. 중국 노인회에서는 이 많은 예산으로 봉급을 주는 직원이 12명이나 되였습니다.
캘거리 Jewish community는 인구가 약 8,000 여명인데 막강한 파워를 행사하고 있습니다. 한인 콤뮤니티는 캘거리를 포함 남부 알버타에 약 12,000 여명 한인들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하는데 정부 지원금을 받아 급료를 지급하는 직원은 한 사람도 없습니다. 오늘의 캘거리의 한인 이민자들의 현실이 50여년 전의 캘거리의 중국 이민자들의 상태와 비슷히지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우리 한인 교포들은 열심이 일을하여 막대한 세금은 꼬박 꼬박 잘 내면서 당연히 받아야 되는 우리의 몫은 제되로 받지 못하고 살아 왔습니다. 이제 부터라도 늦지 않았으니 우리 몫은 우리가 찾아와야 됩니다. 우리 몫을 찾아 올려는 노력이 없으면 정부 지원금은 정부에서 알아서 지급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이 분야에 앞장서서 개척을 하여 보겠습니다. 은퇴후에 동포사회의 권익 증진을 위하여 할 일이 많이 있음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돈받고 (시간당 15불씩 + gas mileage) 하는 것도 봉사이던가요?
요즘 한인동포들이 운영하는 편의점이나 샌드위치 가게에서 일하는 아줌마/아저씨/젊은 언니나 형들은 시간당 얼마 받습니까? 10불? 12불?
시간당 15불 받는 분 있으면 제게 쪽지 주세요? 저도 거기서 봉사 하고 싶습니다.
유권자의 몇%가 투표를 합니까? 50%, 60%, 70%? 그중에서 보수당이 몇% 득표를 했습니까?
2006년이었던가요? 스티븐 하퍼가 캐나다 제 1당이 되어 수상이되었을 때 연방보수당이 얻은 지지율이 얼마지 아십니까? 한 고등학생이 TV에서 나와 이렇게 말합디다. "스티븐 하퍼는 1/3 지지를 받은 사람인지 내가 지지한 사람이 아니다."
이번 한국 총선에서 유권자의 몇%가 투표했고 새누리당이 몇% 득표했습니까? 새누리당의 득표율이 46.8% 이고, 야당득표율은 46%입니다.
'새누리당이 득표한 46.8% 가 국민 절대 다수입니까?'
지나가는 개가 웃을 일이죠.
캐나다는 봉사도 돈 받고 하는 나라라는 것을 잊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