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아침의 레이크루이스를 보기 위해 새벽 세 시 삼십 분에 집을 나섰다.
밖은 아직 깜깜한 어둠이었다.
밤 열 한 시까지 훤하고 새벽 네 시면 동이트는 에드먼튼의 여름에 이런 깜깜한 밤이 있다는 게 생소한 느낌이 들었다.
2 번 고속도로에 들어서자마자 하이빔과 안개등을 켜고 121 km/h 에 순항속도를 고정시켰다. (제한속도 110km/h + grace limit 10 %)
출발한지 한 시간 쯤 지나자 북동쪽 하늘에 동이 트기 시작했다. 다섯 시간이 지난 아침 여덟 시 삼십 분 경에 레이크루이스에 도착했다.
1990 년 6 월 어느 날 처음으로 마주친, 그 깜짝 놀랄 정도로 아름다웠던 풍경반사가 너무나도 '충격적인 기억'으로 각인됐기 때문일까?
레이크루이스 단 하나를 보기 위해 가끔 이렇게 먼 길을 달려가곤 한다.
오늘도 실패다.
바람이 부는 날이라 물색이 탁했고 풍경반사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실망감이 들지는 않는다.
다른 록키의 호수들에서는 결코 느낀 적이 없었던, 저 차갑게 가라앉은 풍경에서 뿜어져 나오는 엄청나게 강한 기(energy) 가
다른 감정을 느낄 여백을 전혀 남겨놓지 않고 나의 심장을 압도해 버리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26 년 동안, 세어보진 않았지만 줄잡아 백 번 이상을 왔는데도 신기하게 올 때마다 마치 처음 본 느낌을 받곤한다.
문득 유키 구라모토가 첫 상면한 레이크루이스의 모습은 어떤 것이었을까 궁금해진다.
깊은 영감을 얻었다는 레이크루이스와의 첫 상면 이후 저 작곡가는 레이크루이스에 몇 번 이나 더 다녀갔을까?
저 사람도 여기 올 때마다 싸르니아처럼 매번 마치 처음 본 것과 같은 새로운 감흥을 느꼈을까?
사실 경치라는 게 보통 소문이나 사진보다는 못한 게 상례인데,,
레이크루이스는 그런 상례를 우습게 뒤집어버리는 보기 드문 장소들 중 하나다.
타지마할이 대칭의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면,
레이크루이스 역시 그 매력의 핵심은 조화와 균형이라고 해도 좋을 듯 싶다.
인공적 균형과 자연의 균형이라는 점이 각각 다를 뿐이다.
누가 싸르니아에게 레이크루이스에서 받은 느낌을 말로 표현해보라고 주문한다면, 이렇게 표현하고 싶다.
잔혹할 정도로 차갑고 고요하다.
열 시가 가까워 오자 단체여행객들이 도착하기 시작했다.
세계 각국에서 몰려 온 단체여행객들은 저렇게 모여서 가이드 설명을 듣는데 여념이 없다.
검색하면 다 알 수 있는 뻔한 내용들이다.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유산이며 세계 10 대 절경 중 하나이며 호수 이름은 루이스 캐롤라인 알버타 공주의 기븐네임을 딴 것이고, 이 호수가 있는 주 이름은 그 여자 서방 이름을 딴 것이며 앞에 있는 산 이름은 빅토리아 할망구 이름을 딴 것이다 등등.
먼 나라에서 어렵게 와서 머무는 시간도 짧을텐데, 그런 강의듣는데 시간을 소비하는 것보다는 유키 구라모토 처럼 무슨 '영감'이라도 하나 씩 얻어갈 수 있도록, 적어도 레이크루이스에서만큼은 여행자들에게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한 자유를 주는 배려도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사진도 멋지군요. 대한민국 또는 그 기원을 부정하는 글, 교민사회에서 토론이 아닌 언쟁을 유도하는 글이 아닌 이런 좋은 사진과 사람들의 마음을 편안히 하는 이야기를 올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에는 이순신장군의 부정적인 이야기가 나올지 않을까 걱정도 되거든요. ㅎㅎ
역사학자들이 이순신 장군에 대한 신상털기를 안 했겠습니까?
이병도가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추천한 인물은 이막동 선생과 이순신 장군이었는데,
이막동 선생은 확실히 재평가가 필요한 인물이지만 이순신 장군은 발굴된 인재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아직까지의 평가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제가 오늘 대한민국을 영어로 비하하는 발언을 한 할머니 한 분을 우연히 발견했는데, 곧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레이크사이드님께서도 이 할머니에 대해서는 따끔한 충고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레이크사이드님께서 부탁을 하셨으니, 저도... "이막동씨" 스타일의 글은 정보적이고 재미도 있습니다. 고정독자를 위해서 계속 올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