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는 펌
----------------------------------------------------------
국내언론에는 거의 보도가 되고 있지 않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캐나다 미국 (UN) 방문을 둘러싸고 살벌한 전운이 감돌고 있다. 모국 대통령의 방문을 두고 300 만 미주교민들의 격앙된 분노가 이처럼 <거의> 한 목소리로 일치해서 들끓었던 전례가 없다. 그들의 분노는 다음과 같은 한마디로 요약된다.
“어딜 뻔뻔스럽게 낯짝을 들고 오는가”
내 말이 아니다. 교포신문 인터뷰 기사다. 교황의 암묵적 힌트도 묵살하고 단식으로 죽어가는 유가족조차 만나주지 않은 주제에 유엔총회에 참석해서 남의 나라 인권을 주제로 떠들겠다는 게 말이 되느냐는거다.
더 웃기는 것은 교민들의 대대적인 반대시위가 예정되어 있는 22 일을 피하기 위해 예정에도 없던 캐나다 방문일정을 주말에 끼워넣어 일단 문제의 22 일을 오타와 뉴욕 이동 일정으로 대체했다는 거다. 세계외교사상 유래를 찾기 어려운 10일 전 통고 주말정상회담을 받아들여 준 캐나다 스티븐 하퍼 정부가 쓸개가 빠졌거나 정보에 어두운 게 아니라면 두 나라 정부 간에 뭔가 거래가 있었거나 대한민국측이 망신을 떨어가며 통사정을 했거나 둘 중 하나다. 정상회담과 실무협상 결과를 두고보면 알 일이다.
암튼 이 이상하기 짝이 없는 주말정상회담으로 스티븐 하퍼 수상은 연봉을 시간당으로 나누어 다시 1.5 배를 곱한 초과근무수당을 받게 생겼다. 도대체 캐나다 정부가 이 말도 안되는 급조 정상회담을 받아들인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다음 글들을 찬찬히 읽어보시면 이해가 될 것이다. 한 가지 힌트를 드리면 캐나다 정부는 이 주말 국빈방문일정을 외교적이거나 통상이해적인 차원에서가 아닌 ‘인도적’인 차원에서 할 수 없이 받아들인 게 아닌가 생각한다.
어쨌든 그건 그렇고,,,,,,싸르니아의 진짜 관심과 걱정에 대해 이야기를 계속 해 보자.
박근혜 대통령은 캐나다와 미국을 방문하는 동안 일체 교민과 만나지 않는다. 캐나다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15 년 만의 국빈방문인데도 교민만남 일정이 없다. 그는 아마도 국가원수로서 타국을 방문하면서 그 나라에 거주하는 자국출신 교민앞에 코빼기도 비추지 않고 야반도주하듯 돌아간 유일한 대통령이 될 것 같다.
전두환과 노태우 조차 가는 도시마다 모진 봉변과 망신을 당하면서도 교민들과의 만남 자리는 피하지 않았었다. 1981 년 겨울 레이건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했던 전두환은 그가 가는 곳 마다 나타나서 구호를 외쳐대는 시위대를 피해 도망다니느라 혼이 다 빠진 몰골로 LA 교민 리셉션장에 나타나 “쌀밥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보리밥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듯이 반대하는 것도 좋은 풍조라고 생각합니다” 라는 소리를 남기기도 했었다. 이 말은 전두환이 그의 재임기간 동안 지껄인 소리 중 가장 진보적인 철학이 담긴 말로 평가될지도 모르겠다.
박근혜 대통령은 자기를 싫어하는 분위기에 앉아있는 걸 견디지 못하는 성격인 것은 일찌감치 짐작하고 있었다. 세간에서는,, “그런 성격인 줄 본인이 알면서 대통령은 왜 하려고 덤벼들었나? 보좌관들은 도대체 옆에서 뭘 하길래 이런 초유의 사태를 방치하고만 있는 것인가?” 하는 질문과 항의를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싸르니아의 생각은 좀 다르다.
대한민국 정부에서야 교민만남일정을 당연히 추진했을 것이다. 그런데 박근혜 대통령 개인에게 <심각한> 심리적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할 수 없이 포기한 게 아닐까 생각한다.
