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감베타 역에서 내렸다. 계단을 따라 올라와 이정표를 따라 걸었다. 세월의 이끼가 낀 돌담길이 모습을 드러냈다. 돌담길 위로는 7월의 아침 햇살을 맞는 담쟁이 넝쿨이 손을 흔들었다. 끝없이 이어지는 돌담길에는 파리 어느 곳과 마찬가지로 주차 행렬이 이어졌다. 묘지 입구가 보였다. 이곳은 후문이다. 정문은 페르 라세즈 역에 있다.
묘지 입구에 꽃집이 보였다. 묘지 입구에는 꽃집이 있지. 묘지와 꽃집, 어울리는 조합이다. 꽃집에 들어가 흰색 장미를 세 송이 샀다. 꽃집 주인인 묘지 가냐 고 묻는다.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이고 계산을 하고 나왔다.
묘지 입구에서 왼쪽 보도를 따라 걸었다.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던 국제여단 전사자들을 기리는 조형물이 있다. 묘지 안은 조용했다. 죽은 자의 넋인 듯 바람소리만이 소근거렸다. 제각기 치장을 한 각양 각색의 무덤들이 끝없이 이어졌다. 무덤에는 십자가 조형물이 눈에 많이 띄었다.
보도를 따라 걷다 보니 ‘Allee du mur Federes’ 라는 이정표가 보인다. 이 부근 어딘 가에 있겠지. 보도가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그곳에 내가 찾는 코뮌 전사들의 벽이 보였다. 묘지 벽에 붙어있는 대리석 판에는 간단하게 “AUX MORTS DE LA COMMUNE 21-28 Mai 1871” 라고 써 있다. “코뮌의 죽은 자들에게 1871 5월21일-28일 “
보불전쟁에서 프랑스가 지고 황제 나폴레옹 3세는 포로가 되었다. 격분한 파리시민들은 제정 폐지를 선언하고 공화정 수립을 선언했다. 정부는 프러시아와 평화교섭을 했다. 알사스 로렌을 프러시아에 양도하고 배상금 50억 프랑을 물어주고 프러시아 군이 파리에 3일간 주둔한다는 조건이었다.
적의에 찬 파리시민들은 소극적 저항을 했다. 3일동안 가로등이 꺼졌고 조기를 게양했다. 카페 술집 상점은 영업을 중지했다. 파리 시민들은 문을 걸어 잠그고 외출을 하지 않았다. 프러시아 군은 3일 동안 침묵과 어둠의 포로가 되었다.
정부 수반 아돌프 디에르는 반항적이고 좌파적인 파리를 떠나 정부를 베르사유로 이전했다. 파리는 봄이 시작되는 3월18일 노동자 자치정부 코뮌을 선포했다. 레닌은 파리 코뮌이 다가올 사회주의 혁명의 예시라고 극찬했다. 막스는 “노동자계급이 사회적 주도권을 발휘할 수 있는 유일한
역사의 현장에서 감회에 젖어 있는 philby님의 모습을 보니, 나도 스무살 시절 친구들과 꼭 한번 가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되는 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