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 Entry 규정 변화의 대안 2 -> Caregivers 프로그램
2015년 1월 Express Entry 프로그램이 시행된 이 후 지금까지, 총 1200점 만점 중 LMIA점수만 600점으로 LMIA 하나면 초청장 받는 것은 보장된 거나 다름없었습니다. 11월 19일 LMIA점수가 NOC O군은 200, NOC A와 B 군은 50점으로 낮아지면서 상대적으로 기타 영역의 영향력이 매우 커졌습니다. LMIA점수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논란은 있어왔으나 예상보다 훨씬 큰 폭으로 낮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자유당 정권 이후 이민 문턱이 더 낮아질 기대감으로, 혹은 영어 점수가 5점이 나오면 6개월 안에 영주권을 받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던 분들 중 특히 나이가 40대 이상인 분들에게는 날벼락과도 같은 발표였습니다.
하지만, 당 해에 유치하고자 하는 새 이민자 수가 이미 정해져 있으므로, 득을 보는 쪽과 실을 보는 쪽이 발생할 뿐, 규정 변화가 이민 문호의 확대 혹은 축소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취업 비자 신청 시부터 이민 프로그램을 잘 이해하고 계획해서 규정 변화 가능성이 적은 쪽으로 방향을 잡는다면 이런 변화의 소용돌이에서 비켜가거나, 변화 과정에 득을 보는 편에 서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Express Entry 프로그램의 변경으로 CRS점수가 현저히 낮아지신 분들, 혹은 Early Childhood Education을 전공하고 데이케어에서 일을 하고 있으나, LMIA가 없어 영주권 진행이 어려운 분들은2015년 규정이 대폭 개정된 케어기버 프로그램을 대안으로 고려해 볼 수 있겠습니다.
케어기버란, 환자(장애인)와 노인 혹은 아이들을 돌보는 직업입니다. 2015년 이전에는 Live-in Caregiver라고 하여 입주가 필수였으나, 개정 된 법안에 의하면 Live-out Caregiver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Live-in Caregiver 프로그램의 가장 큰 단점이었던, 취업비자 수속 시 대사관 인터뷰 절차가 사라지고 일반 취업 비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취업 비자를 수속할 수 있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