박근혜 대통령에게는 진도체육관 방문과 세월호 조문 사건을 겪은 이후부터 그때까지 잠복해 있던 증상이 하나 나타나 점점 악화된 듯 하다. 자기를 반대하는 사람과 대면할 때마다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혈압이 치솟으면서 오한과 구토증상이 발생하는 일종의 선별성 대인공포증이 나타났을 가능성이 아주 높다.
이런 증상은 진도체육관과 안산 분향소에서 유가족들에게 직접 욕설을 들은 이후 ‘사고후 스트레스성 장애증후군과 결합 작동해서 본인 스스로도 어쩌지 못하는 심각한 상태가 된 게 아닐까 추측한다. 지난 번 유민아빠와의 만남을 비정상적이다 싶을만큼 결사적으로 거부할 때부터 대략 눈치를 챘는데, 이번에 교민만남거부라는 미증유의 사태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주변에서조차 쉬쉬하는 이야기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듣기만 하거나 읽기만 해도 거슴이 두근두근대기 시작하는 두 단어가 있는데,첫째는 ‘유가족’이라는 단어고 둘째는 ‘미국교포’라는 단어다. 유가족이라는 단어에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기 시작한 건 물론 세월호 사건 때 부터고, 미국교포라는 단어에 발작을 일으키기 시작한 건 그보다 먼저인 윤창중 사건 때부터다.
아무리 오만한 사람이라도 공직에 복무하는 기간 동안에는 하기 싫어도 해야 할 일은 수행해야 한다는 것 쯤은 다 안다. 앞에서도 예를 들었듯이 전두환과 노태우도 화를 참아가며 교민들을 만났다.
사정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국빈방문을 하면서 교민들을 안 만나겠다는 박근혜 대통령을 가리켜 “저런 오만하고 방자한 X 이 있나” 하고 화부터 내기 일쑤인데, 그렇게 상소리를 섞어가며 격분부터하기 전에 차근차근 생각을 해 보시기 바란다.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되는 행동을 했기 때문에 저 인간은 비상식적인 인간이다.. 라고 단순하게 결론을 내리기 전에 그런 비정상적인 행동을 할 수 밖에 없는 다른 이유를 찾아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훨씬 더 합리적일 것이다.
싸르니아 생각에 교민들을 피해 도망다니는 일정을 짜도록 조언한 것은 박근혜 대통령 본인이 아닌 것 같고, 그 보좌관들도 물론 아닐 것이다. 그런 결정과 조언을 한 사람은 아무래도 박근혜 대통령의 주치의같다.
대통령 주치의는 대통령의 직무가 patient의 건강이 미치는 영향을 소상하게 파악하고 있을 것이므로 앞으로도 의사의 양심에 따라 분명하고 소신있는조언을 해 주기 바란다.주치의는 의사이지 정치인이 아니므로 <최악의 경우이긴 하지만> 심신건강상의 이유로 인한 대통령 유고가 초래할 국정운영공백같은 것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 참고로 대통령 주치의가 최근에 교체됐는데, 분당서울대병원의 산부인과 교수가 내정됐다.
물론 추측에 불과하고, 내 추측이 사실이 아니기를 ‘간절히’ 바라지만,대통령 유고시 국무총리가 일단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면 되고 정해진 헌법절차에 따라 보궐선거를 실시하면 될 것이다.
---------------------------------------------------------
세월호 사건 이후 싸르니아의 생각이 많이 바뀌고 있다.
이제부터는 40 퍼센트에게 직접 책임을 물어야 한다. .
어쨌든 캐나다 교민만남의 경우 \"일체 없다\"는 표현은 잘못된 것이므로 수정해야 마땅하나 댓글이 달린 글이니 수정하지는 않겟습니다.
Release
For immediate release
Prime Minister Stephen Harper TO WELCOME Park Geun-hy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CANADA
September 11, 2014 Ottawa, Ontario Prime Minister’s Office
Introduction
Prime Minister Stephen Harper today welcomed the news that Park Geun-hy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ill be making a state visit to Ottawa from September 20 to 22, 2014. This will be the first state visit by a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Canada since 1999.
