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노래를 들으면 어제신문님이 늘 생각납니다. 그분을 기리며...
위의 두 링크의 동영상을 보면, 단테가 신곡을 통해서 어떻게 연옥을 시적 상상력으로 구현해 냈는지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테의 사람됨도 엿볼 수 있구요. 이것은 유투브를 통해서도 볼 수 있구요. 단테는 피렌체(플로렌스) 사람이지만 정치에 연류되어 영구 추방되었지만 자신의 언어 이탈리아어를 통해서 위대한 서사시를 구현해 냈다고 박상진 교수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목사이면서 연세대 신학대 교수인 김상근 교수는 르네상스 문화 전문가로 피렌체만 수십번 다녀 오신 분이고 여러 강좌를 통해서 단순한 교회사를 문화사의 위치로 끌어 올리고 대중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킨 분입니다. 여기서 그는 호머-베르길리우스-단테에 이르는 서구 문명사의 위대한 시인들의 계보를 설명하면서 단테가 갖는 중요성을 알려 주고 있습니다.
위의 동영상은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베아트리체라는 한 여인을 사랑한 단테가 위대한 신곡을 쓴 경험을 간명하게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단테가 단 두번 스쳐지나 가듯 만난 여인 베아트리체, 하지만 그녀는 결혼을 하지만 요절합니다. 단테는 그 여인 베아트리체를 평생 가슴에 묻고 그 시적 삶의 대장정을 합니다.

김상근 교수가 소개한 이 그림에 보면, 단테의 시선은 베아트리체를 향하고 있지만, 베아트리체는 앞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한 모습이구요.
저의 관심을 끄는 것은 이분들의 강좌도 있지만, 단테 문학의 문화적 영향, 즉 영향사에 대한 것입니다. Jon M. Sweeney는 [Inventing Hell: Dante, the Bible, and Eternal Torment]라는 책을 통해서 단테가 그리스, 로마신화, 성서, 이슬람 등등에서 자신이 당시 수집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소화해서 지옥을 자신의 경험으로 소화해서 위대한 문학을 구축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스위니는 현대 기독교인들이 믿는 지옥관은 성서적이지도 않고 오히려 단테의 영향을 가장 받았다고 주장합니다. "Dante is the one who made eternal punishment exotic and real, as well as Christian." 베르길리우스는 호머가 마침표를 찍은 것에서 출발해서 새로운 여정을 하고, 단테는 베르길리우스가 마침표를 찍은 것에서 자신의 연옥지옥천국 경험의 여정을 시작합니다. 서양 문명의 위대한 세 문학가들의 대장정 또는 계보(genealogy)입니다.
이러한 문학적 상상의 산물을 real하게 경험하는 사람도 있고, 단지 문학적 허구로 읽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래서 문학과 종교의 거리가 멀기도 하고 가깝다는 것을 단테는 보여주고 있다고 보구요. 이런 다이제스트로도 서양문화사의 한 단면을 우리는 읽을 수 있습니다. 단테의 문학적 상상력의 스승으로 예수가 아닌 베르길리우스(Vergilius; Virgil)였다는 것이 의미심장합니다. 르네상스의 문을 연 사람, 그가 바로 단테입니다.
돌난간에 손을 짚고 단테를 바라 보는 파란 옷의 여인의 스토리도 혹시 있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예전 서양문화사 수업시간이 떠올라 혼자 피식해 봤습니다. 글 감사합니다.
좀 빗나갔지만, 성서, 특히 창세기는 신화적 구조 또는 이야기로 되어 있는데 그 이야기의 메인 주제를 벗어나 시비를 걸면 무한하게 전개 되어버립니다. 아담과 이브가 낳은 자식은 가인과 아벨밖에 없는데, 가인이 아벨을 죽였는데도 가인은 자신도 다른 족속에 죽임을 당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논리적 모순이죠. 창세기 이야기는 원래 편집된 것이고 그렇다보니 편집자가 일관성을 잃어 버렸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뚫고 새로운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외계인을 믿는 라엘리안들은 성서속의 생명의 나무는 우주인들의 과학적 지식이고 아담과 이브는 우주인들의 과학적 지식을 훔치려 했다는 것이죠. 조금 전문적인 이야기지만, 서울에서 라엘리안 모임에 참석했는데 어느 감리교 신학교에 다니는 라엘리언이 저한테 불트만의 "탈신화화"를 아느냐고 묻더군요. 깜짝 놀랐습니다. 불트만의 탈신화화는 성서의 신화적 요소를 걷어내고 현대인간의 과학적 세계관에서 그것을 실존적으로 해석하자는 것인데, 그의 주장은 성서의 신화 이야기를 걷어내면 사실 성서는 외계인들의 과학의 지식을 알아낼 수 있다는 것이죠. 그러면 성서의 주인공은 아담과 이브가 아니라 외계인들이 됩니다. 라엘리언들이 탈신화화라는 전문적인 성서연구방법을 이렇게도 사용하는구나. 참 인상적인 만남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