During the visit, the leaders will discuss the tremendous opportunities that will be created by the 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The conclusion of negotiations for the Agreement was announced on March 11, 2014, and the text of the final Agreement was tabled in the House of Commons on June 12, 2014. The leaders are also expected to discuss global and regional issues, including developments in the Asia-Pacific region.
Quick Facts
The Republic of Korea is an important economic partner for Canada, with an economy of $1.3 trillion and a population of 50 million. Korea is one of Canada’s largest trading partners in Asia. Total merchandise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reached approximately $10.8 billion in 2013.
Korea was identified as a priority market under Canada’s Global Market Action Plan.
On the first day the 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comes into force, Korea will remove duties on 82 per cent of tariff lines. Once the Agreement is fully implemented, Korea will have removed duties on 98 per cent of tariff lines.
The 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is projected to boost Canada’s economy by $1.7 billion and increase Canadian merchandise exports to Korea by 32 per cent.
As trading nations, Canada and Korea support trade liberalization and share membership in many multilateral economic organizations including the G-20, the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APEC) forum,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WTO).
Quote
“Canada and the Republic of Korea enjoy an extraordinary friendship, founded on strong people-to-people ties. I look forward to once again meeting with President Park Geun-hye and exploring how to deepen those ties, including through commercial opportunities generated by the Canada-Korea Free Trade Agreement, Canada’ first such agreement in the Asia-Pacific region.” – Prime Minister Stephen Harper
- 30 -
Contacts
PMO Press Office: 613-957-5555
어떤 분이 어제 저한테 메일로 우리도 환영식을 하면 좋지 않겠느냐고 하셨는데, 그런 환영식이 있으면 저도 참석하고 싶습니다. 플래카드도 만들고요. "세월호 내 몰라라 //ㄺㅡㄴ// 물러가라."
이란 사람인 것 같은데,, 곧 다른 피아노 곡 올리겠습니다.
저한테 요즘 세가지 참 행복한 일이 생겼습니다. 하나는 녹차만 마시고 커피는 거의 안마셨는데 우유거품기로 우유거품을 내어 커피와 함께 마시는 것이고요. 다음날 아침 다시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기대 그리고 콜롬비아 커피의 담백한 맛과 향이 엄청 좋고, 두번째는 Hash Browns라는 서양식 감자전 해먹는 것, 셋째, 아이파드에 음악을 옮겨 듣는 즐거움입니다.
Fariborz Lachini의 10곡 이상을 방금 감상했는데, 그 중에서 "Autumn, Autumn, Autumn"이라는 제목이 맘에 와닿는군요. 더 이상 은유로도 표현할 수 없는 가을, 그래서 그냥 가을이라고만 외치는듯 하군요. "In My Little Autumn, The Trees Had Only One"는 제 심금에 잘 어울리는군요. "In Autumn, The Leaves Came To Our House"이야말로 기다림의 미학과 영혼의 회귀같은 것을 느끼게 하는군요.
무슨 큰뜻으로 초대 받으셨는지는 모르겠지만 부끄러운 일이 안되시길 교민으로서
청합니다
그보다는 이런 걸 제안해 보세요. 일단 작년부터 입국심사 때 내국인 대우를 해 주는 것이 대해 칭찬을 하신 후, 현재 65 세 이상으로 되어 있는 이중국적인정을 모든 연령대로 확대해 줄 것을 요청해 주시고, 아시아나항공의 캐나다 취항을 성사시켜 항공사간 가격경쟁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한다든가,, 이런 걸 정리해서 요청하시면 어떨까 합니다.
저한테 비행기표 보내면서 오시라고 해도 밥 먹으러는 안 가겠지만, 박근햬 대통령 퇴진을 요구했던 사람들 중 단 한 명이라도 \"좀 와 보시라. 이야기 나누고 싶다\" 이런 제안 받은 분 계시나요? 그런 제안을 하면서 오라고 했다면 제가 밥값 내고라고 가겠습니다.
발언 기회가 되면 여러분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긍정적인 의견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위의 Clipboard님의 이중국적을 모든 연령대로 ... 좋은 말씀인것 같습니다.
아무튼 기왕에 가신다니까, 교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안들, 무슨 한인단체 지원 이런 것보다 개개인 교민생활에 직결되는 문제들 중 국내법과 관련하여 아직 내국인과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부분들이 개선될 수 있도록 강하게 주문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어차피 정치-이념과 관련된 사안들은 저와 번영님 사이에 생각의 간극이 있으니 굳이 말씀드릴 필요 없겠고요.
제가 단언컨대, 이 사람은 국정원선거개입에 대한 이상야릇한 판결로 정통성을 확보했다고 안도의 미소를 지을지 모르지만, 앞으로도 이 사람은 쭈욱 적과 동지의 정서(us vs. them)속에 살겁니다. 그 동안의 인사행정 행각에서 이미 실오라기 하나 없이 다 드러난 상태구요. 부동의 40%에 만족하며 끝없이 자기를 추종하는 내시그룹과 친일극우인사들로 친위대를 구성할 것입니다. 아무일도 아무말도 할 것이 없는 사람이 바로 이 사람입니다.
그리고 이 사람이 캐나다 외유오시는데 교민들과의 만남은 화기애애할 것같군요. 정치적 외유, 국제관계적 외유도 이렇게 manipulate 하는 것은 식은 죽먹기죠. 그래서 번영님 말씀과 달리, 저는 긍정적이지 못합니다. 관료적 적폐들에 둘러싸여 여왕의 권좌를 누리는 이 사람이 앞으로 공감능력을 회복하여 적과 동지라는 이분법적 이념놀이를 하지 않고, 통일도 대박으로 만들고, 적폐를 일소하여 공정으로서의 사회를 만들어 가리라는 희망은 이 사람에게서 전혜 결단코 보이지 않습니다. 세월호말만 들어도 딸국질인데 뭘 기대할까요. 일베족들이 minority가 아닌 majority로 되게 하는 선봉에서 이 사람의 널뛰기가 너울너울 춤을 추고 있습니다.
아무튼, 사르니아님 덕분에 Fariborz Lachinid의 피오노곡 30여곡 잘 듣고 갑니다. 삶은 여행이고 그래서 혼란스럽지만, 그래도 우리는 알 수없는 그러나 호기심을 안고 망망의 바다로 흘러 갑니다. \"Confused, The Leaves Went To The Sea\" https://www.youtube.com/watch?v=wGIh-Q7aHN4
이런 정치적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 오타와에 계신 지인들께 박근혜 정권의 반민주적 행동에 대한 반대의사를 표시하라고 부탁해야겠습니다.
번영님 안전하고 재밌는 오타와 여행되셔요..
한인회에서 전적으로 8명을 선발 하였고 청와대나 외교부의 입김은 전혀 없었고요. 서로 안 가겠다고 사양들하였지만 한인회를 지원하는 차원에서 가게 된 것입니다. 밥 한끼값이 천 이삼백불이라 좀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긴하지요.
사비를 들여서 대통령과 밥 먹으러 오라는건 뚜 무슨 경우입니까?
선거때는 시장통 구석까지 웃는 낯으로 다니다가 이제는 오라가라하니 말이죠. 물론 시간과 돈이 되시니 가시겠지만, 원. 참. 나.
제게 천이삼백불의 여유가 있다면 북한어린이 돕기나 아프리카에서 사역을 하며 봉사하는 제 친구에게 보내겠네요.. 1불이면 아이들의 몇끼 식사라던데..
혹시 압니까 자비까지 투자 하셨는데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 지 알려주실지?
대통령과의 만남이 가문의 영광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
그런데 , 아시죠?
미국교민은 못만난 다는데 캐나다 교민을 호구로 봤나 약간 기분 상하네요
초대 받은 모두 거부 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
한인회 후원 무엇을 받는지는 모르나 박근혜 나팔수가 되는거 아닙니까?
암튼 오타와 국회의사당에 모여 박근혜가 어떤 사람인지 알리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네요.